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전 총리는 이날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 여사, 이주성 광주-미얀마네트워크 대표, 10여 명의 재한미얀마인, 전남대 총학생회장을 포함한 광주·전남 대학생, 조오섭·김회재·김교흥 의원 등이 함께했다.
정 전 총리는 참배를 마친 뒤 재한 미얀마인들과 대화에서 "미얀마에서 희생된 국민들이 남의 일 같지 않다"며 "대한민국 국민들은 미얀마 국민들을 격려하고 성원하고 있고, 대한민국은 미얀마 민주주의가 다시 굳건히 일어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광주와 미얀마는 하나다. 고통 받고 있는 미얀마 국민들의 민주주의를 지켜주기 위해 힘이 돼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 전 총리는 페이스북에도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치신 미얀마 시민께 광주의 정신으로 깊은 애도를 보낸다"며 "광주항쟁의 정신은 끝나지 않았다. 불의와 독재와 싸우는 세계인과 함께 나누고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전 총리는 "광주에, 김대중 대통령께서 설립했던 아태 평화 재단과 같은 광주항쟁을 연구하고 그 정신과 가치를 전파하는 '제2 아태 평화 재단'(가칭) 설립을 제안한다. 광주정신을 지키는 일에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정 전 총리는 총리 재임 시절부터 미얀마 사태에 관심을 기울였다.
정 전 총리는 지난달 11일 '정세균TV'에 게재된 영상에서 "깨어있는 시민 덕분에 민주주의도, 경제발전도 이뤄진 것"이라며 "그걸 우리만 향유할 것이냐. 미얀마 사태에 관심을 가지고, 작은 후원이라도 하고, 정부 차원의 노력을 통해 민주주의를 세계인이 함께 향유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 전 총리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검찰과 언론개혁에 목소리를 높였다.
정 전 총리는 "두 개혁이 완성되지 않고서는 한국의 정치도 한국의 경제도 불공정과 불공평 속에서 헤어 나오기 쉽지 않다"며 "우리 사회의 공정과 민생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검찰개혁 완수와 언론개혁을 외면하지 않겠다"고 주장했다.
정 전 총리는 18일 페이스북에 "오늘의 광주항쟁은 검찰개혁, 언론개혁"이라며 "반성할 줄 모르면 반성하는 법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전 총리는 "무소불위의 검찰을 제어할 방법은 생각보다 많다. 문제는 실천이며 의지"라며 "막 시행된 공수처가 일을 제대로 하는지 잘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전 총리는 그러면서 "피의 사실과 수사 진행 상황을 불법으로 누출하는 검찰을 적발해 관용 없는 엄벌로 다스리는 것도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정 전 총리는 또 "검찰의 감찰기능을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독립기관에 맡겨 부정을 저지른 검사의 처벌을 강화하는 방안도 있다"며 "이와 함께 검찰 임기가 끝나면 수십억에서 수백억까지 보장된 전관예우를 철저하게 금지하고 재판에서 주고받는 짬짜미를 발본색원하는 방안도 있다"고 주장했다.
정 전 총리는 언론을 제어할 장치가 마땅히 없다면서 "가짜 뉴스를 양산하고 왜곡하는 언론은 법과 제도로 견제해야 한다"며 "징벌적 손해보상을 강화해 언론이 오보와 왜곡에 대해 스스로 검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각 부처에서 운영 중인 기자실 출입처 제도를 대폭 개방해야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정 전 총리는 이어 "두 개혁이 완성되지 않고서는 한국의 정치도 한국의 경제도 불공정과 불공평 속에서 헤어 나오기 쉽지 않다"며 "우리 사회의 공정과 민생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검찰개혁 완수와 언론개혁을 외면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 전 총리는 지난 17일에도 "광주항쟁의 정신은 검찰개혁과 언론개혁"이라며 "광주항쟁 41년이 지났지만 반성하지 않은 무소불위의 특권계급 검찰과 수구언론이 한통속이 돼 '그들만의 수구특권층의 나라'를 지키기 위한 국민기만극을 되풀이하고 있다"고 쓴소리를 쏟아냈다.
또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은 언론과 검찰이 자행한 박해의 역사다", "노무현 대통령을 죽음으로 시해한 검찰과 언론, 민주투사를 탄압하던 검찰과 언론, 국가폭력으로 고문 받고 살해당한 수많은 민주영령들 앞에 단 한 번이라도 진솔하게 사죄하고 반성해 본 적이 있나", "검찰과 언론은 역사와 국민 앞에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밝혔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