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정부가 1년 넘게 바닷속에 가라앉은 세월호 선체를 인양하기로 최종 결정하고, 빠르면 9월부터는 수중작업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17개 부처로 구성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회의를 개최하고,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가 제출한 ‘세월호 선체인양 결정(안)’을 심의하고 원안대로 확정했다.

▲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이 22일 오후 세월호 선체 인양 결정 계획에 대해 밝히고 있다./미래일보
박인용 중대본 본부장(국민안전처 장관)은 "정부는 이번 중대본 결정에 따라, 인양과 관련된 부처별로 맡은 역할을 충실히 준비해 세월호 선체 인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에 해수부는 이날 '세월호 선체 인양 결정에 따른 후속 조치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해수부는 우선 기술력과 경험이 풍부한 국내 및 해외 업체를 대상으로 기술제안서를 제출 받아 세부 평가를 실시하고 가장 적합한 인양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절차에 신속히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또 인양업체가 선정되면 약 3개월간 세부적인 인양설계를 실시하여 현장여건에 부합되는 최적의 설계를 도출할 계획이다. 특히 설계 작업과 병행해 각종 자재와 장비 확보, 해상 작업기지 설치, 선체 내 유류제거 등의 현장작업을 가능한 9월중에는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해수부는 "인양업체 선정과 세부 설계과정에서 철저한 사전 준비와 기술적 검증을 통해 기술적인 위험 및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기술적인 확실성 보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세월호 조기 인양을 위해 관련 절차를 신속히 진행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선체 인양 과정에서 최우선적으로 실종자 유실 방지대책을 철저히 마련하는 한편, 세월호 사고해역의 어려운 여건을 감안하여 2차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대책도 준비해 선체를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1년 동안 형언할 수 없는 아픔과 슬픔으로 힘겨운 시간을 보내 온 실종자 가족 및 유가족들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라며 "앞으로 선체 인양 과정에서 실종자 가족 및 유가족들과 긴밀히 소통하는 등 세월호 선체 인양과 실종자 수습에 범정부 차원에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해수부는 선체 인양 관련 업무를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선체 인양 전담 부서를 부내에 설치하고 필요한 인력과 예산을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해 확보할 방침이다.
선체 인양에는 현장 조건에 따라 1천억∼1천500억원, 12∼18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됐다.
인양 기간이 6개월 연장될 때마다 비용이 약 500억원씩 늘어나고, 작업 과정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면 2천억원 이상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화물을 포함해 1만t에 이르는 선박을 맹골수도처럼 조류가 거센 해역에서 인양하는 작업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어 성공을 장담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양 컨설팅 업체인 영국의 TMC는 인양 성공 가능성에 대해 "성공 가능성을 수치로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지금까지 파악한 내용으로 볼 때 좋은(good) 편"이라고 말했다.
중대본부장인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정부는 이번 중대본 결정에 따라 인양과 관련한 부처별 역할을 충실히 준비해 세월호 선체 인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장건섭 기자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