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어미쏘가리 배합사료 길들이기 성공…국내 첫 특허

  • 등록 2016.01.25 14:22:36
크게보기

현행방식보다 경제성 뛰어나 국내 양식어가 즉시 도입 가능

(수원=동양방송) 현은미 기자 = 경기도가 양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어미 쏘가리를 배합사료를 이용해 키우고 종묘(쏘가리 치어)까지 생산하는 새로운 양식 방법을 국내 최초로 개발, 특허 등록을 마쳤다.

 

25일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에 따르면 연구소는 이런 내용을 담은 쏘가리의 순치를 통한 양식방법을 개발, 20151230일 특허(특허번호 제10-1583011)를 받았다 

다 자란 어미쏘가리를 사료를 통해 키우고 종묘 생산까지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소는 시중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뱀장어 반죽사료를 길이 5~10cm 크기의 물고기 형태로 만들어 쏘가리 어미에게 준 결과 길들이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이번 특허가 살아있는 생물만 먹는 습성 때문에 경제성 문제로 고민하는 양식어가의 고민을 상당부분 해결해 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어미 쏘가리의 먹이로 사용되는 살아있는 미꾸라지의 경우 kg2만원에 이르지만 연구소에서 사용한 배합사료는 kg4,000원에 불과하다.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국내 일부지역에서 일정 정도 자란 치어에 사료를 먹여 키우는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배합사료로 어미를 길들인 어미로부터 치어를 생산한 것은 국내 최초라며 이번 특허는 국내 쏘가리 양식장에 지금 당장 도입해 어미 쏘가리도 키우고 치어도 생산할 수 있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쏘가리가 치어 생산부터 어미고기까지 완전양식 될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계속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는 치어가 3cm가량 자랄 때까지는 생물을 먹인 후, 사료를 이용해 치어를 키우는 방식까지 개발됐지만 부화하자마자 사료를 먹이는 양식은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쏘가리는 육식성 어종으로 육질이 단단하고 특유의 단맛으로 고급 회와 매운탕 재료로 인기가 높다. 다 자란 자연산 쏘가리의 경우 산지 도매가격이 56만원을 호가할 정도로 경제성도 뛰어나지만 살아서 움직이는 먹이만을 먹는 습성 때문에 경제성 문제가 쏘가리 양식 활성화에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수산정보공개포털(fips.go.kr)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쏘가리 생산량은 각 140, 99, 107톤이었으며 대부분 자연산으로 양식이 차지하는 부분은 매년 1톤에 불과했다.

 

news@dmr.co.kr

현은미 기자 news@dmr.co.kr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