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PEN한국본부, 2022년 PEN문학상 수상자 선정 발표

제38회 PEN문학상 시 부문 본상에 김성춘·김철기 시인, 우수상에 이행자 시인
소설 부문에 우한용 소설가, 수필 부문에 박종숙 수필가, 아동문학 부문에 문삼석 아동문학가
특별상 부문에 이원로 시인, 김영진 시인·수필가
제11회 PEN송운현원영시조문학상에 김숙희 시조시인
12월 14일 수요일 오후 2시 서울 인사동 천도교 수운회관 대강당에서 시상식 개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국제PEN한국본부(이사장 김용재)는 7일, '2022년 PEN문학상' 수상자 및 '제11회 PEN송운현원영시조문학상' 수상자를 다음과 같이 선정 발표했다.

국제PEN한국본부는 2022년 제38회 PEN문학상 시 부문 본상에 김성춘(시인), 김철기(시인), 우수상에 이행자(시인), 소설 부문에 우한용(소설가), 수필 부문에 박종숙(수필가), 아동문학 부문에 문삼석(아동문학가), 특별상 부문에 이원로(시인)과 김영진(시인·수필가) 씨가 수상자로 결정됐다고 밝혔다.

2022년 제38회 PEN문학상 시 부문에 시집 <길 위의 피아노>로 본상 수상자로 선정된 김성춘 시인은 1974년 제1회 <심상> 신인상(박목월 박남수 김종길 선) 수상으로 등단, 시집으로 <물소리 천사>, <길 위의 피아노> 외 12권이 있다.

최계락문학상, 한국가톨릭문학상, 바움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동리목월 문예창작대학 출강 역임, 현재 국제PEN한국본부 경주지회장으로 있다.

시집 <눈 뜨면 그냥>으로 시 부문 본상 수상자로 선정된 김철기 시인은 1991년 월간 <文藝思潮>를 통해 등단, 시집 <눈 뜨면 그냥>, <그리다>, <꿈빛 나이테> 등 14권을 출간했으며, 전자시집, 시낭송시집 등 다수의 시집을 발간했다.

경기도백일장 장원(1977), 한국예총부천지회(문학)상(1989), 한국자유시인상(1996), 경기도문학상(2004), 한국시학상(2008), 제15회한국문학백년상(2022) 등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문협시서화 진흥위원, 한국현대시인협회 지도위원, 한국시문학아카데미 상임이사, 국제PEN한국본부 감사로 활동하고 있다.

시집 <손대지 않은 돌>로 시 부문 우수상에 선정된 이행자 시인은>1994년 <문예한국>로 등단, 시집 <손대지 않은 돌> 외 5권을 펴냈으며, '이행자 국영문시선집'이 있다.

영랑문학상 본상, 국제화에 앞서가는 시인상을 수상했다.

현재 국제PEN한국본부, 한국여성문학인회, 한국기독교문협 이사, 순수문학인회 부회장, 탈후반기 동인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소설집 <소리 숲>으로 소설 부문 본상 수상자로 선정된 우한용 소설가는 1987년 <월간문학> 신인상에 단편소설 '고사목 지대'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작품집으로 <불바람>, <귀무덤>, <양들은 걸어서 하늘로 간다>, <멜랑꼴리아>, <초연기-파초의 사랑>, <호텔 몽골리아>, <붉은 열매>, <아무도, 그가 살아 돌아오리라고 기대하지 않았다>, <수상한 나무>, <시인의 강>, <떠돌며 사랑하며>(핀션에세이), <도도니의 참나무>(중편집), <사랑의 고고학>(중편집)이 있으며, 장편소설 <생명의 노래1.2.>, <시칠리아의 도마뱀>, <심복사>, <악어>, <소리 숲>이 있다.

또한 시집으로 <청명시집>, <낙타의 길>, <검은 소>, <내 마음의 식민지>가 있다.

표현문학상, 둔촌이집문학상,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작가교수회 회장, 현대소설학회 회장, 한국소설가협회 부이사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수필집 <나의 사이프러스 나무>로 수필 부문 본상에 선정된 박종숙 수필가는 1990년 7월 <월간 수필문학>으로 등단, 수필집 <호수지기>, <내 영혼의 강가에서>, <호수에 그린 달빛>, <점하나 의미>, <시선, 그 너머>, <공지천의 봄>, <나의 사이프러스나무> 등이 있다.

또한 기행수필집 <낯선 날들의 유혹>과 수필 교재 <이야기로 쓰는 수필>, 수필 선집 <노을이 타는 강>, <바다엽서>가 있다.

월간수필문학상, 탐미문학상, 강원도문화상(문학부분), 연암수필문학상, 김규련수필문학상, 한국문학 백년상 등을 수상했다.

춘천문화원 부원장, 한국수필문학가협회 부회장, 수필문학 춘천작가회 회장, 국제PEN한국본부 이사, <월간수필문학> 편집위원(1998~)으로 활동하고 있다.

동시집 <껍데기와 알맹이>로 아동문학 부문 본상 수상자로 선정된 문삼석 아동문학가는 196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동시부(윤석중 선고 '시골학교 난롯가에는')로 등단했다.

동시집으로 <산골 물>, <이슬>, <우산 속>, <바람과 빈 병>, <하늘이 된 연못>, <도토리 모자>, <우리들의 모자와 신발>, <껍데기와 알맹이>, <몸 튼튼 마음 튼튼>, <수수께끼로 동시 쓰기>, <나는 솔잎> 외 다수가 있다.

계몽사아동문학상, 한국동시문학상, 세종아동문학상, 소천아동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가톨릭문학상, 방정환문학상, 이주홍아동문학상, 박홍근아동문학상, 윤석중문학상, 대한민국동요대상, 열린아동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계몽아동문학회장, 한국아동문학인협회 회장, 국제PEN한국본부 부이사장 등 역임하고, 현재 한국아동문예작가회 부이사장, 한국아동문학인협회, 한국동시문학회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PEN문학상 특별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원로 시인은 1989년 <월간문학>을 통해 등단, 시집과 시선집으로 <빛과 소리를 넘어서>, <피아니시모>, <우주의 배꼽>, <섬광>, <약속>, <타임캡슐>, <찻잔과 바다>,<전야제> 등 시집 44권과 시선집 11권을 출간했다.

의사시인상, 한유성문학상 특별상 등을 수상했으며, 전 인제대학교 총장(5대), 현재 인제대백중앙의료원명예의료원장, 의학박사 심장전문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 PEN문학상 특별상 수상자로 선정된 김영진 시인·수필가는 1965년 시집 <초원의 꿈을 그대들에게>(동아출판사) 출간, 시집 <희망이 있으면 음악이 없어도 춤춘다>(웅진지식하우스), <빈 그릇의 노래>(김영진 문학관) 등이 있으며, 수필집으로 <책한테 길을 물어>(현대문학), <책 읽는 사람이 세계를 이끈다>(웅진지식하우스), <긍정의 말>(웅진씽크빅), <지혜의 말>(웅진씽크빅) 등이 있다.

또한 소설집 공저로 <스토리텔링 성경>(성서원) 24권 등이 있다.

한국간행물윤리상, 동포문학상, 한국수필문학상, 한국문학예술대상, 노산문학상, 한국문협 서울시문학상, 한국기독교문학상, 대한민국기독예술대상, 대통령 표창,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했다.

또한 한국 시조 발전에 뛰어난 공적이 있는 시조시인을 위한 상으로 제정된 제11회 PEN송운현원영시조문학상에는 김숙희 시조시인으로 수상자가 결정됐다.

시집 <둥근 것의 힘>으로 제11회 PEN송운현원영시조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김숙희 시인은 1998년 <시조 생활> 신인문학상으로 등단, 시집으로 <꽃, 네 곁에서>, <엉겅퀴 독법>, <둥근 것의 힘>이 있다.

한국문학100년상, 정형시학작품상, 시천문학상, (사)한국시조협회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사)한국문인협회 회원. (사)국제PEN한국본부 회원, 한국시조시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편, (사)국제PEN한국본부는 1954년 설립한 국제적인 문학단체로 2012년 9월 경주에서 월레소잉카, 르 끌레지오 노벨문학상 수상자들과 세계 100여 개국 PEN회원국 작가들과 함께 제78차 국제PEN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하였다. 또한 2015년 경북 경주에서 세계한글작가대회를 개최한 이후 8회째 대회를 지속하고 있는 단체이다.

이번 2022년 PEN문학상 시상식은 12월 14일 수요일 오후 2시 서울 인사동 천도교 수운회관 대강당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i24@daum.net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개헌개혁행동마당 등 53개 시민단체, 국립대전현충원서 홍범도 장군·무후 광복군 추모 (대전=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지난 10월 8일 정오부터 오후 2시까지, ‘개헌개혁행동마당’(상임의장 송운학)에 참여하는 ‘국민주권개헌행동’을 비롯한 53개 시민단체 대표단이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홍범도 장군과 후손이 없는 광복군 17위 선열을 추모하는 합동차례를 올렸다. 대표단 약 20여 명은 이날 묘역 참배 후 '화이부동(和而不同)'과 좌우합작 정신을 계승해 국권국익 수호, 남북 평화공존, 국민개헌 보장 등의 실천 방안을 마련하자는 데 뜻을 모으고 서약문 채택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홍범도 장군·무후 광복군 17위 선열에 추모차례 1부 행사는 독립유공자 제7묘역에서 김동섭 ‘독립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이 사회를 맡아 진행됐으며, 2부는 송운학 '국민주권개헌행동' 상임대표가 이어받아 참배와 헌시 낭독으로 이어졌다. 참석자들은,▲"항일무장투쟁 만세!", ▲"대한독립 만세!”, ▲"국권국익 수호 만세!"▲"남북평화공존 만세!", ▲"국민개헌보장 만세!" 등의 구호를 외치며 선열들의 뜻을 기리고, 참된 자주독립과 직접민주제 실현의 길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무후 독립유공자 7,285명… 후손 확인 못 해 예우도 미흡" 송운학 상임의장은 모두발언에서 "이곳

정치

더보기
남인순 의원, 환자 돕는다던 '환자대변인' 16%가 병원 측 변호사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송파구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은 12일,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이하 중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위촉된 환자대변인 인적사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56명의 환자대변인 중 9명(약 16%)이 현재 병원 측 자문 또는 소송 대리 업무를 수행 중인 변호사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들 중 일부는 특정 병원의 소송을 직접 대리하고 있으며, 동시에 5곳 이상의 병원에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는 변호사도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분쟁 조정 환자대변인 제도'는 의료사고로 인한 분쟁 시, 환자 측의 권리를 법적·의학적으로 보호하고, 조정 과정에서 환자의 실질적인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5월 공모와 심사를 거쳐 의료사고 분야의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변호사 56명을 환자대변인으로 선정·위촉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남 의원은 이번 인선 과정에서 "의료사고 분쟁 시 환자를 조력해야 할 변호사들이 병원 측의 이해관계를 대변해온 인사들로 위촉된 것은 제도의 본래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남인순 의원은 이어 "특히 현직에서 병원 소송을 대리하거나 자문 업무를 수행하면서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