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명 촛불집회 참석… '분노의 함성' 포효

  • 등록 2016.11.13 13:51:53
크게보기

폭력투쟁 No…평화로운 방식의 시위 정착

(서울-미래일보) 정정환 기자 = 12일 성난 민심은 “이것이 국민이다”는 분노의 함성으로 100만개 평화 촛불 아래 전국으로 메아리가 쳤다. 서울 도심을 밝힌 100만개의 촛불과 전국적으로 빛난 수만 개의 촛불은 남녀노소 온 국민의 목소리는 하나가 돼 민심을 보여줬다.

대부분 외신들까지도 이날 서울시청광장, 광화문 등지에서 열린 촛불 집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

구한 집회를 보도하면서 “시위대의 목소리는 어느 때보다 컸지만 매우 평화로운 방식으로 시위가 질서정연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비선 실세 책임을 물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3차 주말 촛불집회는 2000년대 들어 가장 많은 인원이 모인 집회였다. 주최 측이 추산한 참가자는 100만명 이상(경찰은 26만 명)이다. 촛불집회로는 건국 이래 최대 규모로 꼽히고 있다.

 

2008년 6월10일 광우병 촛불집회(주최 측 추산 70만명(경찰 추산 8만명)이다. 아울러 2004년 3월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규탄 촛불시위 주최 측 추산 20만명(경찰 추산 13만명)으로 나타난 참가 인원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이 규모와 비슷한 역대 집회로는 100만명이 모인 것으로 알려진 1987년 6·10항쟁이 있다. 촛불집회가 2002년 미군 장갑차 사고로 숨진 효순·미선양 추모집회에서 시작한 점을 고려하면 촛불집회로는 사상 최대이다.

 

규모 뿐 아니라 평화 집회로도 역사에 남을 날이었다. 성숙한 시민의식은 집회가 열린 서울시청광장, 광화문광장, 율곡로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시민들은 ‘박근혜는 퇴진하라’고 외치며 청와대를 향해 분노어린 큰 목소리를 냈지만 질서정연하고 평화롭게 움직였다.

 

1년 전 민중총궐기에서 참가자와 경찰 사이에 격렬한 충돌이 이어지면서 백남기 농민이 물대포에 맞아 끝내 숨졌던 것과 비교하면 괄목상대할 변화이다. 가족이나 연인, 중고생 등 집회 주축 층의 스펙트럼이 넓어졌다는 점도 시사점이 있었다.

 

집회 후 풍경도 과거와 크게 달랐다. 시위에 참여한 시민들은 바닥에 떨어져 있는 쓰레기를 줍는 것은 물론 바닥에 떨어진 촛농까지도 휴대전화 손전등으로 비추며 긁어냈다. 외신은 “학생, 가족, 젊은 연인, 휠체어를 탄 장애인 등이 참가한 평화 시위가 열렸다면서 과거 노동조합과 시민 단체가 이끈 일부 폭력 시위와는 매우 대조적이었다”고 평가했다.

100만개의 촛불과 100만 민심의 평화로운 외침이 대한민국 집회역사에 의미 있는 한 페이지를 만들어 낸 샘이 아닌가 생각한다. 특히 집회를 마치고 가면서 볼 때 지하철의 안내 방송 내용이나 역무원들의 친절한 안내모습도 예전과 달리 고객감동을 주었다는 칭찬의 글들이 SNS 등을 통해 알려지고 있다,


jhj0077@daum.net

정정환 기자 jhj0077@hanmail.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