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5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이름 없는 길을 걷는 물

저수(貯水)의 역사에서 배우는 생명의 지혜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인류가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자원은 ‘물’이었다. 인류 최초의 정원인 에덴동산은 두 줄기의 강물에서 시작되었다. 철학자 탈레스는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 정의했다. 생명은 물 없이 존재할 수 없으며, 인류의 문명은 늘 물을 둘러싼 투쟁과 협력 속에서 전개되었다. 강이 흐르는 곳에 사람이 모여 살았고, 그곳에서 도시와 국가가 세워졌다. 물은 단순한 자원이 아니라 문명의 토대였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인간이 물을 '저수'하기 시작한 순간은 곧 문명의 출발점이었다. 기원전 6000년경 메소포타미아 유역,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주변에서는 계절마다 반복되는 범람과 가뭄을 대비하기 위해 인공 저수지가 만들어졌다. 이는 단순한 저장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공동체적 선택이었다.

이집트의 나일강도 마찬가지였다. 나일강의 범람은 기름진 토양을 주었지만, 동시에 불확실성을 안겼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파라오는 관개와 저수 시스템을 구축했고, 그것은 곧 국가 권력의 기반이 되었다. 중국 황허강 주변의 초기 농경사회도 큰 강의 범람을 막고 물을 모으는 일에 온 힘을 쏟았다. 그들에게 물은 곧 생존의 열쇠였고, 물을 다스리는 자가 천하를 다스린다고 여겼다.

한반도 역시 물을 저수하고 다스리는 전통 속에 문명을 세웠다. 삼국시대에는 저수지와 둑을 쌓아 농업 생산력을 높였다. 대표적으로 백제의 저수지 기술은 일본에까지 전해졌다. 신라의 보와 제방은 공동체적 농업 체계를 가능하게 했고, 고려·조선 시대에 이르러서는 국가적 차원의 수리(水利) 행정이 자리 잡았다.

세종대왕 시기에는 가뭄과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수리 사업이 국가적으로 조직화되었다. 이는 농업 기반을 튼튼히 해 백성의 삶을 안정시켰다. 물의 확보와 관리가 곧 나라의 흥망을 가르는 중대한 과제였다.

오늘날 우리는 물의 소중함을 점점 망각해 가고 있다. 지구의 70%가 바다라 하지만, 인류가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담수는 전체의 2.5%에 불과하다. 그마저도 극지방 빙하와 지하에 묶여 있어, 실질적으로는 1% 남짓이다

. 21세기는 '물 전쟁'의 시대라 불린다. 아프리카와 중동,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물 부족으로 이미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물은 이제 석유보다 귀한 자원으로 불리며, 유엔은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물 부족 지역에서 살게 될 것이라 경고한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강릉의 가뭄, 남부 지방의 집중호우는 모두 기후변화와 연결된다. 때로는 넘쳐나고, 때로는 모자라는 극단적 변동 속에서 물을 어떻게 지혜롭게 관리할 것인가는 국가적 과제가 되었다. 우리는 흔히 수도꼭지를 틀면 당연히 물이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배후에는 수많은 저수지와 댐, 정수 시설, 그리고 묵묵히 지켜온 관리 시스템이 존재한다.

물은 단순히 흘러가는 자연 현상이 아니라, 인류의 땀과 지혜가 모인 결실이자 자연의 섭리 속에 주어진 귀한 선물이다. 우리는 다시금 물의 소중함을 일깨워야 한다. 낭비를 줄이는 작은 습관, 빗물을 모아 활용하는 지혜, 하천과 습지를 보존하는 사회적 선택이 필요하다. 물은 무한한 자원이 아니다. 우리 세대가 지키지 못한다면, 다음 세대는 더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인류가 최초로 물을 저수했던 순간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가 아니라, 생명을 지키려는 공동체의 지혜였다. 오늘날 우리는 그 지혜를 다시 배워야 한다. 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일은 단지 농업이나 산업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 문명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짓는 문제다.

돌과 모래, 풀잎 사이
끊임없이 흘러가며
자신을 뽐내지 않는다

마른 입술 적시고
뜨거운 땅 식히며
눈물처럼 맑게 스며드는 순간
생명은 다시 일어난다

바람이 지나가면 흔들리고
햇살 닿으면 빛을 품는다
그 어떤 것도
물의 자유 묶을 수 없다

흘러가며 머물고
머물며 흘러가며
끝내 강과 바다를 품는
그 길 위에 물은 노래한다

- 최창일 시의 시 '이름 없는 길을 걷는다' 전문

"물이 없으면 생명도 없다"는 진리를 기억해야 한다. 물은 우리 곁을 흐르지만, 동시에 언제든 사라질 수 있다. 저수의 역사 속에 담긴 생명의 교훈을 삶에 새겨, 물을 소중히 여기고 지혜롭게 다스릴 때 인류의 미래는 비로소 안전해질 것이다.


- 최창일 시인(이미지 문화 평론가)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광복회,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 개최…"경술국치, 쓰라린 역사를 기억하고 의병정신 전통으로 이어 가자"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29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이중근 대한노인회 겸 부영그룹 회장, 김관진 전 국정원장을 비롯해 유족과 독립운동 유관단체 및 광복회원 250여명이 모인 가운데, '광복80주년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을 개최했다. 국가보훈부와 서울특별시, 행복도시락이 후원한 이날 기념식은 국민의례와 영상시청, 이종찬 광복회장 기념사를 비롯해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축사, 이중근 대한노인회장 겸 부영그룹 회장 축사에 이어, 국가부훈부 장관의 민긍호의병장기념사업회와 운강이강년의병대장기념사업회에 대한 기념패 수여, 광복회장의 춘천의병마을에 대한 감사패 수여식, 김상기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의 ‘자유와 정의를 위한 백성의 투쟁, 정미의병’ 주제 강연 순으로 진행됐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기념사에서 "오늘은 경술국치의 날로 1910년 8월 29일 우리가 주권을 빼앗겼다"며 "이런 쓰라린 역사를 우리가 다 기억하고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고 의병정신에 대해 강조했다. 이 회장은 그러면서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해산 당하던 날, 정미 의병이 일어났고, 그 의병들이 독립군이 되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