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 의원은 19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내일을 꿈꾸는 서울'의 다섯 번째 정책 시리즈, '서울을 아시아의 뉴욕으로-금융중심도시 육성' 정책을 발표하고 "지난해 홍콩 사태 이후 세계적 금융기관들이 아시아 본사를 옮기려 하고 있다"며 "서울시를 중심으로 '범정부 국제금융유치단'을 구성해 금융사 아시아 본사 유치에 나서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콩은 1조 달러(약 1,200조원) 규모의 국제금융자본이 모여 있는 아시아의 금융중심지이다. 그러나 지난 2020년 7월 국가보안법이 본격 시행되면서 홍콩에서 금융자본과 인력이 빠져나가는 ‘헥시트(홍콩+엑시트)’ 현상이 본격화 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5년간 홍콩에서 약 83.4조원의 자금과 많은 전문 인력이 해외로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우 의원은 "세계적인 금융기관 아시아 본사가 홍콩에 밀집되어 있는데 지난 홍콩사태로 인해 금융사들이 아시아 본사를 다른 곳으로 이전하려 한다"며 "현재 이를 유치하기 위해 일본, 싱가포르, 대만 등이 적극적인 경쟁에 나서고 있고, 그 중 싱가포르와 서울이 유력한 후보지로 좁혀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우 의원은 "이를 여의도로 유치해 여의도를 금융허브로, 서울을 글로벌 금융중심도시로 조성하겠다"며 "세계적인 금융사를 서울로 유치하게 되면 많은 청년들이 꿈꾸는 금융일자리, 양질의 청년일자리가 대거 확충될 수 있다. 발 벗고 나서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우 의원은 이를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범정부 국제금융유치단' 구성 ▲여의도의 '글로벌 금융특구' 조성 ▲특구지역의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 도입 ▲'현대화된 비즈니스 인프라' 활용 ▲서여의도 고도제한 해제 추진 등 총 5가지의 세부 방안을 제시했다.
우 의원은 또 "뉴욕은 기업환경‧인적자원‧기간시설‧금융산업발전 분야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세계 제1의 국제금융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국회의 '세종 이전'을 감안해 서여의도 일대의 고도 제한을 해제해 여의도 일대를 글로벌 금융특구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중앙정부‧학계‧산업계 등으로 구성될 '범정부 국제금융유치단'은 출범 직후 국제금융 자본과 전문 인력을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칠 예정이고, 국회 이전과 함께 고도제한을 해제해 여의도 일대를 '글로벌 금융특구'로 조성할 계획이다.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적용하여 불투명한 금융 규제 강화 및 법인세‧소득세 등의 세율을 홍콩 수준으로 인하하고, 핀테크‧빅테크 산업 지원과 여의도 전역 공공와이파이 구축 등 '현대화된 비즈니스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 자유로운 금융생활도 제고할 방침이다.
우 의원은 또 당내 경선이 2파전으로 굳어지면서 흥행 우려가 나오는 데 대해 "민주당이나 국민의힘이나 결국은 양강구도라는 측면에서는 다를 바 없다"며 "우리는 정책 대결을 통해 더 아름다운 경선을 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