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 민주당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우 전 수석에 대한 1심 선고 형량은 청와대 민정수석이라는 직위를 남용하여 법질서를 위반하고 국기를 문란하게 한 불법행위를 엄정히 처벌한 판결로 평가한다”며 “민주당은 법원의 엄정한 판결로 존중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어 “다시는 적폐세력에 의한 국헌 문란 행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법과 제도 정비에 소홀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며 “우병우 전 민정수석은 지금이라도 재판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고, 자신의 과오에 대해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과를 하라”고 강조했다.
권성주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국정농단으로 인한 국가 혼란 악화에도, (우 전 수석이) ‘법꾸라지’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법망을 빠져나가며 국민의 공분을 키워왔던 것을 감안하면 2년 6개월이라는 형량은 국민감정엔 턱 없이 못 미칠 것"이라면서 "삼성 이재용 부회장의 집행유예 판결에 이어 국민들에게 법은 강자에게 부드럽고 약자에게 엄격하다는 인식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은 분명 우려된다”고 말했다.
권 대변인은 “ 사법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존중하고 감정이나 정치논리로부터 철저히 독립된 판결이었을 것이라 믿는다"며 "앞으로 예상되는 항소와 판결의 과정에도 철저히 객관적이고 엄중한 법 집행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사법부의 판단은 존중한다”면서 "그러나 국민 정서와 괴리된 판결로 깊은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최 대변인은 “직권행사 및 권리남용에 대한 법리적인 판단이지만, 국정농단의 주범이자, 국가 헌정 질서를 유리한 법꾸라지에 대한 단죄로는 약하다”며 “우병우는 국정농단을 방조한 혐의가 아니라 국정농단의 한 축으로 단죄되어야 한다. 국정농단의 가장 직접적이고 큰 책임자로서 국민법감정이 용인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 전 수석은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의 중요한 한 축이다. 최순실에게는 20년의 징역형을 선고하는 법원이 적극적인 동조자이자 공모자인 우 전 수석에게 8분의 1 수준의 징역형을 선고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며 “검찰의 8년 구형에 한참이나 못 미치는 결과"라며 실망감을 드러냈다.
최 대변인은 "항소심에서 법원의 상식적인 판단을 기대하겠지만 무엇보다 검찰의 진정성 있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본다"며 "국민들 눈치보며 구형은 크게하면서 정작 법원이 판단할만한 알맹이는 주지 않는 부실한 모습은 결코 없어야 할 것이다. 국민들은 이제나저제나 국정농단의 주역들이 저지른 죄에 걸맞은 징벌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창현 민중당 대변인도 서면 논평을 통해 "황제조사를 받고 법망을 요리조리 피하며 공분을 샀던 국민의 감정에 비춰 이번 판결은 가벼운 처벌"이라면서 "향후 있게 될 공직자와 민간인 불법사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관련 재판에서 더 엄한 처벌이 내려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redkims6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