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광복 80주년을 맞아 한국과 일본, 중국, 호주 등 4개국 역사학자가 한 자리에 모인 가운데, '침략'과 '지배', '불의'라는 일본 제국주의 야만의 논리에 대항하여 '평화'와 '자유', '정의'라는 인도주의를 지향하며, 우리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넘어 인류의 자유과 평화, 정의와 인도 등 세계사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했다고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독립운동을 재조명하는 국제학술 심포지엄이 열린다.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26일(금) 오전 10시 30분부터 ‘세계사의 보편적 가치와 한국독립운동’이라는 주제로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의정원홀에서 국제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광복회학술원과 한국근현대사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이번 국제학술 심포지엄은 기조강연과 주제발표, 종합토론 순서로 진행되는데, 기조강연은 한시준 단국대 명예교수가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위상과 성격'이라는 주제로 맡는다.
제1주제는 '한국독립운동과 민주공화주의'라는 주제로 황선익 국민대 교수가, 제2주제는 '일본에서의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에 관한 연구동향'이라는 주제로 가츠무라 마코토 일본 리쓰메이칸대학 교수가, 3주제는 '한반도 통일, 세계평화의 관점에서 본 한국독립운동'이라는 주제로 레오니드 A. 페트로프 호주국립대학 교수가, 제4주제는 '한국독립운동에서의 한중연대와 세계사적 의미'라는 주제로 임찬혁 중국 연변대 교수가, 제5주제는 '여성인권과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본 한국독립운동'이라는 주제로 김성은 대구한의대 교수가 각각 발표한다.
주제 발표 후에는 김희곤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장이 좌장을 맡아 각 주제 토론자인 이정환 서울대 교수, 김도형 전 독립기념관 연구위원, 장신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손염홍 건국대 교수, 강윤정 국립경국대 교수와 함께 열띤 토론을 진행한다.
기조강연을 맡은 한시준 교수는 발제문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은 일제만이 아니라, 연합국의 한반도 통치 시도를 막아낸 성격과 위상을 지녔다"면서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연합국의 국제공동관리 합의, 카이로회담에서의 ‘즉각적인 자유 독립’이 아닌 적절한 절차라는 '조건부 자유 독립', 이를 구현한 1945년 12월 모스크바 삼상회의에서의 '최고 5년간 신탁통치' 결정 등에 대한 투쟁이 그것이다. 이를 막아내고 신탁통치 없이 대한민국 정부를 출범시킨 것이 바로 한국독립운동의 위상과 성격을 말해준다"고 밝힌다.
제1주제 발표자 황선익 교수는 "한국 민족은 독립운동 과정에서 민주공화제 정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민주주의에 따른 제도와 법치로 임시정부를 운영했다"면서 "근대 인류의 주요한 보편적 가치 중 하나인 민주주의 원칙을 제국주의 국가보다 앞장서 채용하여 실천하고, 나아가 다른 식민지·半식민지 국가 민족에도 영향을 끼쳤다.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민주공화주의를 실천하고 전파한 데 한국독립운동이 적지 않게 공헌했다”고 평가한다.
제2주제 발표자 가츠무라 마코토 리쓰메이간대학 교수는 1969년 이후 안중근 연구를 비약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 <안응칠역사>·<동양평화론>·<청취서>의 발견과 수용 경과를 정리하고 <청취서>를 이용한 한·일 양국 연구 동향과 견해를 소개하면서 추후 일본의 연구 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
가츠무라 교수는 이와 더불어 "안중근의 동양평화구상은 근현대 일본의 동아시아 대외행동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동아시아 상호이해와 평화창조를 전망하는데 있어 동아시아 공동의 사상적 유산이다"면서 "안중근 의사의 사상과 행동을 동아시아 공유의 유산으로 만들어가자"고 제기한다.
제3주제 발표자 레오니드 A. 페트로프 호주국립대 교수는 다양하게 전개된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와 해방이후 남북한 관계의 역사 및 과제를 정리하면서 "한반도의 미래는 통일 전망에 달려 있으며, 평화롭고 중립적인 한국 없이는 유라시아 횡단 협력의 안정은 불가능하다"고 제언한다.
제4주제 발표자 임찬혁 연변대 교수는 "일제 패망 이후 동북(만주)지역 한인 농민에 대한 농대(農貸, 생활안정자금 대부) 문제를 둘러싼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민정부 사이의 협의와 추진 과정을 추적했다"면서 "비록 농대 문제는 동북지역 정세 변화, 추진 주체 사이 갈등,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견해차 등으로 시행되지 못했지만, 생존권과 관련한 농대 문제의 추진 과정을 인도적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한중연대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제5주제 발표자 김성은 대구한의대 교수는 "한국여성의 독립운동은 일제 식민지배에 맞선 민족해방투쟁이자, 동시에 봉건적 가부장제에 저항하며 인간으로서의 자유와 평등, 존엄성을 추구한 선구적인 인권운동이다"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에 여성 참정권과 남녀평등권이 명시된 것은 세계사적으로도 매우 진보적인 사례로, 이는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주체적인 역할과 기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들은 무장투쟁, 계몽운동, 군자금 모금, 임시정부 활동 등 여러 방면에서 활약하였으며, 이는 단순한 민족주의를 넘어 인류 보편적 가치인 자유, 평등, 인권,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을 대변하는 것"이라고 호평한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