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그리운 바다 성산포'의 이생진 시인, 바다와 섬의 시학을 남기고 별세

9월 19월 97세 일기로 영면… 허세를 멀리하고 탐욕에 물들지 않은 꼿꼿한 시정신으로 한국 시단에 경종을 울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허세를 멀리하고 탐욕에 물들지 않은 꼿꼿한 시정신으로 한국 시단에 경종을 울리던 이생진 시인이 2025년 9월 19일, 향년 97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그는 우리 문단에서 활동하던 최고령 시인이자, 섬과 바다의 시인으로 불리며 한국 서정시의 한 축을 지탱해온 원로였다.

1929년 충남 서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보성중학교에서 교편을 잡은 뒤, 바다와 섬을 떠돌며 평생을 시로 기록했다.

김현승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등단한 이후, 그는 50여 권이 넘는 시집과 시선집, 사화집을 남기며 쉼 없이 창작에 매달렸다.

대표작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제주를 노래한 한국 현대시의 명편으로 꼽히며, 고인을 '성산포의 시인'으로 기억하게 했다.

'바다에 오는 이유', '섬에 오는 이야기', '섬마다 그리움이', '먼 섬에 가고 싶다' 등 바다와 섬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모두 그가 평생 추구한 '그리움의 미학'을 보여준다.

1996년 윤동주 문학상('먼 섬에 가고 싶다'), 2002년 상화시인상('혼자 사는 어머니')을 수상했고, 2001년에는 '그리운 바다 성산포'로 제주도 명예도민증을 받았다.

이후 2012년 신안군 명예군민이 되면서, 그는 남녘 바다와 섬을 온몸으로 품은 시인으로 기려졌다.

고인은 평생을 가난과 고독 속에서 살았지만, 그 고독을 삶의 진실로 끌어안으며 시를 빚어냈다.

그의 시는 거창한 언어 대신 담백한 서정과 깊은 그리움으로 독자들에게 다가섰다.

그의 대표작 '그리운 바다 성산포'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이 슬픔을 노래하고 / 바다가 그 슬픔을 듣는다."

그에게 바다는 단순한 자연의 풍경이 아니라, 슬픔과 그리움을 흡수하는 영원한 존재였다.

또 다른 작품 '실컷들 사랑하라'에서는 인간의 덧없음과 사랑의 소중함을 구름에 빗대어 노래하며, 삶과 죽음의 순환 속에서 사랑이야말로 유일한 위안임을 전한다.

2009년, 제주 성산포 오조리 해안에 '이생진 시비공원'이 조성되어 올레길을 걷는 이들의 발길을 붙잡고 있다.

그곳에 세워진 시비는 그의 문학적 자취이자, 여전히 현재형으로 살아 있는 바다의 노래다.

그의 시와 삶을 기억하는 독자들은 "이생진 시인의 작품은 우리 마음속에 바다를 열어주었다"며 애도를 표하고 있다.

生前 고인은 "사람의 인생도 언젠가 사라지지만, 우리가 간직한 그리움만은 영원히 남는다"고 말하곤 했다.

실제로 그는 "삶과 죽음은 결국 그리움으로 이어진다"는 철학을 詩를 통해 남겼다.

오늘, 우리는 한 사람의 시인을 떠나보내지만, 동시에 바다와 섬의 언어로 새겨진 그의 시는 여전히 우리 곁에 남아 있다.

故 이생진 시인의 명복을 빌며, 그의 詩가 노래한 바다처럼 영원히 흐르기를 기원한다.

故 이생진 시인의 빈소는 서울대학교 장례식장이며, 발인은 2025년 9월 21일(일)이고 장지는 1차 서울추모공원, 2차는 경춘공원이다.

다음은 장건섭 시인(본지 편집국장)의 이생진 시인에 대한 추모시다.

바다로 돌아간 이름, 이생진

- 장건섭 시인

바다는 끝내
당신을 품고 싶어 했습니다.

섬마다 그리움이 피어날 때,
당신은 고독을 짊어진 작은 배가 되어
먼 섬으로, 더 먼 섬으로 떠나셨지요.

술에 취한 파도와
등대 곁 바람 속에서
홀로 코를 고는 모습조차
우리의 시가 되었고,
삶의 진실이 되었습니다.

가난했던 시절,
고독했던 순간,
그 모든 허구의 틈마다
당신은 바다를 불러내어
우리의 가슴을 채우셨습니다.

이제 97년의 긴 항해를 마치고
성산포 푸른 물결 위에
당신의 이름은 별빛처럼 흩어집니다.

살아서 그리웠던 모든 이들,
죽어서 만나러 가시겠지요.
살아서 바다를 노래했던 시인,
이제 바다의 한 부분으로 남으시겠지요.

오늘, 詩壇은 조용히 고개를 숙입니다.
허세를 멀리하고
탐욕을 거부한 그 꼿꼿한 문장 앞에서
우리는 다시 묻습니다.

詩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당신이 남긴 질문은
파도처럼 이어지고,
당신이 남긴 노래는
섬마다 그리움으로 피어납니다.

그리운 바다 성산포,
그리운 시인 이생진,
이제 영원히 바다의 품에서
편히 쉬소서.

i24@daum.net .
배너
"평택의 역사인물 다시 본다"…장승재 암행어사박문수선생기념사업회장, <평택정치 인사이더와 아웃사이더> 출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장승재 암행어사박문수선생기념사업회장(대진대 특임교수)이 평택의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인물을 새롭게 조명한 저서 <평택정치 인사이더와 아웃사이더>를 10월 25일 도서출판 밥북을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평택 지역 역사인물의 재발견과 지역 문화관광의 활성화를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장 회장이 수년간 축적한 자료 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집필됐다. 650년 세거 평택인, 고향 뿌리에서 인물사를 탐구하다 장승재 회장의 가문은 조선 태조 때부터 약 650년간 평택에 세거해온 명문가로, 그는 평택 출신 대표 인물인 암행어사 박문수 선생의 선양사업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2020년에는 '암행어사박문수문화관'을, 2024년에는 '암행어사박문수선생기념사업회'를 설립하여 박문수 선생의 위민정신(爲民精神)을 계승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책 출간 또한 "고향 평택의 인물사를 되살려 문화적 자긍심을 높이고, 역사와 관광이 공존하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연장선"이라는 게 장 회장의 설명이다. 인물사·군사사·문화사로 본 평택의 정체성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평택의 입향조와 정치 인물사'에서는 ▲평택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재)송호·지학장학재단, '제39회 송호장학금' 및 '제16회 지학장학금(연구비)' 수여식 개최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국내 굴지의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와 삼성전자 화성캠퍼스가 위치한 경기도 화성시 송호지학장학회관 지학홀에서 오는 10월 28일(화) 오후 2시, '제39회 송호장학금'과 '제16회 지학장학금(연구비)' 수여식이 열린다. 이번 수여식은 재단법인 송호·지학장학재단(이사장 정희준)이 주최하는 연례 장학행사로, 올해는 총 35명에게 1억 1천8백만 원의 장학금 및 연구비가 전달된다. 화성에서 피어난 39년의 교육 나무 '송호·지학장학재단'은 고(故) 정영덕 선생이 1985년 고향 화성 지역의 인재 육성을 위해 설립한 '송호장학회'를 모태로 한다. '송호(松湖)'는 선친의 아호로, 선친의 뜻을 이은 장남 정희준 이사장이 2009년 재단법인으로 확대 개편하여 현재의 송호·지학장학재단으로 이어오고 있다. 1987년부터 시작된 '송호장학금'은 화성 시내 고교 재학생 중 학업 성적이 우수하나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선발해 지원해 왔으며, 올해 역시 화성 남양고등학교 재학생 10명에게 총 1천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한편 2010년부터 시행된 '지학장학금'은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장학 제도로, 실질적 연구성과를

정치

더보기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 "여성기업은 경제 핵심 주체. 경기도가 버팀목 될 것" (수원=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24일 전국 여성 CEO들이 모인 자리에서 "여성기업이 축적된 역량과 성과를 바탕으로 경기도 경제의 핵심 주체로 확실히 자리잡을 수 있도록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다"고 밝혔다. 고영인 경제부지사는 이날 시흥시에서 열린 '2025년 전국 여성 CEO 경영연수'에서 환영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고 부지사는 "경기도는 전국에서 여성 중소기업의 수와 매출액이 가장 높은 지역"이라며 "이미 85만 개가 넘는 여성기업이 172조 원의 매출과 141만 명의 고용을 책임지며 명실상부한 경기도 경제의 핵심축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고 경제부지사는 이어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해, 여성기업이 창업 초기부터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더 넓은 무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2025년 여성기업 지원 정책을 통해 창업초기 여성기업 30개사를 비롯, 도내 여성기업 56개사에 마케팅 사업화 지원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별 평균 매출액 7억 원, 수출액 15만 달러가 증가하는 성과를 보였으며, 경기북부와 남부에서 여성경제인대회를 열어 600여 개 기업이 참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