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토 문인을 찾아 충남 얼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설치된 이번 '이광복 문학비'는 서예가 조종국의 글씨와 조각가 정근영의 조각으로 전체적으로는 책을 형상으로 앞면에는 이광복 소설가의 근영과 장편소설 <계백> 문장이, 뒷면에는 부여군을 대표하는 소설가이자 현 한국문인협회 이사장인 이광복 소설가의 생애, 저서, 수상 경력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김용순 충남문인협회 부회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이광복 문학비' 제막식에는 충청남도와 부여군의 후원으로 (사)한국문인협회 충남지회가 주최하고 한국문인협회 부여지부가 주관한 가운데 박정현 부여군수, 장성용 부여군의회 의장, 정찬국 부여문화원장, 김명수 충남문인협회장, 최규학 한국문인협회 부여지부 회장, 유재형 석성나누리장학재단 대표 등과 문화예술계 인사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을 이뤘다.
지난 2014년부터 충남 얼 살리기 사업을 펼쳐온 김명수 충남문인협회의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난 2014년 나태주 시인의 시비 건립으로 시작한 이래 오늘이 여덟 번째 문학비다"라며 "충남문인협회와 부여군의 협업으로 더욱 규모 있게 제막식이 개최되어 기쁘고 앞으로 선화공원이 문학공원이 되어 많은 문학인의 시비와 문학비가 세워지길 기원한다"라고 전했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축사를 통해 "선화공원이 문학비로 인해 더 빛나게 된 것 같다"고 전하며 "앞으로도 지역의 이름난 문인이 발굴되어 이러한 문학비가 계속 세워지기를 바라고 부여를 빛내는 일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구재기 충남문인협회 고문은 작가 소개에서 A4용지 8장에 "이광복 소설가의 작품 세계와 그 업적을 적기에도 부족했다"며 "부여가 낳은 입지전적이고 걸출한 작가로서 문학비 건립은 충남 얼 살리기 일환으로 충남 문인 모두 기쁘기 그지없다"고 말했다.


한편 이 이사장은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1976년 '현대문학' 추천으로 문단에 나왔다.
현재 (사)한국문인협회 이사장(제27대), 국립한국문학관 이사, 6.15민족문학인남측협회 공동회장, 한국문화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소설집으로 '화려한 밀실', '사육제', '겨울여행', '먼 길', '동행', '만물박사'(전 3권) 외 다수가 있으며, 장편소설 '풍랑의 도시', '목신의 마을', '폭설', '겨울 무지개', '사랑과 운명', '계백', '황금의 후예' 외 다수가 있다.
수상으로는 대통령 표창(1987·1995), 제20회 한국소설문학상, 제14회 조연현문학상, 제28회 국제PEN문학상, 부여 100년을 빛낸 인물(문화예술부문), 제30회 한국예총예술문화대상, 제35회 대한민국예술문화대상 등이 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