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개호 의원 "소아의료 체계 강화는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투자"

  • 등록 2025.08.28 19:11:50
크게보기

전남 군 단위 15곳 소아청소년과 '전무'… 전국 기초단체 58곳 소아과 공백 심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이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은 28일 발표한 자료에서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 수는 3만6천 개소를 넘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아이들을 돌볼 수 있는 지방의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종합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소아청소년과 의원 수는 2018년 2,221개소에서 2025년 2,187개소로 34개소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의원 수가 31,032개소에서 36,520개소로 약 17.7%(5,488개소) 늘어난 것과 대비되는 흐름이다. 저출산 심화, 낮은 수익성, 전공의 기피 등 구조적 문제로 소아청소년과가 붕괴 위기를 맞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전국적으로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단 한 곳도 없는 기초자치단체는 58곳에 달한다. 이들 대부분은 농산어촌 지역으로, 병원급 의료기관의 소아 전문의 부재와 대학병원 연계 미흡으로 응급·중증환자 대응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전남은 담양·해남·고흥·곡성 등 무려 15개 군 단위 지역에 의원급 소아청소년과가 전혀 없어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공백 지역이 가장 많다. 영광군은 2018년까지 한 곳이 운영됐으나 폐업 후 현재까지 재개원이 없는 상태다.

이 의원은 "농어촌 지역은 출산을 장려해도 아이를 진료할 곳조차 없는 소아의료 사각지대 상태"라며 "소청과는 낮은 수익성, 높은 민원 부담, 야간·응급진료 부담으로 전공의 기피가 심각한 진료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방의 특수성을 반영한 인력·시설·행정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어 "농어촌 지역의 경우 소청과 전공의 유입률이 사실상 0%에 가깝다"며 "구조적 의료 공백을 극복하기 위한 맞춤형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소아의료체계 강화는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투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음은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전혀 없는 58개 기초자치단체 현황이다.

▲ 전남 (15곳) 담양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해남군,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신안군, 영암군, 완도군, 장흥군, 진도군
▲ 전북 (6곳) 고창군, 무주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 강원 (8곳)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 충북 (4곳)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 충남 (3곳)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 경북 (10곳) 고령군, 군위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 경남 (7곳) 고성군,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하동군, 함안군, 합천군
▲ 경기 (2곳) 가평군, 연천군
▲ 인천 (1곳) 옹진군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