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올해 27차례 중대본회의를 개최해 코로나 위기 극복, 경기력 회복, 포스트코로나를 포함한 미래대비를 위해 모든 경제부처가 함께 숨가쁘게 달려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최근 방역강화에 따라 더 어려워진 자영업,소상공인들의 위기극복,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대책, 수출호조 이면의 내수진작대책, 물가, 부동산 등 민생대책, 글로벌 가치사슬(GVC) 약화 등 공급망대책 등은 당장 내년 초부터 정책역량을 초집중해 대응해 나가야 할 정책과제들"이라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전반적으로 어려운 상황속에서 거시, 고용, 수출 등의 측면에서 주요국 대비 비교적 선방했으나, 부문간 충격정도와 회복속도 등의 측면에서는 현격한 격차를 보이는 양상이고, 이제 이와 같은 격차완화가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소상공인에 대한 방역지원금 지급, 손실보상금 지급, 1% 초저금리자금 지원 등 소상공인 중층적 지원방안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공공부문의 소상공인 임대료 감면과 공과금,사회보험료 납부유예 시행 기연장조치에 이어 이번 항만사용료, 터미널 임대료 감면도 6개월 연장하고 해운업 긴급경영안정자금 등 금융지원도 1년 연장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14개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연장여부도 내년 1분기중 검토할 방침"이라며 "SPV의 회사채,CP매입조치는 예정대로 올해 말 종료하되 향후 비상대응조치는 강구하고, 은행의 선물환 포지션 한도 정상화 여부 등은 추후 결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홍 부총리는 이날 논의한 안건 중 '미래유망 신직업 발굴 및 활성화 방안'을 언급하며 "미래 유망 신직업 활성화를 위해 문화,여가, 환경 등 5개 분야에서 메타버스 크리에이터, 콘텐츠가치평가사 등 총 18개의 신직업을 발굴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취약계층 지원강화 측면에서 내년 1월 중 직접일자리 60만명 이상 조기채용과 고용촉진장려금 지급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