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국제

노벨평화상에 ‘핵무기폐기국제운동’ 수상

100여개국 300여개 비정부기구 연합체…전 셰계 핵무기 폐기운동 진행

(서울=미래일보) 김정현 기자 =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는 비정부기구인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이 선정됐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6(현지 시간) 2017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전 세계 핵무기 폐기운동을 벌이고 있는 ICAN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ICAN은 세계 100여개국 소속 300여개 비정부기구의 연합체다.

      

노벨위원회는 "핵무기 사용으로 인한 재앙적 상황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조약에 근거해 핵무기 금지를 달성하기 위한 획기적인 노력을 기울인 공로로 상을 수여한다고 선정 배경을 밝혔다.

 

이어 위원회는 "몇몇 국가들은 핵무기를 현대화하고 있고, 북한이 전형적인 예가 되고 있듯이 더 많은 국가가 핵무기를 구하려 시도하는 실재적 위험이 존재한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노벨위원회는 ICAN의 노력으로 지금까지 108개 국가가 핵무기폐기운동에 참여했으며 지난 77일에는 UN국중 122개 국가가 핵무기 금지조약에 가입했다고 전했다. 

 

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1901: 장 앙리 뒤낭(스위스), 프레데리크 파시(프랑스)

1902: 엘리 뒤코묑(스위스), 샤를 알베르 고바(스위스)

1903: 윌리엄 크리머(영국)

1904: 국제법학회(1873년 출범)

1905: 베르타 폰 주트너(오스트리아)

1906: 시어도어 루스벨트(미국)

1907: 에르네스토 모네타(이탈리아), 루이 르노(프랑스)

1908: 클라스 아르놀드손(스웨덴), 프레데레그 바예르(덴마크)

1909: 에스투르넬 드 콩스탕(프랑스), 오귀스트 베르나르트(벨기에)

1910: 국제평화국(1891년 출범)

1911: 토비아스 아세르(네덜란드), 알프레트 프리트(오스트리아)

1912: 일라이휴 루트(미국)

1913: 앙리 라퐁텐(벨기에)

1914~1916: 수상자 없음  

1917: 적십자국제위원회(1863년 출범)

1918: 수상자 없음  

1919: 우드로 윌슨(미국)

1920: 레옹 부르주아 (프랑스)

1921: 카를 브란팅(스웨덴), 크리스티안 랑게(노르웨이)

1922: 프리됴프 난센(노르웨이)

1923~1924: 수상자 없음  

1925: 오스틴 체임벌린(영국), 찰스 도스(미국)

1926: 아리스티드 브리앙(프랑스), 구스타프 슈트레제만(독일)

1927: 페르디낭 뷔송(프랑스), 루트비히 크비데(독일)

1928: 수상자 없음  

1929: 프랭크 켈로그(미국)

1930: 나탄 쇠데르블룸(스웨덴)

1931: 제인 애덤스(미국), 니콜러스 머리 버틀러(미국)

1932: 수상자 없음  

1933: 노먼 에인젤(영국)

1934: 아서 헨더슨(영국)

1935: 카를 폰 오시에츠키(독일)

1936: 카를로스 사베드라 라마스(아르헨티나)

1937: 로버트 개스코인 세실(영국)

1938: 난센국제난민 사무국(1931년 출범)

1939~1943: 수상자 없음  

1944: 적십자국제위원회(1863년 출범)

1945: 코델 헐(미국)

1946: 에밀리 그린 볼치(미국), 존 모트(미국)

1947: 미국 퀘이커 봉사 위원회, 영국 퀘이커 봉사협회  

1948: 수상자 없음  

1949: 보이드 오어(미국)

1950: 랠프 번치(미국)

1951: 레옹 주오(프랑스)

1952: 알베르트 슈바이처(독일)

1953: 조지 마셜 (미국)

1954: 국제연합 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UNHCR·1951년 출범)

1955~1956: 수상자 없음  

1957: 레스터 피어슨(캐나다)

1958: 도미니크 조르주 피르(벨기에)

1959: 필립 노엘 베이커(영국)

1960: 앨버트 루툴리(남아프리카공화국)

1961: 다그 함마르셸드(스웨덴)

1962: 라이너스 폴링(미국)

1963: 국제적십자위원회(1863년 출범)  

1964: 마틴 루터 킹 2(미국)

1965: 국제연합아동기금(UNICEF·1946년 출범)

1966~1967: 수상자 없음  

1968: 르네 카생(프랑스)

1969: 국제노동기구(ILO·1919년 출범)

1970: 노먼 볼로그(미국)

1971: 빌리 브란트(서독)

1972: 수상자 없음

1973: 헨리 키신저(미국), 레 둑 토(베트남)

1974: 사토 에이사쿠(일본), 국제평화사무소, 국제연합 나미비아 위원회

1975: 안드레이 사하로프(소련)

1976: 베티 윌리엄스, 메리드 코리간(북아일랜드)

1977: 국제사면위원회(앰네스티 인터내셔널·1961년 출범)

1978: 안와르 사다트(이집트), 메나헴 베긴(이스라엘)

1979: 테레사 수녀(유고슬라비아)

1980: 아돌프 페레즈 에스키엘(아르헨티나)

1981: 유엔 난민고등판무관실

1982: 알바 뮈르달(스웨덴), 알폰소 가르시아(멕시코)

1983: 레흐 바웬사(폴란드)

1984: 데스몬드 투투(남아프리카공화국)

1985: 핵 전쟁 예방을 위한 국제 물리학자회의

1986: 엘리 위젤(미국)

1987: 오스카 아리아스(코스타리카)

1988: 유엔 평화유지군

1989: 달라이 라마(티베트)

1990년 미하일 고르바초프(구 소련)

1991: 아웅산 수치(미얀마)

1992: 리고베르타 멘추(과테말라)

1993: 넬슨 만델라, 프레데릭 데 클레르크(남아프리카공화국)

1994: 이츠하크 라빈, 시몬 페레스(이스라엘), 야세르 아라파트(팔레스타인 해방기구)

1995: 조지프 로트블랫(영국), 과학과 세계문제에 관한 퍼그워시회의

1996: 카를로스 필리페 시멘스 벨로, 호세 라모스 오르타(동티모르),

1997: 국제지뢰금지운동(ICBL·1992년 출범), 조디 윌리엄스(미국)

1998: 존 흄, 데디비드 트림블(북아일랜드)

1999: 국경없는 의사회(MSF·1971년 출범)

2000: 김대중(대한민국)

2001: 국제연합(UN), 코피 아난(가나)

2002: 지미 카터(미국)

2003: 시린 에바디(이란)

2004: 왕가리 마타이(케냐)

2005: 국제원자력기구(IAEA·1957년 출범), 모하메드 엘바라데이(이집트)

2006: 그라민 은행(1983년 출범), 무함마드 유누스(방글라데시)

2007: 앨 고어(미국),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1988년 출범)

2008: 마르티 아티사리(핀란드)

2009: 버락 오바마(미국)

2010: 류샤오보(중국)

2011: 앨런 존슨 설리프, 레이마 그보위(라이베리아), 타와쿨 카르만(예멘)

2012: 유럽연합(EU·1993년 출범)

2013: 화학무기금지기구(OPCW·1997년 출범)

2014: 카일라쉬 사티아르티(인도), 말랄라 유사프자이(파키스탄)

2015: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2013년 출범)

2016: 후안 마누엘 산토스(콜롬비아)

2017: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2007년 출범)

 

redkims6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네이버, 수해 복구 성금 10억원 희망브리지에 기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네이버(주)(대표 최수연)가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복구와 이재민 지원을 위해 성금 10억원을 기부했다고 23일 밝혔다. 희망브리지는 국내 자연 재난 피해 구호금을 전달할 수 있는 유일한 법정구호단체다. 네이버 관계자는 "갑작스러운 집중호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웃들의 빠른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해 지원을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네이버는 플랫폼 기업으로서 지역사회와 함께 위기를 극복하는 데 힘을 보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신훈 희망브리지 사무총장은 "네이버는 해피빈을 통해 수해 이재민 돕기 모금함 개설을 누구보다 신속히 요청했다"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한 따뜻한 나눔이 피해 주민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신 사무총장은 이어 "희망브리지도 이웃들이 하루빨리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온라인 모금 플랫폼인 네이버 해피빈을 통해 23일 오전 9시 기준 1만 6천 명이 넘는 시민이 전국재해구호협회의 수해 복구 모금에 동참했으며, 네이버의 이번 기부금을 포함한 전국재해구호협회의 총모금액은 12억 원에 달한다. i2

정치

더보기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자진 사퇴 입장 밝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 강 후보자는 이날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발표한 입장문에서 "그동안 저로 인해 마음 아프셨을 국민께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며 "저를 믿어주시고 기회를 주셨던 이재명 대통령님께도 한없이 죄송한 마음뿐"이라고 밝혔다. 강 후보자는 이어 "함께 비를 맞아주었던 사랑하는 더불어민주당에도 큰 부담을 드렸다"며 "응원과 격려를 보내주신 많은 분들의 마음을 귀하게 간직하겠다"고 전했다. 강 후보자는 "많이 부족하지만 모든 것을 쏟아부어 잘 해보고 싶었다. 그러나 여기까지였던 것 같다"며 자진 사퇴의 뜻을 공식화했다. 마지막으로 "국민께서 주신 채찍과 질책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깊이 성찰하며 살아가겠다"며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앞서 강 후보자는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으로 재직하며 젠더 정책과 사회적 약자 보호에 대한 입장을 꾸준히 밝혀왔으며, 지난달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다. 그러나 이후 과거 보좌관 갑질 논란과 검증 과정에서의 공방이 이어지며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여야 간 공방이 격화돼 왔다. 이번 자진 사퇴로 인해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