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300여개 시민단체들이 모인 촛불청소년인권법제정연대가 지난 10월10일부터 20일까지 전국 중고등학생 연령대 청소년 2,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전국 청소년 인권실태·의식 조사’ 결과 매우 그렇다 45.9%, 조금 그렇다 34.5% 등 80.4%가 청소년에게 참정권이 보장될 때 교육 및 청소년 청책의 변화가 예견된다고 응답했다. 부정적인 견해는 별로 그렇지 않다 14%, 전혀 그렇지 않다 5.6% 등으로 조사됐다.
이는 청소년이 ‘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외면하는 기존 정당 및 정치인들에 대한 평가 담겨 있는 인식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정치 참여를 통해서 교육 정책이나 청소년 정책이 변화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크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촛불청소년인권법제정연대 소속 학생들과 전교조, 더불어민주당 유은혜·박주민 의원은 2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 청소년의 인권 실태 및 사회 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나에게 선거권이 있다면 사회나 정치에 대한 관심이 지금보다 높아질 것이다’는 항목에서는 매우 그렇다 53.3%, 조금 그렇다(31.1%)라고 답했다. 아니라는 답변은 15.6%에 불과했다.
이같은 결과는 현재 청소년의 정치적 무관심은 참정권이 보장되지 않고 정치에 참여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예상된다.
이어 ‘청소년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법과 제도가 필요하다’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 61.9%, 조금 그렇다 28.6%로 응답해 청소년인권 보장을 위한 법의 필요성을 청소년들이 크게 느끼고 있음을 드러냈다.
이 조사에 따르면 박근혜 정권 퇴진 촛불 정국 당시 참여하는 않은 청소년은 44.6%로, 절반 이상의 청소년이 정권 퇴진 운용에 참여했다고 응답했다. 또 28%는 집회에 참석한 경험이 있고 20.7%는 온라인을 통해 정치적 의견을 표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치적 입장을 밝히는 선언에 서명한 경우는 36.3%에 달했다.
이같은 결과를 볼 때 청소년 2명중 1명 이상이 대통령 퇴진이라는 정치적 사안에 대한 의견을 표현하거나 행동에 나선 것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청소년 중 교사나 어른에게 자기 의견을 말할 때 불이익을 받을까봐 걱정된다는 응답이 61.2%에 달했으며 학교에서 정치적 사회적 현안에 대해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자주 또는 가끔 있다는 응답은 34.4%에 불과해 청소년의 정치의식은 높으나 정치적 표현의 자유나 토론의 기회는 제대로 보장되고 있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dkims6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