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8.8℃
  • 맑음강릉 12.7℃
  • 맑음서울 8.6℃
  • 맑음대전 10.5℃
  • 맑음대구 11.6℃
  • 맑음울산 11.6℃
  • 맑음광주 12.4℃
  • 맑음부산 12.7℃
  • 맑음고창 11.9℃
  • 구름조금제주 15.2℃
  • 맑음강화 7.8℃
  • 맑음보은 10.2℃
  • 맑음금산 10.7℃
  • 맑음강진군 13.5℃
  • 맑음경주시 11.8℃
  • 맑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낙엽은 멋과 흥분, 그리고 감격의 불꽃"

"시월은 불안정한 시대를 한줄기 눈물도 없이 잠재우는 시간"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시월은 구르몽의 '낙엽' 밟는 소리의 시간이다. 18세기 이후, 문학적으로 가장 빼어나게 ‘낙엽’을 표현한 시인이 구르몽(Remy de Gourmont. 1895~1915)이 아닐까 싶다. 구르몽은 프랑스 캉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했다. 졸업 후 구르몽은 국립도서관에서 일자리를 얻었다.

틈틈이 폭넓은 교양을 쌓는 시간을 만들었다. 1891년 <메르퀴르 드 프랑스(Mercure de France)>라는 잡지에 국가에 반하는 글을 발표했다는 이유로 해고를 당한다. 그가 당한 해고는 불화(不和)의 시간이 된다. 그때나 지금이나 노동자에게 해고의 시간은 혹독한 법.

시간은 시월. 구르몽은 쓸쓸하고 허한 발걸음으로 공원을 걷는다. 아무런 생각을 만들지 않고 발길은 가을의 낙엽을 밟는다. 걷다가 마주친 길모퉁이 카페에 앉는다.

구르몽은 자신도 모르게 접신이 된다. 시인들은 흔히 이런 시간을 누군가가 나에게 온다고 한다. 인문학적으로 말하면 영감(靈感)이 찾아온 것이다.

구르몽은 아주 느리게 그리고 호흡을 낮게 소녀가 건네준 커피를 음미한다. 그의 친구와 같은 몽블랑 만년필은 구르몽이 만든 ‘낙엽’ 시를 가장 먼저 읽게 된다. 사람보다 구르몽의 만년필은 낙엽을 쓰면서 먼저 읽게 된 것. 만년필도 멋진 주인을 만나면 그렇게 된다.

시몬, 나무 잎새 져버린 숲으로 가자./ 낙엽은 이끼와 돌과 오솔길을 덮고 있다./ 시몬, 너는 좋으냐? 낙엽 밟는 소리가.// 낙엽 빛깔은 정답고 모양이 쓸쓸하다./ 낙엽은 버림 받고 땅 위에 흩어져 있다./ 시몬 너는 좋으냐? 낙엽 밟는 소리가.// 해 질 무렵 낙엽 모양은 쓸쓸하다./ 바람에 흩어진 낙엽은 상냥히 외친다./ 시몬, 너는 좋으냐? 낙엽 밟는 소리가.// 발로 밟으면 낙엽은 영혼처럼 웃는다./ 낙엽은 날개 소리와 여자의 옷자락 소리를 낸다./시몬 너는 좋으냐? 낙엽 밟는 소리가.// 가까이 오라, 우리도 언젠가는 낙엽이니./ 가까이 오라, 밤이 오고 바람이 분다./ 시몬, 너는 좋으냐? 낙엽 밟는 소리가.// (낙엽 전문)

구르몽은 시를 만들며 모든 진실은 상대성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구르몽의 돌연한 잡지 필화 사건은 '낙엽'이라는 시의 씨앗을 발아케 한 것이다. 무릇 인간에게 운명은 계기가 있다. 문학의 작품은 매우 그렇다.

구르몽이 남긴 시보다는 수필이 많다. 그가 남긴 50권의 수필집이 증거물이다. 내용은 18세기 회의주의 철학자들과 비교될 만큼의 광범위하고 논조도 비슷하다. 수필들은 당시의 사건과 인물에 대하여 무관하지 않다. 문학과 철학에 대한 수필인 <문학산책>, <철학산책>을 비롯한 문체, 언어, 미학에 접근한 글들의 연구서들은 심미(審美)한 그의 세계를 보게 한다.

구르몽의 작품들은 지나치게 지성적이다. 법학을 공부하고 국립도서관의 일자리는 구르몽의 정신 사상에 큰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누구에게나 허한 것들은 있기 마련. 구르몽이 공원의 낙엽을 밟는 시간은 순결한 시간으로 후세에 수많은 문학 작품과 영화까지 영감을 불러주었다.

대표적으로 그의 문학의 태도는 T. S. 엘리엇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구르몽의 동생인 장드 구르몽(1877~1928)도 (메르퀴르 드 프랑스)에 기고하였으며 몇 편의 시와 <황금양털>(1908)이라는 소설을 펴내는 영향도 끼쳤다.

시월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전해 준다. 지방마다 그 지역의 예술단체는 인문학의 시간을 준다. 전북 문학관(김영 관장)에서는 권일송 시인의 작품세계와 시인이 평소 지니던 애장품이 전시된다.

한편에서는 권일송 시인의 문학세계와 시인의 문단 생활의 이면을 흥미 있게 이야기한다. 이 같은 예술인의 잔치는 전국적으로 펼치고 있다. 비록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축소의 모양새지만 그래도 문학의 계절, 시월은 우리들 정서에 풍요다.

수많은 문학의 작품은 시월에 만들어진다. 박목월의 '나그네'도 시월이다.

멋과 흥분, 그리고 감격의 불꽃으로 살다간 박인환 시인의 '세월이 가면'도 시월의 주옥이다. 시월은 불안정한  시대를 한줄기 눈물도 없이 잠재우는 시간이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사)한국문인협회 소설분과, <141작가 문장, 필사책> 출판기념회 및 제9회 아름다운 소설가상 시상식 개최… "141인의 문장이 다시 숨 쉬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한국문인협회 소설분과(회장 김영두)는 11월 7일(금) 오후 4시, 서울 예술가의 집에서 (사)한국문인협회와 (주)김앤정컴퍼니 후원으로 <141작가 문장, 필사책> 출판기념회와 제9회 아름다운 소설가상 시상식, 그리고 2025년 송년회를 함께 열며 한 해를 마무리하는 문학적 잔치를 펼쳤다. <141작가 문장, 필사책>은 한국문단을 대표하는 141명의 작가들이 각자의 대표 문장을 공유하며, 독자와의 감각적 교류를 시도한 독창적 기획서다. 부제 '개성 있는 소설가 문장 따라쓰기'에서 알 수 있듯, 이 책은 문학의 본질을 '읽기에서 쓰기로', 다시 '체험으로' 확장하는 실험의 장이기도 하다. 작가의 언어가 독자의 손끝에서 다시 숨 쉬며, 문학의 생명력이 되살아난다. "문장이 손끝을 통해 다시 태어날 때, 문학은 삶이 된다" 행사는 김성달 (사)한국문인협회 이사(소설가)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김영두 소설분과 회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출판기념회의 기획 의의와 필사책 프로젝트의 사회적 의미를 설명하며 "짧은 문장을 필사하는 동안 독자들은 작가와 가장 가까운 자리에서 대화하게 될 것이며, 그 경험은 오래도록 마음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한약사회, 국회 공감 이끌어 '한약학과 6년제·정원 확대' 가시화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대한한약사회(회장 임채윤)가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한약학과 6년제 전환'과 '정원 확대'에 대해 국회와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공감대를 이끌어냈다. 지난 10월 열린 국회 종합감사에서 교육위원회와 보건복지위원회 모두가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한약사 제도 발전의 전기가 마련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국회 서면질의 결과, 교육부·복지부 모두 "6년제 전환 필요성 공감" 국회 교육위원회 김대식 의원과 보건복지위원회 김미애 의원은 각각 교육부와 복지부에 ‘지역 거점대학 한약학과 신설 및 정원 확대’, ‘한약학과 6년제 전환’ 등과 관련해 서면질의를 진행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한약학과 신설 및 입학정원 증원과 관련해 보건복지부와 협의해 추진해 나가겠다"며 "6년제 전환의 필요성 여부를 함께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복지부 또한 "한약사 실무 및 임상 교육 확대 등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과 한의약 산업·제약 연구개발을 위한 인력 확충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관련 논의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교육부와 복지부 모두 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대한한약사회가 수년간 추진해온

정치

더보기
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사랑상품권 30억 원대 부정유통… 서울시의 관리 부재, 사실상 방치 수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서울시가 지역 상권 활성화를 목적으로 도입한 '서울사랑상품권'이 30억 원대 불법 환전 등 각종 부정유통에 노출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감독 부실로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구미경 서울시의회 의원(기획경제위원회, 국민의힘·성동2)은 지난 7일 열린 제333회 정례회 민생노동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사랑상품권의 부정유통 실태가 심각하지만 서울시는 발행에만 치중하고 관리에는 손을 놓고 있다"며 "이는 사실상 '관리 포기 선언'에 다름없다"고 강도 높게 질타했다. 구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적발된 서울사랑상품권 부정유통 건수는 총 157건, 불법 환전 규모만 3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주요 유형은 △웃돈을 요구하는 차별거래(73건) △물품 거래 없이 상품권을 현금화하는 불법환전(15건) △본인 가맹점에서의 자가매출(34건) 등으로, 매년 유사 사례가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취한 행정조치는 6건(총 2,100만 원 과태료)에 불과해, 전체 적발 건수 대비 조치율 3.8%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온누리상품권을 관리하는 중앙정부의 행정조치율(7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