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는 경제부총리 주재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대동남아 수출 규모를 연 15% 이상 성장시켜 2018년까지 연 16억 달러까지 끌어올리겠다"며 '콘텐츠시장 동남아 진출 확대 전략'을 발표했다.
문체부는 인도네시아, 태국을 전략거점으로 콘텐츠산업 동남아 진출을 확대하면,이를 통한 연계 상품 수출효과는 25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종덕 장관은 이날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이번 콘텐츠산업 동남아시장 진출 확대 전략 발표가, 콘텐츠산업이 우리 수출산업과 창조경제를 견인하는 핵심동력으로 작용하고, 아울러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우호적 교류협력 관계를 지속, 확대해 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아세안 형성에 주도적 역할을 한 동남아의 중심국이자 세계 최대 이슬람국인 인도네시아를 거점으로 동남아 전역 및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해양부 국가에 대한 콘텐츠산업 진출을 확산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인도네시아 창조경제위원회와 협의하여, 인도네시아에 상암동 디엠시(DMC), 문화창조벤처단지 등을 참조한 ‘창조산업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것을 의제화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인도네시아와 함께 아세안 탄생의 주도국이며, 동남아 지리․교통의 중심이자 외국문화에 대한 높은 개방성과 문화적 포용력을 가진 태국을 중심으로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등 대륙부 국가 진출 확산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높은 한류 인기를 기반으로 한류콘텐츠의 국가적 통합․활용․확산을 위한 한류 확산 거점을 구축하고, 동남아 현지 기업들이 개발을 추진하는 쇼핑몰에 우리 콘텐츠 및 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유망기업 및 콘텐츠 정보 제공 등을 추진한다.
동남아 진출 시 업계의 애로사항으로 정보 부족과 저작권 보호, 협력 체계 부족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문체부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진출 지원 체계를 강화한다. 우선, 통합형 콘텐츠 수출 정보시스템과 콘텐츠 해외진출 상담센터 운영을 통해 해외 진출 종합 정보를 제공하고, 동남아 진출 지침을 마련해 현지 진출 시 필요한 핵심 실무 정보도 제공한다.
또한, 유관부처․기관이 참여하는 지원협의체를 구성하여 진출 전략 및 협업 사업 발굴 등을 지원하고, 현지 진출 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사업자협의회’를 구성하여 진출 업체 간 정보 및 노하우를 공유하는 등 민관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자유무역협정(FTA) 이행 점검, 저작권 협력 강화 및 인식 개선, 침해 대응 및 합법 유통 지원 등을 통하여 우리 콘텐츠의 해외 저작권 침해 및 권리 보호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게임 분야에서는 모바일 보급 확대에 따른 현지어 번역 지원과 퍼블리셔 연계 지원 등을 통해 모바일게임 진출을 확대한다. 또한 세계 이-스포츠대회 개최 등을 지원해 이-스포츠를 활성화한다.
방송 분야에서는 아세안 방송콘텐츠 비즈매칭 개최 등, 맞춤형 비즈매칭 및 거래 지원 확대, ‘케이(K)-콘텐츠뱅크’를 통한 온라인 유통 활성화, 방송 분야 인력 초청 교육 및 현지 방문 교육 등을 통하여 우호적 진출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출판 분야에서는 출판수출자문단 운영과 현지 도서전 개최를 통하여 시장 진출 확대를 지원하고, 동남아 출판시장을 조사해 신규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영화 분야에서는 한국 극장의 동남아 진출과 연계한 한국영화 및 영화업체 현지 진출을 지원하고 한류로 형성된 우호적 여건을 활용해 상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간다.

만화․웹툰 분야에서는 한국 웹툰의 인기 상승을 고려해, 해외 진출 플랫폼 발굴과 매체․작가 등의 진출을 지원한다. 애니메이션과 관련해서는 아시아 애니메이션 공동체 운영, 피칭* 쇼케이스, 공동 제작 및 사업 교류 등 기업 간 거래(B2B) 지원을 강화하고, 캐릭터산업과 관련해서는 애니메이션, 게임, 만화 등 융합 콘텐츠 개발 및 동반 진출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디지털콘텐츠 분야에서는 한국․태국의 주요 기업이 협력하여 가상현실 테마파크 구축, 홀로그램 콘텐츠 진출 확대 등을 통해 신산업 분야의 협력을 강화한다.
융합 한류 분야에서는 케이콘(KCON), 아시아 대중음악 시상식인 마마(MAMA) 등 대규모 한류 행사 개최 시, 동남아권 내 주요 바이어 초청과 해외진출 상담 지원 등을 병행하여 한류상품 동반 진출을 확대한다. 또한 스타와 제품, 스타 화보와 제품, 드라마와 제품 등, 관련 분야의 연계를 통한 협력형 사업모델도 창출한다.

문체부는 한국문화(K-Culture) 체험관 조성(싱가포르, '16년 12월), 케이팝(K-POP) 아카데미 확대 등, 재외문화원을 통한 문화체험을 확대하고, 세종학당 및 교육생을 활용해 한국문화 우호 세력을 키우고 긍정적인 한류문화의 정착을 확산한다. 또한 문화 공적개발원조(ODA) 활동 전개, 한-동남아시아 문화장관회의 개최, 한류 커뮤니티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한국 콘텐츠가 확산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지속 가능한 한류 발전을 도모해 나갈 예정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