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3℃
  • 구름많음강릉 8.3℃
  • 구름많음서울 5.8℃
  • 흐림대전 4.8℃
  • 구름조금대구 3.0℃
  • 맑음울산 5.9℃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10.9℃
  • 구름많음고창 3.1℃
  • 맑음제주 11.2℃
  • 구름많음강화 3.0℃
  • 흐림보은 1.6℃
  • 구름많음금산 2.0℃
  • 구름많음강진군 4.2℃
  • 맑음경주시 2.3℃
  • 맑음거제 7.6℃
기상청 제공

정치일반

김현정 의원, GMO가공식품 수입 10년간 9배 급증

식약처 국감자료, 2013년 이후 수입 매년 늘어나 원료표시제 강화 시급
코스트코, 이마트, 버거킹 등 대형마트, 외식 프랜차이즈 중심 수입 확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지난 10년 이상 해마다 수입량이 늘어난 GMO(유전자변형농산물)를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이 코스트코, 이마트, 버거킹 등 대형마트와 프랜차이즈 등을 통해서 유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GMO를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 수입이 대형마트, 외식업체를 중심으로 크게 늘어남에 따라 GMO완전표시제를 비롯한 원료 표시제 개선과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평택시병, 정무위원회)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부터 2024년 8월까지 GMO가공식품 수입 실적 자료에 따르면 GMO가공식품은 2013년 348개 업체들이 1만3,795톤을 수입한데 이어, 2017년 939개 업체들이 전년보다 200%늘어난 2,856억원어치(7만8,991톤), 2022년 4,659억원(11만톤), 지난해에는 1,138개 업체들이 전년보다 31%증가한 6,113억원어치(12만7,739톤)를 수입했다.

GMO가공식품 수입은 올 연말께 6,500억원어치, 15만톤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 GMO가공식품의 연도별 수입업체수·수입중량·수입금액 >

연도

수입업체수

(개)

수입중량

(톤)

수입금액

(천달러)

연도

수입업체수

(개)

수입중량

(톤)

수입금액

(천달러)

2013

348

13,796

38,125

2019

1,029

85,316

264,666

2014

399

18,035

59,102

2020

1,028

84,984

247,798

2015

487

19,027

64,282

2021

995

93,110

288,023

2016

503

26,426

73,191

2022

1,016

110,784

358,375

2017

939

78,991

219,700

2023

1,138

127,759

470,253

2018

938

75,226

253,863

2024.8

1,103

106,729

349,572

※ 출처 : 김현정 국회의원,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10

GMO가공식품의 수요처는 주로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식재료 공급업체 등으로 나타났다. 2013년부터 올 8월말까지 코스트코코리아가 2,868억원어치(5만3,746톤)를 수입해 같은 기간 1,645억원어치(2만4,858톤)을 수입한 이마트와 함께 나란히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모노마트와 일식 외식체인‘하코야’를 운영하는 엘에프푸드가 1,174억원어치(2만2,410톤)를 수입했다.

< GMO가공식품의 주요수입업체 >

수입업체명

수입액 (2013~2024.8)

수입량

(톤)

비 고

수입업체명미화

(단위:천달러)

원화 (단위:백만원)

수입량

(톤)비 고(주)코스트코코리아

220,614

286,798

53,746

대형마트

(주)이마트

126,516

164,471

24,858

대형마트

(주)엘에프푸드

90,281

117,365

22,410

모노마트, 일식HM 하코야

코리아후드써비스

74,925

97,402

17,214

마틴브라워 한국지사, 

맥도날드 식재료 공급

이멕스무역(주)

58,105

75,536

16,829

수입식품할인매장 프랜차이즈

(주)가토코

37,315

48,510

14,738

수입식품 유통, 아워홈 등 대기업 급식 식자재 공급

마틴브라워코리아천안지점

37,115

48,250

19,300

마틴브라워 천안지점

주식회사 비케이알

36,724

47,741

22,569

버거킹 식재료 공급

(주)한국축지

28,825

37,472

9,703

초밥 식재료 수입 공급

롯데상사(주)

26,653

34,648

9,602

롯데마트, 롯데리아 등 

(주)조흥

25,921

33,698

14,568

치즈, 빵크림, 피자, 이스트 등

주식회사 강동케이앤드에스

17,251

22,426

33,223

가공식품(수입김치 등) 도매업

주식회사 젤리젤리

17,005

22,107

5,484

빵류, 과자류, 초콜릿 등

(주)새안글로벌

15,266

19,846

8,402

냉동통감자 등 수입식품 유통

미성패밀리(주)

14,361

18,670

3,808

수입식품전문유통업체

주식회사 진유원

9,990

12,987

21,251

대기업 식용유 OEM 생산

대상(주)

9,135

11,876

5,756

식품대기업

※ 출처 : 김현정 국회의원,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10

맥도날드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마틴브라워의 한국지사인 코리아후드써비스는 974억원어치(1만7,214톤), 마틴브라워코리아 천안지점은 483억원어치(1만9,300톤)를 수입했다.

또한 수입식품 할인매장과 프랜차이즈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이멕스무역은 755억원어치(1만6,829톤)를 수입했다.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CJ프레시웨이, 신세계푸드, 그리고 GS리테일 등에 식재료를 납품하는 가토코는 485억원어치(1만4,738톤)을 사들였다.

같은기간 버거킹에 식재료를 공급하는 주식회사 비케이알은 477억원어치, 롯데상사와 대상은 각각 346억원어치와 119억원어치를 수입했다.

이와 함께 품목별로 GMO가공식품 수입량을 살펴보면 ▲과자류·빵류·떡류 11만톤 ▲농산가공식품류 12만5,354톤 ▲절임류·조림류 4만5,070톤 ▲조미식품 2만2,041톤 ▲서류(감자 등)가공품 2만1,236톤 ▲장류 9,416톤 ▲두부류·묵류 8,563톤 등으로 집계됐다.

< GOM가공식품의 주요 수입품목 >

품목

금액(천달러)

중량(톤)

품목

금액(천달러)

중량(톤)

과자류·빵류·떡류

341,313

110,054

농산가공식품류

162,407

125,354

조미식품

75,247

22.041

코코아가공품·초콜릿류

46,320

7,678

서류가공품

30,667

21,236

두부류·묵류

27,880

8,563

절임류·조림류

23,476

45,070

장류

19,843

9,416

면류

15,475

7,504

기타 식품류

15,349

4,960

즉식식품류

12,374

3,081

캔디류

7,270

1,608

식육가공품류

6,705

1,204

수산가공식품류

6,680

137

식용유지류

1,672

717

음료류

1,369

1,073

※ 출처 : 김현정 국회의원,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10

김현정 의원은 "GMO가공식품 수입은 지난 10년간 급증했고, 이런 추세는 최근 더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며 "소비자들이 대형마트와 외식체인으로 통해 유통되고 있는 GMO가공식품에 대해 제대로 알고 사먹을 수 있도록 GMO완전표시제 도입은 물론, 소비자 눈높이에 맞춰 GMO를 이용해서 만든 식품에 대한 표시제를 개선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i24@daum.net
배너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쏘다 … 제2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어울림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진 '제2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어울림한궁대회'가 지난 11월 8일 서울 노원구 인덕대학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하고 대한한궁협회, 인덕대학교, 서울특별시장애인한궁연맹, 함께하는재단 굿윌스토어, 한문화재단, 현정식품 등이 후원했다. 이번 대회에는 약 250명의 남녀 선수와 심판, 안전요원이 참여해 장애·비장애의 경계를 넘어선 '진정한 어울림의 한궁 축제'를 펼쳤다. 본관 은봉홀과 강의실에서 예선 및 본선 경기가 진행됐으며, 행사장은 연신 환호와 응원으로 가득했다. ■ 개회식, ‘건강·행복·평화’의 화살을 쏘다 식전행사에서는 김경희 외 5인으로 구성된 '우리랑 예술단'의 장구 공연을 시작으로, 가수 이준형의 '오 솔레미오'와 '살아있을 때', 풀피리 예술가 김충근의 '찔레꽃'과 '안동역에서', 소프라노 백현애 교수의 '꽃밭에서'와 '아름다운 나라' 무대가 이어져 화합의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이후 성의순 서울특별시한궁협회 부회장의 개회선언과 국민의례, 한궁가 제창이 진행됐다.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은 대회사에서 "오늘 한궁 대회는 건강과 행복, 평화의 가치를 함께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한약사회, 국회 공감 이끌어 '한약학과 6년제·정원 확대' 가시화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대한한약사회(회장 임채윤)가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한약학과 6년제 전환'과 '정원 확대'에 대해 국회와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공감대를 이끌어냈다. 지난 10월 열린 국회 종합감사에서 교육위원회와 보건복지위원회 모두가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한약사 제도 발전의 전기가 마련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국회 서면질의 결과, 교육부·복지부 모두 "6년제 전환 필요성 공감" 국회 교육위원회 김대식 의원과 보건복지위원회 김미애 의원은 각각 교육부와 복지부에 ‘지역 거점대학 한약학과 신설 및 정원 확대’, ‘한약학과 6년제 전환’ 등과 관련해 서면질의를 진행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한약학과 신설 및 입학정원 증원과 관련해 보건복지부와 협의해 추진해 나가겠다"며 "6년제 전환의 필요성 여부를 함께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복지부 또한 "한약사 실무 및 임상 교육 확대 등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과 한의약 산업·제약 연구개발을 위한 인력 확충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관련 논의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교육부와 복지부 모두 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대한한약사회가 수년간 추진해온

정치

더보기
송옥주 의원, 임기근 기재부 제2차관 면담, 화성 주요 현안 국비 반영 협조 요청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화성 갑,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은 13일, 국회에서 임기근 기획재정부 제2차관을 만나 전곡·제부항의 국가어항 신규 지정, 화성 용소지구 지하수원개발, 수도권 안전체험교육장 건립 등 화성시 주요 현안에 대한 국비 반영 협조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전곡항은 제4차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2021년~2030년)에 반영되어있으나 2026년 8월 이내 매립면허를 취득하지 못할 경우 계획에서 해체되는 실정으로, 항로 준설 등 통항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송 의원은 해당 사업은 어촌·연안 활성화를 위한 국정과제 추진 방향과도 맞닿아 있다며, 전곡·제부항의 국가어항 신규지정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에 필요한 예산을 2026년 예산에 최종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화성 용소지구의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지하수원 개발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했다. 현재 화성시 양감면 일대의 농업용수는 20km 이상 떨어진 길음 정수장에서 평택을 거쳐 공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물 고갈이 반복되고, 상습적인 물 부족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송 의원은 가뭄, 폭염 등 기후위기 상황 속에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