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한솔 전 부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정의당에는 현역 선출직 공직자가 다른 공직선거에 출마하려면 상무위원회, 즉 당 지도부의 의결을 구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 요청했으나 얻지 못했다"며 "심상정 대표에게 간곡히 여러 차례 요청했으나 끝내 재가를 받지 못했다. 정의당 후보로 총선에 출마할 길이 막힌 것"이라고 말했다.
임 전 부대표는 "12.12 군사반란과 5.18 시민학살, 5공 군사독재의 주역 전두환 씨를 단죄하기 위해 추적해 온 저는 기초의원 신분으로 제약이 많았다"면서 "이를 완수할 권한을 부여받고자 오는 4월 총선에 출마키로 결심했다"고 심경을 밝혔다.
임한솔 전 부대표는 "전두환 추적을 이대로 중단하고 기초의원에 머물 것인가, 국회의원이 돼야만 할 수 있는 일이냐고 반문할 수 있겠지만 엄연한 권한의 차이가 존재한다"면서 "오는 4월 총선을 통해 더 큰 권한을 부여받아 그 이상의 성과를 거둠으로써 국민의 성원에 보담하고 5.18 유족들의 눈물을 닦겠다"고 힘줘 말했다.
임 전 부대표는 "제 소임을 다하기 위해 원치 않지만 부득이하게 정의당을 떠난다"면서 "총선출마자 공직사퇴 법정 마감시한인 어제(16일) 기초의원직을 내려놓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록 정의당을 떠나지만 저는 계속해서 진보.개혁의 길을 힘차게 걸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정의당 강민지 대변인도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임한솔 전 부대표는 당과의 상의 없이 서대문구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했다"며 "국민들이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선출직이 종도사퇴해 유권자들의 선택을 저버리는 행위에 대해 엄정하게 판단하고 있기에, 임 전 부대표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강 대변인은 "어제 임 전 부대표는 일방적으로 구의원직을 사퇴했다"며 "당은 어제 밤 임시상무위원회에서 중징계가 불가피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어 "당규 상 선출직 공직자에 대한 특별징계 규정에 따라 임 전 부대표의 부대표 직위를 해제했다"고 했다.
redkims6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