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우성 문체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이날 '국립한국문학관 추진경과 및 향후계획 발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용산공원 조성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를 포함해 문학계, 건축·조경·도시계획 분야 전문가, 환경시민단체 관계자가 참여하는 '국립한국문학관 설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체부는 한국문학관 설립추진위를 이르면 다음 주 발족할 예정이며, 한국문학관 건립 부지는 늦어도 내년 6월까지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그러면서 "문화예술계 인사 15명으로 구성된 문학진흥TF와의 합의를 통해 이뤄진 것이다”며 “대표성, 상징성, 확장성, 접근성, 국제교류가능성 등의 선정기준에 근거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중앙박물관 부지에 대해 '용산국가공원에 포함돼야 하는 부지로서 국립한국문학관이 용산국가공원을 침범해 용산 가족공원을 훼손한다'는 일부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이 실장은 "중앙박물관 부지는 오래전부터 문체부의 문화시설이 들어가도록 결정돼 있었던 문체부 소관 국유지”라며 “용산국가공원 밖에 위치해 있어서 공원 내 추가부지로 건립되는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국립한국문학관은 '문체부 장관이 국가를 대표하는 국립문학관을 설립한다'는 문학진흥법 제18조에 따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총 사업비 608억원을 들여 진행하는 사업이다. 2021년 하반기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문체부 관계자는 "열린 마음으로 기관 및 이해 관계자의 의견을 청취하고 이견 해소를 통해 합리적인 결정을 유도하고 문학계를 비롯해 국민의 공감을 얻는 ‘문학계의 성지’로서 국립한국문학관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