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양방송) 김정현 기자 = 올 3분기 항공교통량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로 상승세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올해 3분기 우리나라 항공로를 운항하는 항공교통량은 16만7,000여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약 1.8% 증가하는데 그쳤다고 23일 밝혔다.
우리나라 공항을 이용해 국제구간을 운항하는 교통량은 9만8,000여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2.8% 줄었으나 국내구간은 5만9,000여대 5만9,000대로 8.6% 증가했다.
특히 중국행 항공기의 통과비행이 지난해 3분기 4,325대에서 올해 5,526대로 28% 증가한 원인으로 인해 영공통교통량이 9.4%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올 2분기와 비교하면 메르스의 영향으로 국제선은 1.6% 감소한 반면
국내선은 1% 증가해 전체적으로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항별로는 국내선(제주, 인천 노선) 운항증가과 국제선(괌, 일본) 노선확대로 김해공항의 교통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해서 약 5.7% 증가했다.
제주공항의 경우 메르스로 인한 중국노선 운항감편으로 국제선이 크게 감소, 3분기 전체로는 0.8% 소폭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3분기 우리나라 하늘이 가장 붐볐던 시간대(피크타임)는 오전 10시로, 시간당 평균 144대가 운항했다.
인천공항의 경우 오전 11시가 가장 붐비는 시간대로 평균 54대가 운항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4분기 항공교통량은 중국국경절, 부산국제영화제, 코리아
그랜드 세일 등 다양한 축제와 연말 성수기,제주공항의 중국 방한객 수요 회복, 김해공항의 저비용항공사 노선 확대 및 공급력 확대 등으로 국제구간
교통량이 전년 수준 이상으로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