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자리에는 강 의원과 전성화 교육장, 박달중 서석재 교장을 비롯한 안양 관내 교장, 교감선생님, 안양과천교육지원청의 모든 부서장과 장학사, 팀장, 주무관 및 안양시 교육청소년과의 정은경 창의교육팀장, 안양시 인재육성재단의 황순옥 미래인재교육센터장 등이 모여 열띤 의견을 나누었다.
뿐만아니라, 안양의 대표 교육시민단체인 YMCA 김유철 사무총장과 지역교육네트워크 이룸 이하나 사무국장, 안양교육희망네트워크의 이연경 부대표와 김지영 사무국장이 마을교육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대장정에 함께 했다.
이번 워크샵은 지난 23일 공주대 양병찬 교수의 '지역☓학교의 협력–미래형 교육자치도시'라는 주제 강연으로 시작되었다. 2차 워크샵은 경기도교육청 학교정책과 안선영 장학사의 '미래형 교육자치협력지구를 통해 구현하려는 모습'이라는 주제 발제로 이어졌고, 이후 각 주체들의 의견 개진과 이후 일정 논의가 이어졌다.
'미래형 교육자치협력지구'는 2020년부터 교육부를 비롯한 다양한 부처들의 협업으로 이루어지는 사업으로 올해로 전국에서 22개 지역의 교육지구에서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혁신교육지구와는 차별적인 '미래형 교육자치협력지구'는 각 지역의 상황에 맞는 교육내용을 교육공동협력 모델로 구축하여 "우리 지역의 교육은 우리 지역 교육 주체들의 손으로 만들어낸다"라는 가치를 구현한다.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협력을 통한 통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하여 제3지대의 협력센터를 통해 지역마다 갈급한 교육 현안을 해결코자 하는 것이다.
강 의원은 "공동체와 교육자치라는 시대정신을 구현하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우리 마을의 교육을 우리가 책임진다는 마음으로 아이들을 중심에 놓고 교육 현안을 풀어가야 한다"면서 "교육자치지구의 구성원에 우리 아이들도 함께 들어와서 안양교육을 일궈야 한다"고 피력했다.
강 의원은 이어 "'미래형 교육자치협력지구'를 위해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로 뽑아진 것은 '권역별 행정복지센터-학교-유관기관 간 협의체 구성'이었다"며 "이후 올 하반기까지 더 깊이 있는 논의를 위해 다양한 교육주체들과의 논의를 계속한 후 안양과천교육지원청은 올 11월 말, 교육부에 ‘안양형 교육자치협력지구 계획서’를 제출할 것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