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초선 의원으로 서울시의회에 등원한 박 의원은 행정자치위원회·운영위원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윤리특별위원회 등 여러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에서 맹활약해왔다.
박 의원은 13년 만에 축소 편성한 '2024년 서울시 예산안'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특유의 날카로움은 더욱 돋보였다.
박 의원은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서 서울시가 지방재정 운용 기본 원칙에 따라 예산안을 편성했는지 사업 전반을 살폈다.
시민 눈높이에서 △ 정원도시 서울 △ 그레이트한강 프로젝트 △ 자치구 재정 불균형 △ 청년 사업 등 예산을 과도하게 편성한 사업과 부실하게 편성한 사업을 비교·분석하며 불필요한 사업은 가감 없이 지적하고, 시민 친화적인 예산을 집중확보 하는데 전심전력을 다했다.
박 의원의 입법 활동 방향 역시 그 중심은 시민이었다.
박 의원은 '시민과 밀접한 조례안' 등을 개정하며 입법 활동에 박차를 가했고, △시민 안전 △시민 권리 △불균형 해소 등 3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자치법규 개정에 임했다.
지난해 이태원 참사 후 책임 있는 공직자들의 면피성 발언으로 입법 공백이 드러나자, 이에 대한 후속 조치와 재발 방지를 위해 '서울특별시 자치경찰사무 및 자치경찰위원회의 조직·운영 등에 관한 조례' 및 '서울특별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 조례' 개정안을 각각 대표 발의해 '다중운집 행사'의 정의를 명시하고, '사회재난'에 다중운집 행사로 인한 피해를 포함함으로써 입법 공백을 완전히 메웠다.
시민의 알권리 제고 및 권리 행사 등을 위한 '서울특별시의회 회의규칙' 개정안도 3건 발의했으며, 기후위기에 따른 양극화 심화를 해소하고자 '서울특별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 조례' 개정안 발의로 머지않아 서울시에서 기후위기 취약계층에 대한 실태조사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박 의원은 그밖에 잇달아 발생한 이상 동기 범죄로 ‘안전 환경’이 화두가 된 가운데, 자치구 간 재정 격차로 인한 차별적 안전 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예방하고자 '서울특별시 지방보조금 조례' 개정안 발의로 향후 어느 자치구에 살든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안전한 환경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수빈 의원은 "우수의정 대상 수상을 계기로 초심을 잃지 않고, 올해도 시민 중심의 의정활동을 꿋꿋하게 이어 나갈 계획이다"며 "새해, 새로운 마음으로 서울시민과 강북구민을 위한 또 다른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계속 정진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