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정청래 최고위원이 27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대해 "마지막 부분에 국정교과서 얘기할 때는 공포스러울 정도였다"고 평가했다.
정 최고위원은 28일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 인터뷰에서 "한 마디로
대국민, 대역사 선전포고 같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했던 이야기들의 반복, '카세트 녹음을 틀어놓은 듯한 연설'이었다"며 "실제로는 마지막 5분(역사교과서 국정화 의지 강조)에 집중하기 위한 서론에 불과했다”고 덧붙였다.
정 최고위원은 이날 인터뷰에서 "지금이 2015년이죠? 1973년 또 다른 박 대통령께서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1973년 3월 23일 전국교육자대회에 가서 치사를 한 내용인데요. 이런 내용입니다. 우리는 먼저 올바른 민족사관과 우리의 민족사적
정통성을 확고히 적립·체득하고 투철한 국가관과 자주성을 확립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10월 유신 때, 1월 12일 연두기자회견 때, 73년
1월 12일입니다. 10월 유신은 올바른 역사관, 올바른 민족사관에 입각해서 우리 민족의 안정과 번영을 이룩하고 나아가서는 통일을 성취함에
있어서 어디까지나 우리 스스로의 힘과 의지로써 이것을 쟁취하고 구현하자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인 것입니다. 이 박정희 대통령의 1973년의 연설을
그대로 베낀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정 최고위원은 이어 "40년 전과 처한 위치와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대통령의 연설내용과 인식, 방향, 이런 것도 달라져야 되지 않나"라고 반문한 뒤, "그런데 그때 아버지가 썼던 연설문을 마치 베낀 듯한 연설내용이었던 것 같다.“고 힐난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아직 만들어지지도 않은 국정교과서 가지고 왜 그러나’라고 항변한 데 대해서도 "이미 뉴라이트(인사들이 만든) 대안교과서와 교학사 교과서를 극찬을 했고, 나머지 일곱 종 (검정)교과서에 대해서는 좌편향이 됐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결국, 식민지 근대화론 등을 주장하는 뉴라이트와 박 대통령의 생각은 일치한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새누리당이 교과서에서 김일성 주체사상을 (북한의 주장대로)가르치고 있다고 강변한 데 대해서도 “다 비판적으로 김일성 우상화, 일당 독재체제를 만드는 데 악용되었다, 다 이렇게 가르친다”면서 “만약에 지금 교실에서 주체사상을 (북한의 주장대로)가르치고 있다면 황우여 교육부 장관부터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시켜야 한다. 그리고 교육부 관료들도 다 감옥에 가야되는 상황”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이인제 새누리당 최고위원이 검인정 교과서에 박정희 대통령은 군복 입은 사진이 하나 들어가 있고, 북한 김일성은 사진 3~4장 들어갔는데 다 온화하고 분위기가 괜찮은 사진들이 들어가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도 "박정희 대통령 군복 입은 사진이 부끄럽긴 한가 보네요"라고 비꼰 뒤, "어떤 분은 또 선글라스 낀 게 인상이 안 좋은데 왜 그 사진을 넣었느냐고 시비를 건다. 아니 박정희 대통령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키고 서울시청 앞에서 선글라스를 끼고 사진이 찍혔는데, 그러면 선글라스를 지우고 사진을 내란 말인지"라고 힐난했다.
그는 나아가 "5.16 군사 쿠데타 장면이 나올 때는 선글라스 끼고 군복 입은 사진이 나오고, 경제건설과 대통령 치하하고 하는 것은 양복 입고 온화한 사진이 다 나온다."고 일축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원고를 읽을 때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 침묵-팻말시위를 벌였다고 새누리당에서 비판하는 데 대해서도 "새누리당은 노무현 대통령을 그 아우성 속에 탄핵까지 시킨 정당이다. 그것은 예의가 있었다고 생각하나"라고 반문한 뒤 "나는 탄핵하는 그 장면이 더 예의 없는 장면이었다고 보고 있다"고 일축했다.
정 최고위원은 박 대통령이 경제 관련 법안을 통과시켜달라고 한 데 대해서도 “학교 앞에 모텔 짓는 거 허락해달라는 게 관광진흥법이다. 그리고 병원에 자본주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만들어달라는 거다. 우리 아이들 등하굣길에 모텔, 호텔 짓고 하는 것이 교육상 필요한가? 돈벌이는 될 수 있을지 몰라도 과연 그게 올바른 정책인가?”라고 반문하며, 정부와 새누리당이 통과를 촉구하는 학교 옆 호텔·선상카지노·의료영리화 관련 법안은 민생 법안이 결코 아님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