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7.0℃
  • 맑음강릉 18.2℃
  • 맑음서울 10.4℃
  • 맑음대전 9.0℃
  • 맑음대구 11.6℃
  • 맑음울산 9.3℃
  • 맑음광주 11.4℃
  • 맑음부산 12.7℃
  • 맑음고창 9.5℃
  • 맑음제주 13.1℃
  • 맑음강화 9.1℃
  • 맑음보은 5.6℃
  • 맑음금산 6.2℃
  • 맑음강진군 7.0℃
  • 맑음경주시 7.8℃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정치여 하이쿠를 읽어라"

시는 압축이 생명, '한국인이 즐겨 사용하는 것은 카톡…여기에 표현되는 것들이 하이쿠의 하나'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하이쿠(俳句) 시는 17자의 짧은 장르다. 정형 운문으로 450년 전부터 일본의 상류사회, 서민사회까지 사랑을 받았다.

짧은 시는 긴 시보다 더 많은 것을 말할 수 있다. 몇 마디의 말, 눈빛, 손짓 같은 것으로 언어 너머의 것을 이야기한다. 바쇼(芭蕉)는 학인들에게 이렇게 권고한다. "모습을 먼저 보이고 마음은 뒤로 감추어라." 시의 의미는 뒤로 감추고 모습(形)을, 풍경을 먼저 보이라는 것이다.

설명하지 말고 묘사를 말한다. 자신의 감정을 직접 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이류라 하는 것은 옳다. 하이쿠는 눈으로 보이고 눈으로 만질 수 있는 가시적인 것을 보인다. 17자로 구성되는 한 줄의 정형시는 계절과 자연을 노래하면서 인간의 실존에 가장 근접한 문학으로 평가받는다.

문명권에서 창작된 가장 짧은 장르에 꼽힌다. 그러고 보면 유럽에서는 소네트, 일본의 하이쿠 한국의 시조가 일정 부분 비슷한 면을 공유한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비롯해 많은 시인은 자국어로 하이쿠 시를 만들었다. 영국의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 시인이나 아르헨티나의 대문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는 하이쿠를 즐겨 만들었다.

노벨 문학수상자인 멕시코 작가 옥타비오 파스(Octavio Paz Rozano는 마츠오 바쇼의 하이쿠를 좋아해 바쇼의 하이쿠 시를 직접 스페인어로 번역했다. 일본의 하이쿠 시인으로 마츠오 바쇼, 고바야시 잇사(小林一茶),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 등이 있다.

바쇼는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에 등장해 일본 문화를 잘 모르는 한국인에게도 약간의 인지도가 있는 편이다. 하이쿠가 한국에서는 그리 유명세를 치르지 않는 것은 한국인의 일본 문화에 대한 반감의 작용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60년대 이어령 교수는 일본을 들어 '축소지향의 나라'로 소개하여 반향을 일으켰다. 일본은 모든 물건을 소형화하여 대중의 사랑을 받게 하는 기술의 나라다. 하이쿠도 일본의 축소지향 문화 속에 하나의 장르로 보인다.

'허수아비 뱃속에서/귀뚜라미가/울고 있네' / <잇사>. '꽃잎 하나가 떨어지네/어, 다시 올라가네!/나비였네' <모리다케>. '미안하네, 나방이여/난 너에게 해줄 것이 아무것도 없어/그냥 불을 끄는 수밖에’ <잇사>. '붉은 꽃잎 하나가/소똥 위에 떨어져 있다/마차 불꽃처럼' <부손>. 이처럼 하이쿠는 짧고 함축적이기에 작품에 내포된 의미를 독자는 다양하게 해석의 공간을 갖게 된다.

독서가 그러듯 각자의 경험 미학에서 나오는 배경 지식이 17자로 만나면 지구본을 돌리는 기분, 언어 우주를 넘나드는 느낌이다. 우주는 아주 미세하고 광활하다. 밤바다처럼 고요하다. 불타는 장작처럼 격정이다. 이것들이 들어 있는 하이쿠를 독자는 사랑하게 된다.

미국의 시인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는 하이쿠의 영향을 받은 시를 섰다. 미국은 60년대부터 하이쿠가 좋은 반응을 받으며 대중화된 장르다. 미국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소개되고 있다.

2019년 타임스는 하이쿠 시를 독자에게 공모, 타임스에 연재하기도 했다. 미국인이 일본 여행 때 오래된 정원의 벤치에서 하이쿠를 짓는 것을 일본의 방송사가 인터뷰하여 보여준 적도 있다.

하이쿠는 철학계도 적지 않는 영향을 주었는데 구조주의 철학의 대표주자 한 명이었던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가 일본의 하이쿠에 강한 인상을 받아서 그의 철학을 완성 시켰기 때문이다.

굳이 말할 필요도 없이 시는 압축이 생명이다. 이야기를 지어내거나 생각되는 대로 글을 푸는 다른 문학과는 차별성이 있다.

우리는 이미 일상이 하이쿠의 시대에 살고 있다. SNS를 통한 표현과 주장은 가장 짧은 표현으로 나의 의견을 제시하게 된다. 미국의 오바마 전 대통령은 짧은 SNS 문장을 이용하여 높은 지지를 받았다.

한국인이 즐겨 사용하는 것은 카톡이다. 여기에 표현되는 것들이 하이쿠의 하나다. 요즘 정치권에서는 카톡의 문장이 나라를 혼란에 넣는다. 하이쿠를 읽어보기를 권한다.

하이쿠가 요구하는 것은 인간의 존재를 넣는 철학이 요구된다. 말의 유희는 늦은 시대의 산물이다. 인생과 자연의 뛰어난 형태 언어를 사용하면 너와 나의 소통은 향연(饗宴)이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 문화 평론가)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주권개헌행동' 등 시민사회 일각, "내란청산·사회대개혁 위해 6.3대선에 개헌하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최근 내란 사건 재판에서 서울중앙지법 형사 25부(재판장 지귀연 부장판사)가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베풀어준 각종 특혜 등이 불공정성 논란을 야기했다. 조희대 대법원장은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이재명 민주당 대통령 예비후보(항소심 선고 당시 민주당 대표) 관련 공직선거법 위반혐의 상고사건을 직권으로 전원합의부에 넘기고 신속심리를 결정하고 진행하는 등 전례 없이 개입했다. 사법부 재판이 파격적일 정도의 이례성 등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진행되자 그 배경과 향후 전망 등에 국민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리하여 내란범죄자들에 대한 사법단죄와 정권교체 및 사회대개혁 등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이처럼 복잡하고도 미묘한 정세에서 원래부터 대선 이후 개헌하자는 압도적 다수에 달하는 시민단체들은 물론 동시실시를 주장해 왔던 얼마 안 되는 개헌단체들마저 대부분 내년 2025년 지방자치선거에서 개헌하자는 방향으로 입장을 선회하기 시작했다. 다수 국민과 언론 역시 개헌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인식 아래 대선과 동시에 개헌하자는 주장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 대선과

정치

더보기
옥재은 서울시의원, 중구 주민 남산터널 혼잡통행료 50% 감면 조례 본회의 통과 환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옥재은 서울시의회 의원(주택공간위원회, 중구2, 국민의힘)은 지난 25일(금) 중구 주민에 대한 서울시의 남산터널 혼잡통행료 50% 감면 개정 조례안이 본회의를 통과한 것에 대하여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1996년 11월 '서울시 혼잡통행료 징수 조례'를 제정하여 남산 1·3호 터널을 통과하는 양방향 차량에 통행료 2,000원을 부과해왔으며, 작년 1월 15일부터는 도심 방향 진입 차량에만 통행료를 징수하고 상대적으로 덜 혼잡한 외곽 방향으로 나가는 차량에 대한 통행료는 걷지 않고 있다. 그러나 옥 의원은 27년 만에 통행료 개선이 이뤄지기는 하였으나 이는 반쪽짜리 개선으로 남산터널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일상적인 이동에도 누적되는 통행료 납부에 대해 과중한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불가피한 이동에도 내야 하는 통행료는 불합리한 처사라고 지적하며 서울시에 통행권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 이에 화답하여 서울시는 중구 거주민 소유 자동차를 대상으로 남산 1·3호 터널 혼잡통행료를 50% 감경하는 내용의 조례 개정안을 제330회 임시회에 제출하였으며, 25일 서울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이번 조례 개정을 통해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