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양애경 한서대 교수, '돌봄에서 늘봄으로…늘봄 프로그램 질'이 성공 열쇠

2024.03.19 18:42:54

늘봄학교, 올해 하반기 전면 시행…새 학기에는 초등학교 2,700곳, 2학기엔 전국 모든 학교에 도입
올해는 1학년만, 2026년까지는 모든 학년으로 확대 시행…국가가 돌봄을 책임지고 양육 부담,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는 취지

(서울=미래일보) 양애경 한서대학교 교수 = 늘봄학교가 올해 하반기 전면 시행을 앞두고 학교 부담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면밀한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학교와 교육청의 협력을 통한 운영체계 안정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촘촘한 교육안전망 구축이 선결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인구절벽 시대, 저출산 시대를 맞아서 일-가정 양립을 위한 '사회적 돌봄'이 필요할 때이다, 그리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높아지고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돌봄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돌봄이 왜 필요한가를 고민하기보다 어떻게 돌봄을 만들어갈 것인가를 고민할 때이다.

늘봄학교가 시행 초기인 만큼 혼란도 많고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 안전관리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지만, 학교현장의 우려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

늘봄학교란?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의 줄임말이다. 늘 봄같이 따뜻한 돌봄, 아이들이 재미있고 행복한 곳, 늘봄학교는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를 만들겠다는 의미를 갖고 출발하였다.

학교 안팎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활용하여 희망하는 초등학생에게 정규수업 전후로 제공하는 양질의 교육‧돌봄(Educare)* 융합서비스, 즉, 초1 맞춤형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늘봄학교의 취지와 내용을 정리해보면, 아침 7시부터 저녁 8시까지 운영되는 이런 '늘봄학교'가 새 학기에는 초등학교 2,700곳, 2학기엔 전국 모든 학교에 도입된다. 올해는 1학년만, 2026년까지는 모든 학년으로 확대된다.

국가가 돌봄을 책임지고 양육 부담,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는 취지이다. 학부모 사이에서 늘봄학교가 사교육보다 매력적인 선택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늘봄학교 프로그램의 질'이 바로 성공 열쇠이다. 공급자 관점에서 아무리 양질의 교육이라고 하더라도 수요자 처지에서는 양질로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수요자가(학생, 학부모)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하게 진단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늘봄학교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는 형성됐지만, 이를 뛰어넘어 사교육이나 개인 돌봄보다 '늘봄학교의 서비스 질'이 좋다는 신뢰가 생겨야 한다는 점이다.

'놀면서 배우고 배우면서 노는 곳'이 늘봄학교이다. 저소득층과 맞벌이 가정 등 우선순위 없이 늘봄학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다. 국가가 책임지는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과 돌봄! 아이들의 성장으로 학생, 학부모, 교원 모두가 만족하는 따뜻한 늘봄학교가 되기를 기대하는 바다.

'돌봄 위주에서 벗어나' 늘봄 프로그램의 질‘이 좋아져야 학부모 신뢰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된다. 부모에게는 지금보다 질적·양적 수준에서 더 나은 돌봄과 교육 기회를 내 아이가 가질 것이라는 확신을 주어야 한다.

늘봄학교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교사와 돌봄 전담사, 방과 후 학교 강사 선생님 등 관계자들이 더 많이 소통해야 한다. 우리 아이들이 행복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아이의 눈높이로 보아야 잘 보인다.

스웨덴의 돌봄교실은 '레저 타임센터'이다. 아이들의 핵심은 놀이 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아이들의 재미있게 놀면서 배우는 돌봄교실! 이것이 스웨덴의 돌봄모델이다.

늘봄학교는 아이들이 자신의 행복한 성장, 발달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기회의 공간이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민간 자원을 활용하여 늘봄학교에 참여하는 모든 아이가 누릴 수 있는 양질의 교육, 돌봄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늘봄학교를 통한 사회서비스이다.

늘봄 프로그램이 전국의 모든 학교가 모두 같은 형태로 운영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지역의 상황과 특성, 학교의 여건 등 지역의 특성에 맞는 운영방식이 필요하다.

이는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는 늘봄학교 확산 모델로 나아가는 데 필수적이며 학교에서 출발했지만 여기서만 머물 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학교, 학부모 운영회, 민간단체, 대학까지 확대되는 등 운영방식이 다각화되어야 한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하면 인력 문제도 해소될 수 있다.

초등학교 1~2학년은 특히 동적인 활동해야 하는 시기인 만큼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공간 확보도 중요하다. 학원과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 할 수 없는 체육 활동, 인성 및 전통놀이, 문화예술, 창의 과학 활동을 통한 다양한 체험 활동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초등 사교육을 줄일 수 있는 해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자연과 접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위주로 늘봄학교 공간이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1~2학년생 발달 시기는 동적인 프로그램과 정적인 심리·정서 프로그램을 균형 있게 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효과적이다.

아이들은 우리나라의 미래이며 국가의 소중한 자원이다. 그동안 방과 후 학교 돌봄교실은 국정과제 교육정책 1위를 차지할 만큼 높은 만족도를 보여 왔다. 앞으로도 명실상부한 '늘봄학교'가 안정적으로 정착한다면 일-가정 양립을 위한 '사회적 돌봄' 체계가 완성될 것으로 믿는다. 왜냐하면, 늘봄학교는 늘~ 봄처럼 따뜻한 학교를 만들겠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늘봄학교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는 첫째, 늘봄학교가 국민의 호응을 받는 것,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는 늘봄학교 확산 모델 정립이 선결과제이다.

마지막으로 제일 중요한 것은 관계자들의 돌봄 전담사, 교사, 강사들, 업무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어떤 지원이 필요할 것인가에 대한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 양애경(한국방과후학교학회장/한서대학교 교수)

i24@daum.net
장건섭 기자 i24@daum.net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