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공포확산, 환자수 3차 감염자 포함 25명... 사망자 2명 발생

  • 등록 2015.11.01 12:36:55
크게보기

(서울=미래일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로 인한 사망자가 2명이나 발생했다. 환자수는 6명이나 늘어 3차 감염자를 포함해 25명이 됐다.

특히 사망자들은 모두 보건당국의 방역망에서 빠져 있다가 뒤늦게 통제체계에 들어왔다. 3차 감염자들도 모두 2차 감염자가 정부의 격리대상에서 빠져 있던 때 병원에서 이 2차 감염자를 접촉했던 사람들이다. 메르스에 대한 정부의 방역 체계가 초기부터 총체적으로 잘못됐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1일 급성호흡기부전으로 사망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의심환자 S(58·여)씨에 대해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 양성 판정이 나왔다고 2일 밝혔다.

S씨는 천식으로 인한 호흡곤란으로 지난달 11일부터 입원 치료를 받았으며 같은 달 15~17일 사이 국내 최초 메르스 환자 A(68)씨와 접촉했고 이후 상태가 악화돼치료중 사망했다.

보건당국은 그동안 S씨의 소재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가 사망 당일인 1일이야 그가 경기도의 한 병원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S씨로부터 검체를 채취해 유전자 검사를 시작하기는 했지만, 환자 상태가 좋지 않아 국가지정격리병상으로는 미처 옮기지 못한 상황이었다. 복지부는 “S씨를 담당한 주치의가 ‘사망자의 기저질환이 면역력 약화 및 호흡기 질환의 발병과 관계가 있으며, 메르스 감염 후 임상 경과 악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복지부는 또 국가지정격리병상에서 치료 중이던 메르스 6번째 확진 환자 F(71)씨도 사망했다고 이날 밝혔다.

F씨는 지난달 15일부터 발열 등의 증상으로 입원치료를 받던 사람으로 같은 달 15~17일 A씨와 접촉했으며 같은 달 28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었다.

F씨는 애초 보건당국의 자가 격리대상에서 빠졌다가 뒤늦게 확진 판정을 받고 격리조치된 사람이다.

F씨는 지난달 15일 ⓑ병원에서 외래진료를 받으려고 기다리다가 A씨와 밀접접촉했다가 이 병원에 입원했다. 이후에는 주로 자택에 머물다가 24일 고열증상이 생겨 한 병원 응급실에 왔고, 27일에서야 국가지정격리병상으로 옮겨졌다.

이날 메르스 환자는 6명이나 추가로 발생했으며 이 중에는 메르스 사태 이후 처음으로 발생한 3차 감염자도 2명 포함, 환자수가 모두 25명이 됐다.

복지부는 ⓓ병원에서 16번째 확진자 P(40)씨와 접촉한 2명과 ⓑ병원에서 A씨와 접촉한 환자와 가족 등 4명에 대해 유전자 검사를 한 결과 양성 판정이 나왔다고 밝혔다.

첫 3차 감염자는 Y(73)씨와 Z(78)씨로, P씨가 확진 판정을 받기 전 머물렀던 ⓓ병원의 같은 병실에서 5월 28~30일 치료를 받던 환자들이다. P씨 역시 자가 격리대상에는 포함이 안 됐지만, 보건당국의 재역학조사에서 뒤늦게 환자로 확인됐다.

보건당국은 3차 감염자가 발생했는데도 “의료기관 내 감염으로 지역사회로 확산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러나 국민들의 불안은 이미 걷잡을 수 없이 증폭됐다.
 
한편 정부는 1일 메르스 환자와 밀접 접촉한 682명을 격리 관찰 대상으로 분류하고 출국 금지 조치를 내렸다.
 

치사율이 40%를 넘는 메르스는 백신이나 치료제가 아직 개발되지 않아 감염되기 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이에 질병관리본부가 내놓은 메르스 예방법에 따르면 손 씻기 등의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하게 하고 중동지역을 여행할 때 낙타, 박쥐, 염소 등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또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화장지 등으로 입과 코를 가려야 하며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는 것을 삼가해야 한다. 만약 38도 이상의 고열이나 호흡곤란 등이 발생하면 마스크를 쓴 뒤 지체없이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장건섭 기자 gkc777@naver.com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