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해방 80년, 친일 잔재 여전"… 독립유공자 후손 생활만족도 '6.4%' 충격

  • 등록 2025.08.13 17:43:54
크게보기

광복회 조사, "친일 행위자 요직 부적절" 71.8%…세대 멀수록 불만족 심화·국가 보훈 지원 '부족' 절반 넘어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해방 이후에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일 반민족 행위자의 사회 요직 진출에 대해서도 대다수가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일부터 7일까지 독립유공자 후손 850명과 일반 국민 1000명 등 총 18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체성 인식 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후손 78.0%, 국민 70.9%였다. "친일 반민족 행위자의 사회 요직 진출이 부적절하다"는 의견은 후손 85.1%, 국민 71.8%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광복회와 광복회 학술원의 의뢰로 ㈜코리아데이터월드가 2025년 8월 1(금)~7(목)일에 걸쳐 광복회에 소속된 독립유공자 후손 850명과 일반 국민 1,000명 등 총 1,85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독립유공자 후손이 95% 신뢰수준에서 ±3.19%P(유한모집단), 일반 국민이 95% 신뢰수준에서 ±3.09%P(무한모집단)다.

뉴라이트 성향 인사의 정부 요직 임명에 대해서도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후손의 81.6%, 국민의 61.3%가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지금이라도 친일 잔재 청산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후손 83.1%, 국민 71.8%였으며, 특히 40대 이하 후손은 90.0%, 50대는 96.6%로 젊을수록 청산 필요성을 크게 인식했다.

한일관계 개선의 핵심 조건으로는 양 집단 모두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반성'을 1순위로 꼽았다.

국가의 보훈 보상과 예우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낮았다. 국가 보상이 ‘충분하다’는 응답은 후손 12.7%, 국민 16.5%에 불과했고, '부족하다'는 응답은 각각 57.4%, 50.7%였다.

독립유공자 후손의 생활 만족도는 6.4%로 매우 낮았으며, 세대가 멀어질수록 불만족 비율이 증가했다. 독립유공자의 자녀 세대 불만족도는 30.6%였으나, 손자녀 세대는 43.6%, 증·고손자녀 세대는 51.7%에 달했다.

가장 많이 지원받은 항목은 의료비(69.4%)와 보훈보상금(67.3%)이었으며, 만족도가 높은 지원 항목 역시 보훈보상금(59.1%), 의료비(50.4%) 순이었다. 그러나 전반적 지원 정책에 대해서는 후손의 40.6%가 ‘불만족’이라고 응답해 정책 재검토 필요성이 드러났다.

국가보훈부의 지원이 충분치 않다고 답한 비율은 후손 61.6%, 국민 51.7%였으며, 특히 부산·울산·경남(81.6%)과 광주·전라(78.0%) 지역 후손의 부정 평가는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후손의 최대 고충은 '적은 연금액'(29.4%), 다음으로 '연금 승계 단절 우려'(25.1%)였으며, 국민은 '사회적 무관심·차별·편견'(28.8%)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후손과 국민 모두 '보훈연금 및 지원 대상 확대'를 필요 정책 1순위로 제시했으며(후손 70.1%, 국민 46.6%), 현 정부 중점 추진 과제에서도 '보훈 예산 및 보상 확대'가 각각 58.0%, 25.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복회 관계자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여전히 친일 청산과 독립유공자 예우 문제가 국민 의식 속에서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음이 확인됐다"며 "국가적 차원의 실질적 개선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