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맑음동두천 17.8℃
기상청 제공

호남

광주 북구, 주민이 주인이 되는 마을만들기 ‘2018 마을학교’ 운영

주민, 마을활동가 및 마을공동체사업 수행단체 등 대상..총 100여명 대상

광주 북구가 오는 20일부터 주민, 마을활동가 및 마을공동체 사업 수행단체 등 100여명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의 다양한 교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2018 마을학교’를 운영한다. / 사진=북구청 제공
▲ 광주 북구가 오는 20일부터 주민, 마을활동가 및 마을공동체 사업 수행단체 등 100여명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의 다양한 교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2018 마을학교’를 운영한다. / 사진=북구청 제공
(광주=미래일보) 이중래 기자 = 광주시 북구(구청장 문인)가 마을만들기 사업의 이해를 통한 주민참여 확산 및 마을활동가 양성을 위한 마을교육에 나선다.

광주 북구는 “오는 20일부터 주민, 마을활동가 및 마을공동체 사업 수행단체 등 100여명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의 다양한 교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2018 마을학교’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마을학교는 마을공동체 아카데미 운영을 통해 마을만들기 사업의 비전 및 발전방향 제시와 함께 마을활동가 및 주민자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마을학교는 오는 20일 시화문화마을 문화관 커뮤니티센터에서 개강식 및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10월 2일까지 ‘마을의 소확행, 소소하지만 확실한 마을행복장터’를 테마로 총 5회의 강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먼저 마을축제 및 마을장터 우수사례, 마을미래계획 만들기 등 주제별 사례 중심 강의로 능동적인 참여와 공유를 통한 활력있는 마을만들기 사업 추진에 동력으로 삼을 방침이다.

또한 마을장터 기획․체험 및 동네화폐 활용방안 연구 등 마을자원을 활용한 마켓 팀별 기획회의를 병행, 다음달 2일 수료식과 함께 마을학교 속 마을장터인 ‘북구마을 소소마켓’을 오픈해 강의별 결과물을 공유한다.

문인 북구청장은 “이번 마을학교를 통해 주민들의 자치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주민 스스로 살고 싶은 마을을 만들어 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주민의 관심과 참여 속에 ‘주민이 주인이 되는 마을’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hu7142@daum.net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1 / 7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주권개헌행동' 등 시민단체, "국회선출 재판관 임명의제 조항신설 등 헌재법 개정하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봄이 왔지만, 봄 같지 않게 추운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헌법재판소(이하 헌재)는 아무런 설명도 없이 윤석열 탄핵선고를 지연시키고 있다. 다수 국민이 몹시 불안해하고 있다. 게다가 헌재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국회선출 헌법재판관을 임명하지 않는 것은 위헌이라고 판단했으면서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파면하지 않고 원직에 복귀시켰다. 하지만, 원직에 복귀한 한덕수는 국회선출 마은혁을 재판관으로 임명하지 않는 위헌행위를 계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헌재 역시 불완전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모순과 자승자박, 진퇴양난과 교착상태 등으로 한치 앞도 볼 수 없을 정도로 불투명하고 불확실한 정국이 한동안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토요일(3.29.) 낮 2시 30분부터 약 30분 동안 광화문 정문 앞(오른쪽 해태 석상조형물 왼쪽 옆)에서 '개혁연대민생행동', '개헌개혁행동마당', '공익감시 민권회의' 등 약 46개 시민단체가 개최한 '윤 탄핵 선고지연 타개와 헌정수호 국론통합 방안 긴급제안' 기자회견에서 "국회선출 재판관 임명의제 조항신설 등 헌재법 개정하라!"는 주장과 함께 "마은혁 재판관 임명으로 위헌상태를 치유한 완

정치

더보기
[전문 ]헌법재판소 탄핵선고 전문…"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8인 만장일치 의견으로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했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11시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열고 국회의 탄핵소추를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인용했다. 반대 의견을 남긴 재판관은 없었고 일부 재판관들이 세부 쟁점에 대해서만 별개 의견을 덧붙였다. 윤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때로부터 122일만, 지난해 12월 14일 탄핵소추안이 접수된 때로부터 111일 만이다. 파면의 효력은 즉시 발생해 이를 기점으로 윤 대통령은 직위를 잃었다. 반대 의견을 남긴 재판관은 없었고 일부 재판관들이 결론에는 동의하면서 세부 쟁점에 대해서만 별개 의견을 덧붙였다. 헌재는 작년 12월 3일 당시 국가비상사태가 아니었는데도 윤 대통령이 헌법상 요건을 어겨 불법으로 계엄을 선포했다고 봤다. 이른바 '경고성·호소용 계엄이었다'는 윤 대통령 주장에 대해서는 "계엄법이 정한 계엄의 목적이 아니다"라며 "피청구인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윤 대통령이 국회의사당에 모인 의원들을 끌어내 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하려 했다는 의혹, 국군방첩사령부를 통해 주요 정치인·법조인 등을 체포하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