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공연은 一世之雄(일세지웅) 뜻풀이에 맞게 한국을 대표하는 명인명창들이 한자리에 모여 국악대잔치를 벌인다. 명창 신영희를 비롯하여 김수연, 안숙선, 강정숙, 진유림, 이호연, 김청만, 왕기석, 신기식 등이 참여하여 그야말로 명인명창전이 될 예정이다. 더불어 판소리 무형문화재이자 광주시립창극단 예술감독인 유영애 명창도 함께하여 의미를 더한다.
이름만 들어도 기대감이 커지는 공연의 첫 무대는 남도민요이다. 남도민요하면 떠오르는 ‘육자배기’를 국가무형문화재인 신영희, 김수연, 유영애, 안숙선의 소리로 들어본다. 명인들의 무대를 이어 시립창극단 창악부 단원들이 무대에 올라 ‘새타령, 액맥이타령’을 들려준다.
두 번째 순서는 명인 강정숙의 가야금 연주를 들어볼 수 있는 ‘서공철류 가야금산조’(장단 신기식)이 펼쳐진다. ‘서공철류 가야금산조’은 매우 특이한 제로 지금 흔히 연주되고 있는 여느 가야금산조와 다른 특성을 지닌 색다른 바디로 매우 소박하고 꿋꿋한 산조이다.
이어서 판소리 흥보가 중 ‘박타는 대목’(소리 안숙선, 고수 김청만)과 심청가 중 ‘황성 올라가는 대목’(소리 김수연, 고수 신기식)이 펼쳐진다. ‘시르르르렁 실겅 당거주소. 해이여어루 당거여러 톱질이야.’와 같은 재미있는 대목들을 명창 안숙선의 소리로 들어보고, 심봉사의 ‘한(恨)’을 명창 김수연의 소리로 들어본다.
시립창극단 무용부가 선보이는 한국무용의 꽃 ‘교방무’ 무대에 이어 단막극 ‘어사상봉 막’이 펼쳐진다. 이몽룡에는 명창 왕기석, 춘향모에는 명창 신영희, 향단에는 시립창극단 상임단원 이미소가 맡아 열연을 펼친다. 다음무대는 가야금 명인 강정숙과 시립창극단 단원 이정주, 고혜수가 함께하는 ‘가야금 병창’이다. 명인과 단원들의 가야금 협주로 이번 공연의 의미를 더하는 프로그램이다.
경기민요도 만나볼 수 있다. 명창 이호연이 경기민요의 진수를 들려준다.
경기민요 대표곡인 ‘노랫가락’, ‘태평가’, ‘창부타령’, 등을 명인 김청만 장단, 시립창극단 기악부의 연주에 맞춰 선사한다.
경기민요를 들은 후에는 진유림 명무의 한국무용을 감상하는 시간을 갖는다. 먼저 시립창극단 무용무가 무대에 올라 구음과 함께 소고를 들고 전통춤을 춤인 ‘입춤소고’를 선보인다. 이후 곧바로 진유림 명무의 ‘허튼법고춤’을 관객들 앞에 펼친다. ‘허튼법고춤’은 특정한 형식없이 내재적인 흥에 맞추어 자유로이 추는 춤으로 진유림 명무의 아름다운 춤사위를 느껴볼 수 있다.
공연 마지막순서는 ‘판굿과 버나놀이, 사자춤, 버꾸춤, 진도북춤’이다. 시립창극단 타악부, 무용부 전단원이 무대에 올라 신명나는 사물놀이와 깊이 있는 전통춤을 관객들과 앞에 선사한다.
유영애 예술감독은 “2019년 한 해 동안 보내주신 성원에 보답하고자 이번 송년 공연을 보다 특별하게 준비했다.”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명창, 명인, 명무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무대이니만큼 많은 분들이 오셔서 국악의 진정한 멋과 소리를 느끼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광주시립창극단의 ‘송년 국악한마당 ; 一世之雄’ 공연 예매는 광주문화예술회관 홈페이지와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chu714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