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한국예술문화교류협회 '2025 한국·미얀마 교류 음악회 Go With' 개최

한국과 미얀마 유명 뮤지션 70여명 참여, 합주와 민속공연 등 2시간 동안 성황리에 열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국·미얀마 교류 음악회 Go With' 행사가 지난 4월 26일(토) 오후 5시부터 2시간 여 동안 한국예술문화교류협회 주최·주관, 파블러스하모니카 등의 후원으로 한성백제홀(한성백제박물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 행사를 기획하고 총감독한 한국예술문화교류협회 홍승희 회장은 인사말에서 "2025 한국·미얀마 교류 음악회 Go With를 찾아주신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음악은 국경을 초월해 우리를 하나로 이어주는 가장 아름다운 언어다"고 말했다.

홍 회장은 이어 "이번 음악회는 한국의 생활음악 연주자들과 한국에 거주하는 미얀마 음악인들이 함께 어울어져 서로의 문화를 공유하고, 음악을 통해 화합과 우정을 나누는 뜻깊은 자리다"며 "다양한 악기와 목소리로 펼쳐질 이번 무대가 관객 여러분께 감동과 즐거움을 선사하길 바라며, 음악을 통해 한국과 미얀마가 더욱 가깝게 소통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홍 회장은 그러면서 "아름다운 선율 속에서 평화와 희망을 느끼며, 따뜻한 마음으로 함께해 주시길 바라면서 인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전체 1부(한국 뮤지션)와 2부(미얀마 민속공연)로 나눠 진행된 본 행사는 Opening 행사인 난타(이혜린 외 11명) 공연으로 시작부터 열기를 더했다.

뮤베 앙상블 레버하프(윤문선·권설·김서현·박선화·조용원·장윤선·최지선·최한나·현지희)팀은 'Pachelbel’s Canon'(Arr. Johann Pachelbel), ‘Beauty and the Beast'(Arr. Rena Ng), 'Habanera Gris'(Alfredo Rolando Ortiz)을 연달아 연주했다.

그레이스 하모니카 앙상블팀(박남현·김민호·김현옥·박경희·선우진·이성호·이성주·이초연)은 '홀로 아리랑'(한돌 작사·작곡)과 '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미국전통음악)을 연주해 열렬한 호응을 받았다.

Soprano 정선영의 독창 'could have danced all night'(뮤지컬 My fair lady 중)(Frederick Loewe 작곡)은 관객들을 숨죽이는 열창으로 큰 호응을 받았다.

가장 많은 연주자들이 참여한 우쿨렐레팀(현지희·권설·김건영·김정욱·김정화·김지영·나연실·박선화·서연희·양선미·윤문선·이민주·이혜정·이희락·전진희·정은주·최지선·최한나)은 'Summer Night'(뮤지컬 '그리스' ost), 'Pretty Woman'(영화 '귀여운 여인' ost)을 연주했다.

나리 대금중주팀(김병성·윤치유)이 연주한 '상사화'(MBC '역적' ost), '인연'(MBC '왕의남자' ost)은 대금 특유의 잔잔한 감동을 선사했다.

퓨전음악을 하는 듀오 탠과준(김태은·김성준)의 'The last of the mohicans'(영화 '라스트 모히칸' ost), 'El Condor Pasa'(철새는 날아가고) 연주는 화려한 의상과 함께 신선한 감동을 줬다.

2부(미얀마 민속음악 대표 박지아)는 미안마의 전통 의상과 춤으로 공연 내내 신비스러운 모습으로 마치 미얀마의 전통 공연장에 있는 착각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다음은 공연 순서다.

- Kyawt Yamin, 'Buddha Püjaniya' (Burmese Buddhist Song)
- Han Htet AungZaw·Lin Naung·Aung San Htoo, 'Ko Gyi Kyaw'(Burmese Nat Spirit Song)
- Thein Han·Ei Ei Phyo, 'New Year's First Love'(Burmese Thingyan Song)
- Sai Myat Zaw·Pyae Sone·Lin Htet Htet Hla Kyaw·Myat Thiri Khant·Actor: San Oo, 'Mingalaba Myanmar'(Burmese Greeting Song ‘축복 받으세요’)
- Han Htet Aung·Aung San Htoo·Zaw Lin Naung, 'Burmese Bagan Dance'(Ancient Royal Court Dance of Burma)
- Sai Myat Zaw·Htet Htet Hla Kyaw·Yoon Htet Zan·Pyae Sone Lin·Kyaw Zin Tun·Myat Thiri Khant·Mya Pale Zin·Khin Zar 00, 'A Song for Unity'(Song of the Eight Burmese Ethnic Groups)

한국과 미얀마 뮤지션 전체가 함께 부른 엔딩곡 '친구'(유해준 작사·작곡)는 미얀마에서 특히 인기가 높은 안재욱의 노래로, 미얀마팀의 요청으로 선곡됐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팀은 '2025 한국·미얀마 교류 음악회 Go With'는 음악을 통해 한국과 미얀마가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교류의 장이라며 이번 음악회는 한국의 생활음악 연주자들과 한국에 거주하는 미얀마 음악인들이 함께 무대를 만들어 음악을 통한 화합과 우정을 나누는 뜻깊은 시간을 선사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또한 다양한 전통 악기와 현대 음악이 어우러진 이번 무대는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며, 다문화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을 기원하는 자리라면서 음악을 매개로 서로가 더욱 가까워지고 문화적 다양성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계기가 됐기를 바란다며 여러분의 따뜻한 관심과 성원이 미래의 희망을 함께 만들어가는 힘이 되리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행사는 국내 대형 음악행사에서 활동해온 정두선 음악감독의 참여로 더욱 풍성한 사운드를 연출해 완성도 있는 공연을 연출했다.

한국예술문화교류협회(KACEA, Korea Arts and Culture Exchange Association)는 다양한 생활 악기를 기반으로 국내외의 지역을 방문해 교육연주 및 그곳 주민들과의 문화 교류 활동을 펼치며 음악의 가치와 행복지수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체다.

누구나 악기를 다루고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연령층과 소통하는 음악회를 기획한다.

특히 음악을 매개로 한 나눔과 봉사의 정신을 실천하고 있으며 요양시설, 학교, 지역문화센터, 다문화 행사 등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감동과 기쁨을 전하고 있다.

i24@daum.net
배너
[詩가 있는 아침] 권천학 시인의 '아버지의 흔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분주한 하루의 문턱에서, 시는 가장 조용하고도 깊은 목소리로 다가온다. '詩가 있는 아침'은 삶의 결에 스며드는 시 한 편을 통해, 잊고 있던 감정의 무늬를 되살리고, 마음속 어딘가 가만히 내려앉은 사연을 불러낸다. 이 코너는 오늘의 시와 함께, 그 시를 더욱 깊이 들여다보는 해설과 감상을 곁들인다. 더불어 시인의 삶과 작품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작가의 프로필도 함께 실어, 한 편의 시가 품고 있는 넓은 맥락과 울림을 전달하고자 한다. 만약 이 지면을 통해 함께 나누고 싶은 시가 있다면, 누구든 추천해도 좋다. 추천된 작품은 검토 후 본 코너를 통해 소개할 수 있다. 시는 삶을 바라보는 또 다른 눈이며, 이 아침, 그 눈으로 하루를 다시 열어보려 한다. [편집자 주] 아버지의 흔적 - 권천학 시인 무적함대였던 등판과 막강했던 어깨가 아버지였다 힘없는 두 다리 사이, 습하고 냄새나는 아버지의 부자지를 주물럭거려가며 내가 태어난 DNA의 통로가 되어준 흔적과 씨앗주머니의 주름 사이사이를 닦는다 퀴퀴한 역사의 어두운 길을 더듬어 들어간다 초점 없는 시선으로 그윽하게 나를 들여다보시는 아버지, 부끄러움도 없다 어쩌면 아버지는 지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현장 르포] "기억은 사라지지 않는다"…세종 평화의 소녀상, 그 뜨거운 여름의 증언 (세종=미래일보) 박인숙 기자 = 2025년 7월, 세종시의 한복판에 자리한 평화의 소녀상이 다시 한번 역사의 중심에 섰다. 불볕더위 속에서도 시민과 학생들은 손수 풀을 뽑고, 보라색 모자를 씌우며 "기억은 가꾸는 것"이라는 마음으로 모였다. 제5회 세종 평화의 소녀상 여름나기 행사는 단지 기념이 아닌, 침묵 속에서 증언하고 있는 과거와 마주한 현재의 고백이었다. 그리고 그 발걸음은 천안 국립 망향의 동산까지 이어지며,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의 삶과 죽음, 그리고 잊히지 않는 책임을 새겼다. 일본군 장교였던 요시다 유우토의 사죄와, 그 아들의 반동까지… 기억은 여전히 싸우고 있다. [편집자 주] ◆ 세종 평화의 소녀상, 침묵 위에 놓인 연대의 보라색 모자…"뜨거운 여름, 차가운 진실 위에 피어난 연대의 꽃" 2025년 7월 5일 토요일 오후, 세종시 호수공원.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한여름의 오후, 평화의 소녀상 앞에는 일찍부터 시민들의 발걸음이 모여들었다. 따가운 햇살 아래, 시민들의 손으로 소녀상 어깨 위에 보라색 여름 모자가 조심스레 얹힌다. 이 조용한 퍼포먼스는 "기억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시민들의 믿음이자, 공동의 의식이었다. 올해로 5회를 맞은 '세종

정치

더보기
서울시 '브랜드 총괄관'에 강철원 전 정무부시장 내정설…민주당 서울시당 "서울의 자존심 훼손" 강력 반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이하 민주당 서울시당)이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의 '서울브랜드총괄관' 임명 가능성을 두고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7월 12일 발표한 서면브리핑에서 민주당 서울시당은 "서울의 브랜드를 뇌물 전과자이자 '명태균 게이트' 수사 피의자에게 맡기려는 시도는 서울시민의 자존심과 명예를 짓밟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앞서 언론 보도에 따르면, 강 전 부시장은 이르면 다음 주 서울시 시장직속 브랜드 총괄 책임자로 임명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민주당 서울시당은 "강 전 부시장은 2012년 양재동 파이시티 인허가 청탁 대가로 금품을 수수해 실형을 선고받은 전력이 있는 인물"이라며, "최근에는 '명태균 게이트'로 알려진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피의자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최지효 민주당 서울시당 부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미 '명태균 게이트'와 관련해 서울시청이 압수수색을 당하는 등 시민과 공무원 모두에게 치욕을 안긴 바 있다"면서 "그럼에도 또다시 의혹으로 얼룩진 인사를 서울 브랜드의 책임자 자리에 앉히는 것은 또 다른 오만의 결정판"이라고 말했다. 최 부대변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