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한, 미얀마 군과 경찰의 폭력적인 진압이 즉시 중단될 수 있도록 UN 안전보장이사회의 5개 상임이사국은 즉각 유효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대한민국 정부도 국제사회와 함께 미얀마의 민주화를 위해 실질적인 노력을 할 것을 당부했다.








이 의원은 이어 "우리 교민 등의 보호활동과 미얀마 민주주의의 연대를 위해 동료 의원들과 미얀마 방문을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은 더불어민주당 젊은 의원들로 구성된 일하는 국회의원 모임 '일맥상통('일')하는 국회를 만들기 위하여, 소'통'하는 젊은 의원들의 모임)에서 주도했다.
한편, 참여의원들은 지난 2월 23일에도 미얀마 군부 쿠데타 규탄 및 민주화 회복을 촉구하는 국회 기자회견을 진행한 바 있다.

미얀마 군사정부는 시민들에 대한 폭력 진압을 즉시 중단하라!!
미얀마 군사정부는 민주주의를 향한 시민의 염원을 받들어 쿠테타를 중단하라!!
지난 2월 1일 쿠데타 이후 민주주의를 염원하는 미얀마 시민들은 거리에서 맨몸으로 군부에 맞서 왔다. 미얀마 군과 경찰은 이를 폭력적으로 진압했다. 그 과정에서 50여 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고 수백 명이 구금되었다.
더 이상 인명의 희생이 있어서는 안 된다. 희생된 분들과 그 가족들에게 깊은 조의를 표하며, 미얀마 군부가 시민들에 대한 폭력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그동안 국제사회는 미얀마의 민주주의와 평화의 회복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미얀마 군부는 이를 내정간섭으로 일축하고 시민들을 탄압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2017년 로힝야족 학살을 주도한 부대까지 투입하고 있다. 이러한 미얀마 군사정부의 행태는 국제인권법에 명백히 위반되며 즉시 중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UN 안전보장이사회는 미얀마 사태 해결을 위한 성명이나 결의안조차 채택하지 못하고 있다. '유엔이 행동을 취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희생자가 필요한가?'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양곤 UN 대사관 앞에 섰던 미얀마 학생의 외침을 잊어서는 안 된다.
미얀마 군과 경찰의 폭력적인 진압이 즉시 중단될 수 있도록, UN 안전보장이사회의 5개 상임이사국은 즉각 유효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대한민국 정부도 국제사회와 함께 미얀마의 민주화를 위해 실질적인 노력을 할 것을 촉구한다.
2015년, 2020년 총선 압승을 가져온 민주주의를 위한 염원을, 미얀마 시민들은 죽음으로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1988년 민주화 항쟁, 2007년 샤프란 항쟁에서 미얀마 시민들이 들었던 민주주의를 위한 촛불이 들불이 되었음을 확인하고 있다.
미얀마 군부의 폭력적인 탄압으로는 들불을 꺼뜨릴 수 없을 것이다. 지금이라도 미얀마 군사정부가 구시대적인 군사 쿠데타를 멈추고, 민주주의를 염원하는 미얀마 시민의 뜻을 받들기를 촉구한다.
우리는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가능케 했던 4.19 혁명,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정신으로, 민주주의와 평화의 꽃을 피우려는 미얀마 시민들과 끝까지 함께 할 것이다.
2021. 3. 10.
미얀마 민주주의와 평화 회복을 위한
대한민국 국회의원-재한 미얀마 시민사회단체 공동기자회견 참가자 일동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박주민·이재정·고민정·김남국·김용민·민형배·신현영·오영환·유정주·이소영· 이탄희·장경태·전용기·최혜영·홍정민
- 미얀마 민주주의 네트워크(공동대표 Yan Naing Htun, Soe Mou Thu, 정범래)
- 재한 미얀마 청년연대 (Myanmar Youth Organization in Korea, 회장 서예은)
- 재한 미얀마 봄 혁명 지지자들 (Myanmar Spring Revolution Supporters in Korea, 대표 녜잉 뺴잉송)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