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맑음동두천 18.4℃
기상청 제공

호남

이용섭 광주시장, 우즈베키스탄 고용노동부 장관 접견

한국 최초 개소 광주사무소 활성화 방안 등 논의
이 시장 “우즈벡 근로자 고충 해결 계기 기대”

(광주=미래일보) 이중래 기자 =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은 12일 오전 시청 3층 비즈니스룸에서 쉐조드 쿠드비예프 우즈베키스탄 고용노동부 장관 일행을 접견하고 한국 최초로 문을 여는 우즈베키스탄 근로자 지원센터인 광주사무소 운영방안과 노동환경 개선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접견은 우즈베키스탄 광주사무소 개소에 참석하기 위해 쉐조드 쿠드비예프 고용노동부 장관이 한국을 찾으면서 마련됐다. 접견에는 쉐조드 쿠드비예프 우즈베키스탄 고용노동부 장관을 비롯해 노디존 쥬라예프 법무부 차관, 우르벡 나자로브 우즈베키스탄 이주인력 부청장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우즈베키스탄과 광주는 양국 발전에 있어 도움을 주고 받아왔으며, 광주사무소 개소를 계기로 노동자 권익 향상 및 고충 해소, 지역 인력구조 문제 해결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광주시에서도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광주사무소가 우즈베키스탄 근로자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뒷받침했으면 한다”며 “한국에서 처음으로 운영되는 만큼 광주사무소가 성공적으로 운영돼 더 많은 우즈베키스탄인이 한국을 찾고 사무소도 확대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쉐조드 쿠드비예프 우즈베키스탄 고용노동부 장관은 “광주는 우즈베키스탄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 중 한 곳이자 오랜 기간 돈독한 우호관계를 유지해와 한국 첫 사무소를 개소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다”며 “광주사무소는 한국 컨트롤타워로서 전국에 흩어져 있는 우즈베키스탄 근로자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이들이 한국 법을 제대로 지키도록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광주사무소가 양국 협력관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쉐조드 쿠드비예프 우즈베키스탄 고용노동부 장관 일행은 이날 오후 광주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하고 13일 서울에서 추가 일정을 소화한 후 14일 본국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chu7142@daum.net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1 / 7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주권개헌행동' 등 시민단체, "국회선출 재판관 임명의제 조항신설 등 헌재법 개정하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봄이 왔지만, 봄 같지 않게 추운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헌법재판소(이하 헌재)는 아무런 설명도 없이 윤석열 탄핵선고를 지연시키고 있다. 다수 국민이 몹시 불안해하고 있다. 게다가 헌재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국회선출 헌법재판관을 임명하지 않는 것은 위헌이라고 판단했으면서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파면하지 않고 원직에 복귀시켰다. 하지만, 원직에 복귀한 한덕수는 국회선출 마은혁을 재판관으로 임명하지 않는 위헌행위를 계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헌재 역시 불완전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모순과 자승자박, 진퇴양난과 교착상태 등으로 한치 앞도 볼 수 없을 정도로 불투명하고 불확실한 정국이 한동안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토요일(3.29.) 낮 2시 30분부터 약 30분 동안 광화문 정문 앞(오른쪽 해태 석상조형물 왼쪽 옆)에서 '개혁연대민생행동', '개헌개혁행동마당', '공익감시 민권회의' 등 약 46개 시민단체가 개최한 '윤 탄핵 선고지연 타개와 헌정수호 국론통합 방안 긴급제안' 기자회견에서 "국회선출 재판관 임명의제 조항신설 등 헌재법 개정하라!"는 주장과 함께 "마은혁 재판관 임명으로 위헌상태를 치유한 완

정치

더보기
[전문 ]헌법재판소 탄핵선고 전문…"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8인 만장일치 의견으로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했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11시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열고 국회의 탄핵소추를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인용했다. 반대 의견을 남긴 재판관은 없었고 일부 재판관들이 세부 쟁점에 대해서만 별개 의견을 덧붙였다. 윤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때로부터 122일만, 지난해 12월 14일 탄핵소추안이 접수된 때로부터 111일 만이다. 파면의 효력은 즉시 발생해 이를 기점으로 윤 대통령은 직위를 잃었다. 반대 의견을 남긴 재판관은 없었고 일부 재판관들이 결론에는 동의하면서 세부 쟁점에 대해서만 별개 의견을 덧붙였다. 헌재는 작년 12월 3일 당시 국가비상사태가 아니었는데도 윤 대통령이 헌법상 요건을 어겨 불법으로 계엄을 선포했다고 봤다. 이른바 '경고성·호소용 계엄이었다'는 윤 대통령 주장에 대해서는 "계엄법이 정한 계엄의 목적이 아니다"라며 "피청구인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윤 대통령이 국회의사당에 모인 의원들을 끌어내 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하려 했다는 의혹, 국군방첩사령부를 통해 주요 정치인·법조인 등을 체포하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