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전 의원은 이날 열린 정례 세미나에서 연단에 올라 "내년 서울 보선의 핵심 이슈는 집값과 전셋값이 될 것”이라며 "집 걱정부터 덜어드리는 '경제시장'이 되겠다"고 밝혔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으로 3선 의원을 지낸 이 전 의원은 당내에서 대표적인 ‘경제통’으로 꼽힌다. ‘경제시장’이 되겠다는 다짐처럼 이 전 의원은 주거 안정과 관련한 공약을 내세웠다.
이 전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장 자리는 대권용 디딤돌처럼 인식됐고 서울 시민의 삶은 뒷전이었다"며 "재생과 보존을 고집하며 새집 공급을 가로막아 집값과 전세값의 동반 폭등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이 전 의원은 이어 "한강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신혼부부와 육아부부에게 특화된 지분적립형 주택단지를 공급하고 강북·강서 4개 권역에 80층 규모 직장·주거 복합단지를 건설해 청년의 주거와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공약했다.
이 의원은 또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광화문광장 조성 사업은 물론 각종 매입 임대사업 등 신규 사업을 일절 중단하고, 곧 선출될 새 시장에게 맡기라"고 주장했다.
민간에 공급하는 방안으로는 조속한 재개발·건축 정비사업 추진을 약속했다. 또 전세난 해결을 위해 재건축·리모델링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제·금융 지원도 공약으로 걸었다.
여당이 제시한 행정수도 이전 구상과 관련해서는 "정쟁에만 몰입한 대표적 사례"라며 "민주당이 당당하다면 내년 선거 공약으로 내걸고 시민의 심판을 받으라"고 비판했다.
이 전 의원은 청년세대의 다양한 경험과 취업활동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19∼30세 청년의 지하철 요금을 무료로 하는 '청춘 프리패스' 공약도 내놨다.

이 전 의원은 "기존 복지수단을 통·폐합해서 누락, 중복된 부분을 정리하는 계기로 삼는 게 낫다"고 제안했다.
한편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당내 경선에서 '여성 후보 가산점'을 주는 방안을 두고 여야 모두 진통을 겪고 있다.
이 전 의원은 "여성 가산점 제도를 없애는 것은 죄를 짓는 것과 같다"며 "여성 가산점 제도는 여성이 사회에서 겪는 차별과 편견에 대한 보상의 개념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전 의원은 그러면서 "차별과 편견이 사회에서 없다면 이 제도는 불필요할 것"이라며 "우리가 정치를 하는 이유도 여성이 겪는 불편함이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함"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이르면 이달 말 출범할 공천관리위원회에서 여성 가산점 등 경선 방식을 확정할 방침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