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가 16일 공식 논평을 통해 국민의힘 박민영 미디어대변인의 최근 발언을 강하게 비판하며 "즉각 사퇴와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한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을 두고 "장애인을 너무 많이 할당해서 문제", "배려받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피해 의식으로 똘똘 뭉쳤다" 등 장애를 직접적으로 언급한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방송의 진행자 역시 "김예지는 장애인인 것을 천운으로 알아야 한다", "뭐만 잘못하면 여자라서 당했다고 하냐"와 같은 발언을 이어갔으나, 박 대변인은 이를 제지하지 않고 오히려 혐오성 발언의 흐름에 동조했다는 점에서 더 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는 논평에서 "장애를 이유로 특정 정치인의 정당성을 문제 삼고, 여성이라는 정체성을 공격 포인트로 삼는 행위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회 내 장애인 비례대표는 300명 중 3명(약 1%)에 불과하며, 여성 국회의원 비율 역시 20% 수준으로 여전히 성별 균형과는 거리가 먼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장애인·여성 할당제를 '과도한 특혜'로 왜곡하는 태도는 "구조적 차별을 무시하는 무책임한 인식"이며 "여성과 장애인의 정치적 진입을 가로막아 온 과거로 회귀하려는 것"이라고 단체는 강조했다.
특히 미디어대변인이라는 직책 특성상 공적 언어의 품격과 당 메시지의 신뢰성이 필수적임에도 박 대변인의 발언은 "직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는 국민의힘을 향해 세 가지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첫째, 박민영 대변인의 발언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고 징계를 포함한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할 것. ▲둘째, 장애·여성 등 사회적 약자를 향한 혐오 표현이 정치권에서 반복되지 않도록 재발 방지 대책과 관련 교육을 마련할 것. ▲셋째, 대표성 확대 제도를 ‘특혜’로 매도하는 행태를 중단하고 차별 없는 정치 환경을 조성할 것.
단체는 "혐오가 정치적 무기가 되는 순간 민주주의는 후퇴한다"며 "앞으로도 차별 없는 공적 담론을 위해 정당과 국회를 감시하고 여성·장애인의 대표권을 지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관련 논란이 선거제도 개편과 대표성 확대 논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주요 정당의 인권·포용성에 대한 사회적 감수성이 강화된 만큼, 당 지도부가 어떤 공식 대응을 내놓을지가 향후 파장의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는 이번 논평을 통해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정치권 문화의 민낯을 드러낸 사건"이라고 규정하며, 장애·여성에 대한 혐오 발언을 "정치적 구조에서 반드시 뿌리 뽑아야 할 퇴행적 언어"라고 강조했다.
i24@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