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탐방에는 전민 이사장을 비롯해 대전문화상 수상자 모임인 한밭문화회(회장 서정복) 회원 등 전국 각지의 시인과 문화예술인 40여 명이 참석하여, 시와 선비정신이 깃든 함양의 주요 문화유산을 두루 둘러보며 한국 전통문화의 깊이를 체험했다.
탐방 코스는 상림숲을 시작으로 천년교, 사운정, 개평한옥마을, 일두고택, 거연정 순으로 이어졌다.



첫 여정은 신라 진성여왕 시기 문장가이자 유학자였던 최치원이 조성한 인공림 '상림숲'이었다. 천년의 세월을 품은 이 숲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림 중 하나로, 고목과 고즈넉한 숲길이 어우러져 생태와 역사의 보고로 손꼽힌다.
시인들은 아침 햇살에 반짝이는 풀잎과 새소리, 나무의 고요한 숨결 속에서 자연과 교감하며 시심을 깨우는 시간을 가졌다.

비문에는 그의 학문과 정치적 업적, 그리고 상림을 조성해 백성을 이롭게 하고 자연을 살린 공덕이 담겨 있어, 시인들은 비 앞에서 문장의 힘으로 시대를 밝히고자 했던 옛 선인의 뜻을 되새겼다.
이어지는 코스는 상림숲과 함양 읍내를 잇는 목조다리 '천년교'였다. 전통 한식 구조로 지어진 이 다리는 상림의 역사적 의미를 상징적으로 연결하며, 옛길을 걷는 듯한 정취를 자아낸다. 시인들은 다리 위를 걸으며 한국문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사유하는 발걸음을 이어갔다.

이어 들른 '사운정(思雲亭)'은 조선 후기 학자인 송병선(宋秉璿, 1836~1905) 선생이 학문과 정신을 수양하던 공간으로, 구름을 생각한다는 뜻을 지닌 정자다.
이 정자는 함양의 푸른 산세를 배경으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고요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깊은 사색의 장소로 기능해왔다. '사운'이라는 이름에는 하늘을 닮은 고결한 뜻과, 끊임없는 자성의 의미가 깃들어 있다.
이곳에서 시인들은 조선 유학자의 내면세계를 상상하며, 자연과 더불어 존재하는 시인의 삶에 대해 다시금 성찰하는 시간을 가졌다.

'개평한옥마을'은 조선시대 양반가의 고택들이 고스란히 보존된 전통 마을로, 함양을 대표하는 문화유산 중 하나다. 마을 전체가 시간이 멈춘 듯 고요한 풍경 속에 학문과 풍류, 가족의 서사가 담겨 있다. 흙담 너머 전해지는 된장의 향기, 마루에 걸터 앉은 노모의 느린 숨결, 풍경 소리 하나하나가 시가 되었고, 시인들의 감수성에 깊은 울림을 남겼다.


이어 방문한 '일두고택'은 조선 5현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명재상 정여창 선생의 고택으로, 조선 중기 건축양식을 잘 간직한 채 청렴과 학문, 선비정신의 상징으로 보존되고 있다. 시인들은 정여창 선생이 사색하던 마루 위에 앉아 그의 학문과 정신, 그리고 시심을 되새기는 사색의 시간을 가졌다.

탐방의 마지막 여정은 '거연정(居然亭)'이었다. 퇴계 이황의 제자이자 조선 중기의 학자인 정여창 선생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이 정자는 깊은 산 속 맑은 계곡 위에 자리잡아 자연과 하나 된 정취를 간직하고 있다.


전민 이사장은 "시인은 자연과 전통 속에서 새로운 시적 영감을 발견해야 한다"며 "이번 탐방이 문학이 나아갈 방향을 성찰하고, 한국적 정서를 기반으로 한 창작의 근간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신경희 사무국장은 "국제계관시인연합한국본부는 국내외 시인들과 함께하는 문학문화 행사를 지속해 나가며, 한국 시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오고 가는 이동 중에는 전용 버스 안에서 전민 이사장의 인도로 즉흥 시 낭송 등이 이어지며 참가자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