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비례대표)은 16일 IMF(국제 통화 기금, International Monetary Fund)가 집계한 ‘주요국의 코로나 대응 재정지출 규모’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GDP(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대비 재정지출은 3.4%로 매우 낮은 수준이라 밝혔다.
정부의 4회추경 등 코로나 재정지원 규모를 90조원으로 계산해도 2019년 우리나라 GDP대비 4.7% 수준에 불과하며, 3~4%의 재정지출 비율은 경제규모 10위권 국가 중 최하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양 의원은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1%를 기록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경제성적표를 받았지만, 외환이기 이후 사상 두 번째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상황이다”고 진단했다.
양 의원은 1997년 외환위기가 촉발되어 1차 위기대응 기간인 2년여간 동안 국회의 동의로 조성된 공적자금은 64조원에 달하며, 이는 1997년 기준 우리나라 GDP 542조원의 12% 수준이었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외환위기를 거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까지 공적자금을 총 168조원 규모로 투입했다고도 밝혔다.

한편, 우리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재난지원금 규모를 보면 3차에 걸쳐 23조원의 재정이 투입되었는데, 3차 재난 지원인 맞춤형 피해지원대책은 1월 기준 87.4%의 집행률을 보이고 있다.
양 의원은 "2차 재난지원의 위기가구긴급생계지원제도가 네 차례의 기준변경과 기간연장을 거쳐 총 4개월이 소요되었다"며 "재정지원 속도를 혁신적으로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날 홍남기 부총리가 출석하는 기재위 전체회의 앞두고 양 의원은 "재정당국은 재정건전성을 운운하며 재정투입에 소극적으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적어도 대기업에 지원한 것에 비해 충분한 규모로 민생지원에 나서야한다"며 "단순 시혜가 아닌 민생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성장정책으로써 재난지원금이 충분하게 적시에 투입되도록 정부가 온 재정력을 동원하여 국난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가져야한다"고 밝혔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