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20.5℃
기상청 제공

코로나19 ‘마스크’ 관심 노린 APT 공격 발견 '주의 요망'

이스트시큐리티, 코니 조직 소행 추정…파일 열시 악성코드 설치

(서울=미래일보) 김정현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마스크가 전 세계적으로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정보 문서로 위장한 악성문서 파일을 열어볼 경우 사용자 PC에 악성코드가 설치되고 주요 정보가 탈취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스트시큐리티는 마스크 관련 정보 문서로 위장한 악성 문서가 유포되고 있으며, 이 문서는 특정 정부 후원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APT 공격 그룹 코니(Konni)의 소행으로 추정된다고 22일 밝혔다.

APT 공격 그룹 코니는 진난 몇 년간 꾸준히 국내를 타깃으로 APT공격을 수행하고 있다. 이스트시큐리티 ESRC(시큐리티대응센터)에서는 이미 수차례 이 조직의 위협을 확인하고 경고한 바 있다.

이 조직은 2020년에도 지속해서 APT 공격을 시도하고 있으며, 실제로 올 1분기 러시아어로 작성된 ‘북한의 2020년 정책 문서’, 그리고 ‘일본 2020년 패럴림픽 관련 자선단체 문서’ 사칭, 'Keep an eye on North Korean Cyber'라는 악성 doc 문서를 활용한 공격 등을 진행한 것으로 밝혀졌다.

문종현 ESRC 센터장은"이번에 발견된 마스크 관련 정보로 위장한 악성 문서는 MS워드(MS- Word)로 작성됐고 한국어 기반의 시스템 환경에서 지난 21일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활용된 공격 벡터와 코드 기법 등을 분석한 결과 코니(Konni) 조직의 공격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새롭게 발견된 악성 문서는 'guidance'라는 파일명을 사용하고 있다. 이 악성 문서를 열어보면 최초에는 문서 내용이 제대로 보이지 않으며, 문서 내용 확인을 위해 상단에 나타난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하도록 유도한다.

만약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할 경우 최근 이슈가 되고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마스크 소개 내용을 담은 문서를 보여주며 악성코드 감염 의심을 회피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공격자가 미리 설정해둔 악성 매크로 코드가 동작하며 사용자 몰래 자동으로 추가 파일을 실행한다. 이후 공격자의 명령제어(이하 C2)서버에서 추가로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해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는 기능을 가진 최종 악성코드를 설치한다.

악성코드가 설치될 경우 공격자가 지정한 FTP로 감염된 PC의 시스템 정보와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 관련 작업, 프로세스 목록 정보가 업로드되며, C2 서버를 통한 추가 공격 명령도수행할 수 있게 된다.

ESRC는 악성코드 설치과정에서 공격자가 탐지와 분석을 회피하기 위해 커스텀 Base64 코드를 적용했고, 이는 기존 코니 조직이 사용한 방식과 동일한 것으로 분석했다.

문 이사는 "코니 조직은 2014년부터 국내외 특정 조직을 타깃으로 사회공학적 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APT 공격을 수행해왔다”며, “이 조직은 타깃이 관심을 가질만한 사회적 이슈나 주제를 공격에 활용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온 만큼, 각 기업과 기관에서는 이들의 움직임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알약에서는 새롭게 발견된 악성코드를 탐지명 ’Trojan.Downloader.DOC.Gen’, ‘Trojan.Agent.245248K’, ‘Trojan.Agent.9216K’로 탐지 차단하고 있다.

redkims64@daum.net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1 / 7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주권개헌행동' 등 시민사회 일각, "내란청산·사회대개혁 위해 6.3대선에 개헌하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최근 내란 사건 재판에서 서울중앙지법 형사 25부(재판장 지귀연 부장판사)가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베풀어준 각종 특혜 등이 불공정성 논란을 야기했다. 조희대 대법원장은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이재명 민주당 대통령 예비후보(항소심 선고 당시 민주당 대표) 관련 공직선거법 위반혐의 상고사건을 직권으로 전원합의부에 넘기고 신속심리를 결정하고 진행하는 등 전례 없이 개입했다. 사법부 재판이 파격적일 정도의 이례성 등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진행되자 그 배경과 향후 전망 등에 국민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리하여 내란범죄자들에 대한 사법단죄와 정권교체 및 사회대개혁 등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이처럼 복잡하고도 미묘한 정세에서 원래부터 대선 이후 개헌하자는 압도적 다수에 달하는 시민단체들은 물론 동시실시를 주장해 왔던 얼마 안 되는 개헌단체들마저 대부분 내년 2025년 지방자치선거에서 개헌하자는 방향으로 입장을 선회하기 시작했다. 다수 국민과 언론 역시 개헌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인식 아래 대선과 동시에 개헌하자는 주장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 대선과

정치

더보기
서준오 서울시의원, 중계동 백사마을 재개발사업 통합심의 통과 환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서울시 노원구 중계본동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일명 '백사마을' 재개발사업이 24일 서울시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를 통과하며, 2029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올해 11월 본격적인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백사마을의 통합심의 통과에 앞장선 서준오 서울시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4)은 "이번 통합심의 통과는 노원구 주민들의 오랜 숙원이 마침내 현실화되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백사마을이 2009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래, 16년이라는 긴 겨울잠에서 깨어나 진정한 봄을 맞이하게 되었다"는 소감을 전했다. 1960년 서울 도심개발로 인한 철거민 이주정착지로 형성된 백사마을은 2009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사업시행자였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성이 낮다는 이유로 사업을 포기하며 난항을 겪었다. 2017년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사업정상화에 참여하며 2021년 3월 사업시행계획인가, 2024년 3월 관리처분계획인가를 거쳐 2025년 4월 통합심의를 통과하였다. SH공사의 사업 참여 이후에도 수월하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다. 당초 서울시는 주거지보전사업과 통합개발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었으나, 착공시기가 4~5년 더 늦어질 우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