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치즈 아버지’ 지정환 신부 한국 국적획득

  • 등록 2016.02.05 10:18:58
크게보기

장애인 자활 평생 헌신 천노엘 신부도…법무부 특별귀화 허가

(서울=동양방송) 고진아 기자 = 한국 치즈의 아버지라 불리는 지정환(85·세스테벤스 디디에) 신부와 장애인의 자활 및 권익보호에 평생 헌신한 천노엘(84·오네일 패트릭 노엘) 신부가 특별귀화허가를 통해 한국 국적을 취득했다. 

법무부는 4일 한국 사회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한 공로를 인정해 지 신부와 천 신부에게 국적증서를 수여했다고 5일 밝혔다.

 

벨기에에서 태어난 지정환 신부는 1958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1959년 국내에 입국했다. 지 신부는 첫 부임지인 전북 부안에서 3년여간 간척사업을 벌여 농지 30만평을 개간해 지역 농민에게 분배, 자립기반을 마련해 줬다.

 

임실치즈의 역사가 시작된 것은 지 신부가 1964년 전북 임실성당 주임신부로 부임하면서 부터다. 지 신부는 가난과 굶주림의 대물림을 끊기 위해 지역 청년들과 신용협동조합 운동을 전개하고 3년간의 실패를 거듭하면서 유럽 현지의 기술자에게 치즈 생산기술을 배워와 1967년 국내 최초로 임실에 치즈공장을 설립했다.

 

지 신부는 지역 주민들의 생활 수준 향상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으며 한국 치즈의 아버지’ ‘임실 치즈의 대부로 불리고 있다.

 

지 신부는 1964년부터 산양협동조합과 치즈공장 설립, 치즈 생산판로 개척, 교육 등으로 쉬지 않고 일을 하다가 다발성신경화증이 발병, 오른쪽 다리가 마비되어 약 3년간(’81’83) 프랑스 나환자 마을에서 요양했다.

 

그는 1984년 귀국해 중증 장애인을 위한 재활센터, 무지개의 집(전북 완주시 소재)을 설립해 각종 교육과 운동을 통해 장애인의 자활에 헌신했다.

 

지 신부는 2002년 가난한 농민들과 중증 장애인들의 자립을 위해 봉사한 공로로 호암재단으로부터 사회봉사상을 수상했으며 수상 상금 1억원과 사비, 기부금 등 5억원으로 2007년 무지개 장학재단을 설립해 매년 어려운 사람들에게 장학금을 수여하고 있다.

 

지 신부는 현재 지병으로 사회활동을 할 수 없지만 임실 치즈의 발전을 통한 지역경제가 발전하는 모습을 지켜보며 여생을 보낼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천노엘 신부는 1956년 사제 서품을 받은 뒤 1957년 선교 및 구호활동을 위해 국내에 입국, 60여년간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인권 옹호 및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등을 위해 헌신했다.

 

천 신부는 1981년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 적응해 살아갈 수 있도록 국내 최초 지적 장애인과 봉사자가 함께 생활할 수 있는 소규모 가족형 거주시설 그룹홈을 광주시에 설립했다.

 

천 신부는 1987년 지적자폐성 장애인의 자립 생활 및 사회적응 능력 증진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기 위해 선교회 및 독일 후원단체 등의 지원을 받아 엠마우스 복지관을 설립했다.

 

천 신부는 현재 1993년 설립한 사회복지법인 무지개공동회 대표이사로서 정신지체 장애인의 자활 의지 고취를 위해 직업 훈련 및 사회적응 훈련은 물론 특수교육 프로그램 등을 마련, 운영하는 등 장애인의 권익 옹호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는 13개의 장애인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천 신부는 한국인으로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봉사하면 살아가겠다고 밝혔다.

 

이 날 국적 취득식에서 김현웅 법무부장관은  "지역 경제 발전과 장애인을 위한 헌신적 활동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사랑과 나눔의 문화가 우리 사회에 정착돼 더욱 따뜻한 사회가 되도록 많은 역할을 해 달라"고 말했다.

 

pakje77@dmr.co.kr

고진아 기자 pakje77@dmr.co.kr
<저작권ⓒ 동양방송·미래일보,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미래매스컴 등록번호 : 서울 가00245 등록년월일 : 2009년 4월 9일 기사제보 i24@daum.net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33 그랜드빌딩 대표전화 : 02-765-2114 팩스 02-3675-3114, 발행/편집인 서정헌 Copyrightⓒ(주)미래매스컴. All rights reserved. 미래일보의 모든 콘텐츠는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