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는 행정안전부로부터 특별교부세 8억원을 교부받아 올해말까지 25곳을 추가 설치하는 등 2020년까지 총 70억원을 투자해 광주지역 모든 초등학교(156개교)에 ‘어린이보호구역 표준모델’을 설치한다고 7일 밝혔다.
‘어린이보호구역 표준모델’은 광주시가 지난 3월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역 특성에 맞춰 도입한 모델이다.
표준모델에 따라 ▲운전자의 경각심을 높이는 노란색 신호등 ▲차량 감속 유도를 위한 고원식 횡단보도 ▲운전자 시인성 향상을 위한 미끄럼방지(칼라) 포장 및 노면표시 ▲야간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형 표지판 및 보행자 울타리 등이 정비된다.
어린이보호구역 표준모델은 서구 풍암초교, 북구 효동초교 등 2개교 어린이보호구역에 시범적으로 설치한 결과 학교 관계자, 학부모, 녹색어머니회 등으로부터 호응을 얻어 표준모델 확대 시행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추가로 6개 초교에 설치한 바 있다.
특히, 지난 7월 ‘2018년도 상반기 정부혁신 우수사례’로 선정돼 특별교부세 8억원을 교부받고, 9월에는 행정안전부 주관 전국 지자체 교통담당자 워크숍에서 지자체 우수사례로 발표되는 등 대외적으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표준모델이 확대되면 운전자의 시인성과 인지력이 높아지고, 주정차 위반이나 과속운전 사례가 줄어들어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김준영 시 교통건설국장은 “어린이 눈높이는 성인에 비해 낮고, 공간을 지각하는 능력이 제한적이라 교통사고 위험이 크다”며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시, 교육청, 경찰청, 녹색어머니회와 함께 주정차 금지 등 지속적으로 교통안전 활동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chu714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