(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 정책으로 "당정은 산업 종사자들이 겪는 애로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이 대표는 이날 오전 범부처 현장 지원단 '소재부품장비 수급대응지원센터'가 마련된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를 찾아 현장최고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일본의 갑작스러운 수출규제에도 기술 자립과 국산화를 만들기 위해 모두가 한 마음으로 노력했고, 반도체 분야에서 에칭가스 국산 공정이 시작되고 완료되는 성과도 속속들이 나타났다"며 "그러나 기술자립을 위한 길이 그리 간단치만은 않은 만큼 더욱 고삐를 단단히 쥐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 "일본 정부가 지난 11일 개각에서 강경파 인사를 전면배치하는 등 잘못된 고집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긴장의 끊을 놓아서는 안 된다"며 "수출규제를 선언한 이후 석 달 가까이 사실상 대화를 거부한 일본이 이제나마 대화에 나서려는 뜻을 보이고 있다"고 일본과의 대화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 대표는 그러면서 "차관급, 국장급, 과장급 실무적인 논의가 진행이 되고 있다고 한다"면서 "앞으로 60일 동안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논의 과정에서 일본이 진지하고 성실하게 임해줄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수급대응지원센터는 일본의 경제 도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재부품장비 수급의 위기 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야전 사령부'라 하겠다"고 평가했다.
이 대표는 "중견기업의 연구개발(R&D) 역량 지원과 국내 기업의 대체 수입처 발굴 지원, 모험적 투자 활성화,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과정에서 중장기적 전략 수립을 위해 당에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아울러 "내년도 예산을 편정하면서 (전체) R&D 예산이 24조원으로 늘었다. 소재부품장비를 위한 R&D 예산만도 1년에 2조원을 추가로 증액했다"며 "예산을 잘 활용해 자립 경제를 만드는 데 매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일본은 서로 이사를 갈 수 없는, 필연적으로 함께 할 수밖에 없는 국가 관계"라며 "이런 점을 감안해 경제적 협력을 통한 상호 발전을 얘기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i24@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