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은 20세기 인류 역사상 가장 어두운 범죄 국가였던 나치 독일로부터 어떻게 오늘날의 가장 성숙한 민주주의 국가 중 하나로 변화할 수 있었을까?”로 시작된다.
민주주의 들판의 여정은 단순히 제도의 변화나 외세의 개입이 아니었다. 독일 사회 내부의 성찰과 과거 청산, 교육, 그리고 법적·도덕적 책임의 수행이라는 고통스러운 과정을 통해 이뤄진 것이다.
우선, 독일의 탈 나치 화(Entnazifizierung)는 단지 정치적 권력에서 나치 인물을 제거하는 것에 그치지 않았다. 2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연합국은 나치 지도자들을 국제법정에 세워 뉘른베르크 재판을 단행했고, 전쟁범죄의 책임 소재를 명확히 했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독일 내부에서 벌어진 '기억과 사과의 문화'다. 전후 세대는 자신들의 부모 세대가 저지른 유대인 학살, 침략전쟁, 인권유린에 대해, 묻고, 따지고, 반성했다. 정치가 아닌 시민사회와 지식인들이 주도한 이 '과거사 청산'의 흐름은 독일 민주주의의 밑거름이 되었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의 변화는 결정적이었다. 독일의 교과서에는 나치 시기의 범죄가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어린 시절부터 ‘우리 조상들이 이런 잘못을 저질렀다’라는 사실을 배우고, 반복되지 않도록 감시하고 경계하는 책임감을 교육받는다.
이는 단지 과거의 잘못을 상기시키는 수준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지키는 시민의식의 출발점이다. 다시 말해, 민주주의는 단지 선거 제도나 의회 시스템의 문제가 아니라, 시민 개개인의 도덕적 각성과 역사 인식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독일은 보여주었다.
또한, 독일은 법 제도적으로도 나치의 재등장을 원천 봉쇄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나치의 상징이나 부정 발언에 대해서는 명확한 처벌 규정을 뒀다. 극우주의가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수단으로 악용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 것이다. 이를 통해 독일은 자유민주주의의 핵심 원리를 지키면서도 극단주의를 견제하는 현실적 제도 설계를 구축했다.
더불어, 유럽통합에의 참여는 독일 민주주의의 뿌리를 국제적 연대 속에서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독일은 전쟁과 파괴의 주범이었지만, 프랑스와 손잡고 유럽연합(EU)의 건설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국제사회 속 책임 국가로 탈바꿈했다. 이는 단순한 경제적 이해관계를 넘어, 과거에 대한 반성과 미래에 대한 공동 책임이라는 정치철학의 전환이었다.
그렇다면 한국 사회는 어떤가? 우리도 일제강점기, 군부독재, 민주화 투쟁, 촛불 혁명 등 역사적 고비를 거치며 오늘의 민주주의에 이르렀다.
그러나 여전히 과거 청산은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 친일청산은 완결되지 않았고, 독재에 가담했던 세력들이 정권을 잡고 민주주의를 역행시키는 일도 반복된다. 학교에서는 여전히 역사 왜곡과 정쟁의 틈바구니에서 '시민 됨'에 대한 교육이 미약하다. 사회적 양극화는 극단주의를 키우고, 정치 불신은 민주주의를 피곤한 제도로 여기는 풍토를 낳고 있다.
독일은 이러한 문제들을 민주주의의 적이 아니라, 민주주의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정면 돌파했다. 성숙한 민주주의는 완전한 시스템이 아니라, 끊임없이 반성하고 점검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이다. 독일이 이를 증명했다면, 한국도 그렇게 될 수 있다.
과거는 지워지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을 마주하고 고백하며 새로운 길을 여는 용기는 공동체를 다시 살리는 첫걸음이다. 독일이 그러했듯이, 우리도 ‘기억을 통해 자유로워지는 법’을 배워야 한다. 민주주의는 기억 위에 세워지는 것이며, 망각 위에선 언제든 다시 무너질 수 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