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동양방송) 현은미 기자 = 경기도 운전자 10명 중 5명은 운전 중 과속방지턱으로 인해 사고 위험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속방지턱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10명 중 7명에 달해 과속방지턱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기연구원은 사고 예방을 위해 설치한 과속방지턱에 대한 경기도민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지난 1월 6~7일 경기도민 1,0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불합리한 과속방지턱을 개선하자!’ 연구보고서를 13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민들은 하루 평균 10.5개의 과속방지턱을 경험하며 이중 42.9%인 4.5개에 대해 통행 중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민 68.1%는 현재 과속방지턱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잘 보이지 않아 불편(31.9%), 필요 없는 곳까지 설치(31.9%)를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꼽았다. 문제점 인식을 넘어 과속방지턱 때문에 교통사고 위험을 경험한 운전자도 54.0%에 이르며 사고위험 요인은 앞 차량의 급작스런 감속으로 인한 추돌(50.4%), 충격으로 차량 조작 어려움(23.4%), 피하려다 사고 발생(21.1%) 순이었다. 과속방
(수원=동양방송) 현은미 기자 = 수원역의 KTX 활성화를 위해서는 증편보다는 시발역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이 지난해 6월4일부터 10일까지 수원역 이용자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신뢰도 95%, 오차범위 ±3.93%) 결과를 토대로 11일 발간한 ‘수원역 KTX 증편 전략 수립 연구’ 보고서에서 박경철 연구원이 이같이 주장했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수원역 이용자 중 절반 이상인 57.5%가 KTX를 이용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사유로는 운행횟수가 적다는 응답이 24.2%, 목적지까지 KTX가 운행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22.8%이며, 통행속도에 차이가 없다는 응답도 9.2%였다. 이러한 KTX 운행횟수 부족으로 42.8%는 일반열차를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대체 열차로는 새마을호를 가장 많이 이용(56.8%)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2.5%는 다른 역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데, 광명역 41.2%, 서울역 36.2% 순이었다. 한편 KTX 운행횟수가 증편될 경우 수원역 이용자 66.5%는 KTX를 이용한다고 응답해 증편 시 주변 철도역(광명역 등)으로부터의 전환수요보다는 자체 철도 이용객 증가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서
(수원=동양방송) 현은미 기자 = 2015년 기준 한국의 다문화가족은 배우자와 자녀를 포함하여 82만 명이며 2020년에는 1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2015년 행정자치부 자료)되는 가운데 정부 주도 동화주의에서 지자체 주도 다문화정책으로 전환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 오재호 연구위원은 3일 다문화정책이 바뀌어야 한다 연구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정책이 실효를 거두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전국의 다문화가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경기도의 결혼 이민자 및 귀화자는 9만명으로 전국의 27%를 차지하며 그들의 자녀는 5만명으로 전국의 25%에 달한다(2014년 법무부 자료). 한국의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는 언어(21%), 경제(20%), 외로움(14%), 편견 및 차별(7%)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들의 자녀는 연령이 높을수록 학업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고, 10명 중 1명은 학교폭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12년 여성가족부 실태조사). 한편,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은 농촌 총각의 배우자, 저소득층, 사회적 약자, 후진국 여성, 복지의 대상 등 부정적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재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