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딴'으로 글쓰기

2024.02.01 10:28:58

"영혼의 문장을 여는 열쇠는 생각과 펜을 잡는 순간부터"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글을 쓴다는 것은 순간의 이동이라 하기도 합니다. 말과 글은 머릿속에서 30초 동안의 영감을, 그대로 이동시켜 내려놓는 것입니다.

거미가 치는 줄을 보셨겠지요. 거미는 좌와 우의 각도를 건축학적으로 설계하지 않습니다. 그저 본능으로 거미줄을 칩니다. 곤충학자의 연구인지 모릅니다. 하여간 그렇다는 것입니다. 오로지 사람만이 생각을 이동시키거나 영감을 가진다 합니다. 거미의 본능처럼 말입니다.

세상은 '딴'에 의하여 인공위성을 띄우기도 합니다. '딴'이란 남다른 딴생각입니다.

'딴'이란 꼭 긍정의 딴이 되지도 않습니다. 뾰족한 행동, 세상을 어지럽히는 곳에도 ‘딴‘은 사용됩니다. 같은 딴이지만 전혀 다른 결과의 글입니다.

술집에 가고, 오는 길에는 해찰하며 오락실에 갔습니다. 아니에요, 오는 길에 생각(사유)을 가지고 대학로 마로니에를 걸으며 산책하였습니다. 술집을 가는 것이나 산책을 하는 것 모두가 생각을 어떻게 하는가에 결과물입니다. 같은 생각이라도 생각의 꼬리를 물고 놀았더니 시(詩)가 되었습니다. 그뿐이 아니라 자신에게 관심 두고 스스로 감정과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

생각이란 무너진 주변들을 회복시키기도 합니다. 그뿐이겠어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힘과 용기를 만듭니다.

선배 시도반은 그러더군요. 하루를 마치고 저녁 시간이면 골똘한 시간을 갖는다 합니다. 그러면서 몇 자 쓰다 보면 시가 되고 인문학 살롱이 된다 합니다. 선배 시도반의 시는 진주가 여러 개 박힌 시를 만드는 분입니다.

조정래도 그렇고 무라카미 하루키도 그렇게 말하더군요. 날마다 ’딴‘생각을 글로 남기는 것이 글쓰기의 방법이라 합니다. 비단 두 분의 작가만이 그러하겠습니까. 계절이 시련을 견디는 방법은 더위와 추위를 이겨내듯 사람은 생각으로 시련의 해결점을 찾습니다.

생각도 그렇더군요. 무엇인가를 간절히 원할 때, 도움을 구하는 방법도 떠오른다나 봐요. 진실한 장로님이 그런 말씀을 해요. 문제가 있을 때 새벽 성전을 나갑니다. 기도라는 것은 간절한 생각이 앞서나가서 이루는 것이라 합니다. 생각은 자기감정을 글로 옮기기 위해 펜을 집어 듭니다.

펜을 잡지 않고 생각만 한다면 졸졸 흘러가고 맙니다. 영혼의 문장을 여는 열쇠는 생각과 펜을 잡는 순간부터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도 그렇습니다. 날마다 생각하고 펜을 잡는 것이 나라를 걷는 <난중일기>의 문장이 되었습니다. 생각은 사람의 창을 통해 햇빛이 자신을 비추는 것입니다. 세상과 연결하게 하며 미래와 줄줄줄 이야기합니다.

엉뚱한 이야기 하나 할까요. 산책하다 가로등을 만났습니다. "낮엔 뭐하니?" 가로등은 쉽게 대답합니다. "밤이 되면 어떻게 밝은 가로등이 될까 진종일 생각합니다."

하등, 가로등도 그냥 낮을 보내지 않았습니다. 세상을 밝히는 일이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생각’ ‘놀아‘의 차이는 두 글자라는 것은 같습니다. 결과는 너무나 다릅니다.

허홍구 시인의 시편 중에 '고맙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사랑합니다// 이 말만 하여도/ 얼굴에 환한 꽃씨 피네/참 고운 꽃씨가 되네// 빙그레 미소만 지어도/ 맘에 고운 꽃이 피네' <꽃씨>의 시 전문입니다.

'고맙습니다'라는 구절은 영혼을 만집니다. '수고하셨습니다'는 영혼에 대한 예절 인사입니다. '사랑합니다'는 꽃이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과 대화의 말입니다.

'나, 고맙습니다'. 가족에게 또는 나에게, 주변의 모두에게 습관적으로 말합니다. 그것은 나에게 모두에게 선물이 됩니다. 한해가 끝나는 즈음에 광화문에 나가면 사랑의 온도계가 있습니다. 구세군의 복장을 하고 사랑의 종을 땡그랑 땡그랑 울립니다.

사람들은 사랑의 온도계 통에 마음을 다하여 헌금 합니다. 온도눈금은 올라갑니다. 생각과 감사는 사람에게만 속합니다. 동물에게도 생각과 감정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만이 생각과 감정을 글로 씁니다.

남다른 생각, ’딴’은 사람만이 갖습니다. '딴'에서 글이 나옵니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 문화학자)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