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생당은 11일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비례 연합정당 참여 여부에 대한 지도부간 이견이 커 회의를 중단하고, 오후에 다시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김 공동대표는 "비례 연합정당은 거대 양당제로의 회귀를 더욱 촉진할 뿐"이라며, "민주당이 비례대표를 내든 내지 않든, 시민들의 인식 속에서 비례대표 선거는 '친문이냐, 반문이냐'로 각인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김 공동대표는 그러면서 "만에 하나 우리 당이 비례 연합정당에 참여한다면, 중도개혁 세력을 결집시켜야 할 우리 당의 목에 스스로 칼을 꽂는 결과가 될 것"이라며, 민생당의 비례 연합정당 참여에 선을 그었다.
반면 대안신당 출신 유성엽 공동대표는 김 공동대표와는 관점이 다르다며 "앞으로 당내에서 충분히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유 공동대표는 그러면서 미래통합당을 겨냥해 "이대로라면 반성조차 없는 적폐 세력에게 또다시 1당을 내어주고 나아가 정권까지도 위협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유 공동대표는 이어 "한국당과 적폐세력의 준동을 막지 못하면 그것이 더 큰 실패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에서 '반 적폐 반 한국당 연대'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공동대표는 그러면서 "선거법 개혁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미래 청년세대와 소상공인 등 경제 약자들이 전면에 나서는 제3지대 선거연합을 통해 난국을 돌파해야 한다"며 '제3지대론'을 대안으로 내놨다.
박 공동대표는 "친문 진영에 민주당과 정의당, 반문 진영에 미래한국당과 국민의당인 구도를 다자구도로 전환해야 한다"며, "제3지대 선거연합을 통해서, 미래통합당을 찍을 수 없으나 민주당에게도 실망한 유권자층의 대안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제3지대의 선거연합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며, "민생당 지도부가 모든 기득권을 함께 내려놓을 것"을 제안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고성도 오갔다. 이와 관련해 김 공동대표는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고성은) 비례 연합 정당 참여 이견 때문은 아니고 지역구 공관위와 비례대표 공관위 간 이견이 많아서 (그랬다)"고 말했다.
유 공동대표가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서는 "유 대표는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하고, 대다수 구성원은 반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공동대표는 "민생당은 3당이 만났기 때문에 이견이 있을 수 있고, 이견을 조율하는 과정에 있다"며 "고성이 오간 것은 부적절했지만, 그 결과는 국민에게 유익한 결과물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유성엽 공동대표가 이날 최고위원회에서 "본격 선거 시즌으로 접어들면서 우려되는 것 가운데 하나가 신천지의 정당조직 관여"라고 주장했다.
유 공동대표는 "전북 익산 모 정당 경선에 신천지가 조직적으로 관여했다는 주장이 있다"면서 이같이 언급했다.
유 공동대표는 "신천지 신도 개인의 정치활동을 금지할 이유는 없지만, 특정종교의 조직적 개입은 정치와 종교 분리라는 대원칙에 위배된다"고 강조했다.
유 공동대표는 특히 "신천지측에서 조직적으로 정당에 관여하고 꾸준히 정치권 줄대기를 시도해왔다는 인터뷰가 있었고, 실제 이낙연 전 총리에게도 접촉하려 했다는 증거가 나왔다"고 말했다.
유 공동대표는 그러면서 "선관위와 각 정당 차원에서 신천지의 선거개입을 엄밀히 조사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