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은 30일 국회 도서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민의힘 원내대표 경선 결선투표에서 100표(이명수 의원 불참) 중 66표를 얻어 34표를 확보한 김태흠 의원(3선·충남 보령서천)을 누르고 새 원내사령탑에 당선됐다. 앞서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나오지 않아 각각 34표와 30표를 얻은 김기현 의원과 김태흠 의원을 대상으로 결선투표가 진행됐다.
김기현 신임 원내대표는 당선 소감에서 "반드시 국민 지지를 얻어내고 내년 대선에서 이겨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살려내겠다"며 "이기는 방법은 국민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고, 의원님들과 하나가 되는 소통과 공감"이라고 밝혔다.
의원 전원(101명)이 참석한 1차 투표에선 김 원내대표가 34표, 김태흠 의원 30표, 권성동 의원 20표, 유의동 의원이 17표를 각각 얻었다.
상대적으로 계파색이 옅은 김 원내대표가 친박계 일부와 비박계의 표를 흡수할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친박계로 불린 원유철 전 미래한국당 대표는 경선 전 김 원내대표를 만났고, 미래한국당 출신인 비례 초선 의원들 일부에게도 지지를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선투표(총 100명)에선 당초 예상과 달리 강경파 김태흠 의원이 깜짝 2위에 올랐는데, 김기현 의원이 66표, 김태흠 의원은 34표를 얻었다. 단순 계산하면 김 원내대표가 1차 투표에서 권성동·유의동 의원에게 갔던 37표 중 33표를 가져온 셈이다.
판사 출신으로 영남 출신 4선 의원인 신임 김 원내대표는 "싸우면 이기겠다"면서도 "대안을 내고, 타협할 건 타협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당 내에선 무조건적인 대여 강경 투쟁에는 선을 그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김 원내대표는 "아무 곳에나 싸우지 않고 아무 곳에서나 고집부리지 않겠다"며 "중도층에 있는 국민들, 그분들은 얼마나 합리적인 세력이냐, 합리적인 정당이냐의 여부를 놓고 판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코로나 백신 수급과 부동산, 일자리 문제를 우선 현안으로 꼽았다. 또 당장 닥친 여야 현안인 법사위원장을 놓고는 강한 톤의 재협상 카드를 꺼냈다.
김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돌려주고 말고 할 권리를 갖고 있지 않다"며 "만약 그 의무의 이행을 하지 않는다면, 여전히 자신들이 범법자의 지위에 있겠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민의힘에서는 전직 대통령 사면론과 탄핵 부정 주장, 과거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지적들도 나오는 국면으로 새 대표를 뽑을 때까지 김 원내대표가 당 대표 대행까지 맡아야 하는데, 야권 통합 등에서는 국민의힘이 중심 축이 돼야 한다며 자강론에 무게를 두고 있다.
영남 출신 원내대표의 선출은 국민의힘 전당대회 구도에도 변수가 될 것 같다. 대표-원내대표 모두 영남이 차지할 경우에 대한 우려가 당내에서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향후 김 원내대표는 개혁입법 드라이브를 이어가겠다고 밝힌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카운터파트로 대여 투쟁을 지휘하게 된다.
'강 대 강' 대치보다 전략적 대응에 중점을 둘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이번 경선 과정에서 "싸울 때 싸우고 빠질 때 빠지는 '지략형 야전사령관'으로 활동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의석수가 열세이고, 상임위원장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는 변화가 없어 현실적인 협상 수단은 마땅치 않다.
김 원내대표는 또 당대표 권한대행을 겸직하며 차기 전당대회를 준비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분열 양상을 보이는 당의 화합을 유도해야 한다. 재·보선 승리 이후 ‘도로 한국당’ 논란을 빚고 있는 당을 다잡아 '포스트 김종인 체제'를 안정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야권 통합도 필수 과제다. 윤석열 전 총장과의 관계 설정,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의 통합 협상, 장외에서 당을 비난하고 있는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의 협조 등도 쉽지 않다.
김 원내대표 당선으로 당권주자들의 유불리는 엇갈리게 됐다. 특히 주호영 전 원내대표를 비롯한 영남권 당권주자들의 부담이 커졌다. 당대표와 원내대표 모두 영남권일 경우 '도로 영남당'이란 프레임에 빠지기 때문이다.
판사 출신인 김 원내대표는 2004년 17대 총선에서 울산 남을에 당선된 뒤 19대 국회까지 내리 3선을 지냈다.
이후 2014년 지방선거에서 울산시장에 당선됐고, 2018년 재선을 노렸지만 송철호 현 울산시장에게 뒤져 패했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의 오랜 친구인 송 시장의 당선을 위해 청와대가 조직적으로 개입했다는 의혹인 이른바 ‘울산시장 선거 공작 사건’의 피해 당사자이기도 하다. 이 사건은 현재 법원에서 아직 재판이 진행 중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