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문인협회 제11회 전영택문학상·제17회 한국문협서울시문학상 수상자 발표

  • 등록 2025.10.14 11:27:16
크게보기

한국문학의 뿌리와 오늘을 잇는 문인들의 향기로운 수확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이사장 김호운)는 10월 13일, 제11회 전영택문학상과 제17회 한국문협서울시문학상의 수상자를 발표했다.

이 두 문학상은 창작에 헌신하며 문학의 순수성과 사회적 울림을 함께 가꿔온 문인들의 성취를 기리는 뜻깊은 상으로, 시상식은 오는 10월 24일(금) 오후 3시, 한국방송회관 3층 회견장에서 거행될 예정이다.

■ 제11회 전영택문학상

한국 근대문학의 토대를 다진 전영택 선생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이 상의 올해 수상자는 시 부문 김용갑, 시조 부문 임영숙, 소설 부문 최희영, 수필 부문 염혜순 작가에게 돌아갔다.

● 시 부문 수상자 김용갑 시인은 시집 <수서행 기차를 타고>로 인간과 자연, 그리고 지역의 정서를 따뜻한 서정으로 엮어냈다.

현대문예 수필로 등단한 뒤 문학춘추를 통해 시단에 입문한 그는 전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나주문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광주전남문인협회와 한국문인협회 이사로 활동 중이며, <영산강의 비상>, <초보농부의 개론>, <영산강을 색칠하다>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삶의 뿌리와 언어의 생명력을 꾸준히 탐구해왔다.

시와사람 신인상, 전남문학상, 국제PEN 광주문학상 등 다채로운 수상 경력이 그의 꾸준한 문학적 행보를 증명한다.

● 시조 부문 수상자 임영숙 시인은 시조집 <들판 정치>에서 우리 사회의 일상과 공동체의 문제를 시조 특유의 운율로 담아내며, 현대적 감각과 전통의 결을 아름답게 결합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경기도 용인 출생으로 2014년 <나래시조>로 등단, 현재 같은 잡지의 편집주간으로 활동 중이다. <풀잎의 흔들림이 내게 건너왔으니>, <들판 정치> 등 저서를 펴냈으며, 한국시조시인협회 신인상·젊은시인상·나래시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25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예술활동지원금 선정자로도 이름을 올렸다.

● 소설 부문 수상자 최희영 작가는 장편소설 『중원의 바람』을 통해 고려 무신정권의 영웅 김윤후 장군의 삶을 재해석하며, 역사와 인간의 내면을 입체적으로 그려냈다는 호평을 받았다.

울산 출신으로 <한국작가>를 통해 등단했으며,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에서 수학했다. 부천소설가협회, 한국소설가협회, 한국문인협회 회원으로 활발히 활동 중인 그는 <더 맥脈>, <갠지스강>, <1862>, <신神의 몰락> 등 다수의 장편을 통해 역사와 인간 존재의 근원을 탐색해왔다.

근로자문학제 동상, 경기문학 신인상, 직지소설문학상 최우수상 등 여러 수상 경력이 그의 내공을 증명한다.

● 수필 부문 수상자 염혜순 수필가는 수필집 <오래된 상자 속 이야기>로, 시간의 결을 따라 흐르는 추억과 가족의 기억을 잔잔하면서도 깊은 감성으로 담아냈다.

강원도 원주 출생으로 《한국수필》과 《시현실》을 통해 각각 수필과 시로 등단했으며, 현재 한국수필가협회 감사로 활동 중이다.

<오래된 상자 속 이야기>를 비롯해 다수의 저서를 통해 인간의 따뜻한 내면을 그려왔다. 2023년 올해의 좋은 수필상, 2024년 한국수필독서문학대상, 한국수필작가회 동인작품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제17회 한국문협서울시문학상

서울문학의 현장을 중심으로 창작 의욕을 북돋우고 지역문학의 저변을 확장하기 위해 제정된 이 상은, 올해 시 부문에서 신주원·김선영 시인, 수필 부문에서 김화순 수필가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 신주원 시인은 시집 <눈을 보면 알아>로 삶과 존재의 관계를 따뜻한 시선으로 풀어내며, 언어의 미세한 결 속에 인간적 진실을 담아냈다.

2001년 <문예사조>를 통해 등단한 그는 한국문학사편찬위원, 한국현대시인협회·한국여성문학인회 이사, 국제PEN한국본부 회원 등으로 왕성히 활동하고 있다.

<세상 속의 우리>, <낙산사 해 뜰 무렵>, <눈을 보면 알아> 등 다수의 시집을 펴냈으며, 문예사조문학상 우수상, 자유문학상 등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다.

● 김선영 시인은 시집 <감정 스펙트럼 노트>로 감정의 결을 탐색하며, 내면의 빛과 어둠을 서정적 언어로 직조해내는 섬세한 감성의 시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북 김제 출생으로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국제PEN한국본부·한국문인협회·한국여성문학인회·기독교문인협회 이사, 한국시인협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달팽이 일기>, <어디쯤 가고 있을까>, <시들 시들한 詩>, <향낭 속에 간직했던 시어가 꽃이되다> 등 다수의 저서를 냈다.

영랑문학상, 순수문학상, 황진이문학상, Poetry Korea 국제화상, 전라북도 인물대상(문학창작 공로부문) 등 화려한 수상 이력이 그녀의 문학적 폭을 보여준다.

● 김화순 수필가는 수필집 <펜과 입술>을 통해 글쓰기의 본질과 인간관계의 섬세한 감정을 진솔하게 풀어내며, 수필의 미학을 정제된 언어로 표현했다.

2014년 <한국수필>로 등단해 한국문인협회, 한국수필 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리더스에세이 부회장을 맡고 있다. 인산수필신인대상과 후정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자신만의 문체와 시선을 구축해왔다.

■ 문학의 본령을 지켜가는 문인들의 이름


한국문인협회는 "문학의 본령은 시대를 밝히는 언어의 등불에 있다"며, "이번 수상자들은 각자의 장르에서 삶의 깊은 내면과 시대정신을 형상화해온 창작의 모범이자, 한국문학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 주역들"이라고 밝혔다.

이번 시상은 한국문학의 뿌리를 지켜온 문인들과 지금 이 순간에도 묵묵히 창작의 길을 걷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따뜻한 격려와 자긍심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