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미래일보) 공현혜 기자 = 성균관 청년유도회 경주지부가 지난 9월 13일과 14일 양일간 경주시 교동의 경주향교에서 '제11회 신라 국학 유학 경연대회'를 성대히 개최했다. 이번 대회에는 전국 17개 향교와 유림 단체에서 1,000여 명이 참여해 유교 전통문화 계승을 향한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이번 경연대회는 경상북도와 경주시가 주최하고 성균관, 성균관유도회총본부, 성균관 여성유도회, 성균관 청년유도회 중앙회, 경상북도 청년유도회, 경주향교, 성균관유도회 경주지부, 성균관 여성유도회 경주지부가 공동 후원해 진행됐다.
대회는 국학(경전 암송), 예악(시조창), 의례(창홀), 서예(오체 휘호), 국궁 등 5개 분야로 나뉘어 열렸다. 참가자들은 평소 갈고닦은 학문과 기예를 발휘하며 각 지역 향교의 명예를 걸고 뜨겁게 겨뤘다.
특히 의례부 경연의 '창홀'은 제향·향례·관혼의 홀기를 겨루는 전국 유일의 경연으로, 전통 의례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었다.
심사는 각 향교 전교가 맡아 공정성을 기했으며, 72개 팀이 단체전 및 개인전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종합 장원은 다섯 개 부문에서 고른 성적을 거둔 상주향교가 차지했다.
행사는 13일 저녁 노서동 웨딩파티엘에서 열린 '영빈례'로 막을 올렸고, 14일 오전 고유제와 개회식을 통해 본격적인 경연이 시작됐다.
송일용 성균관유도회 경주지부 회장은 대회사에서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도덕적 가치와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고 있는 지금, 유교 정신을 되새겨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일이 절실하다"며 대회의 의의를 강조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환영사에서 "이번 경연대회가 단순한 학문의 경쟁을 넘어, 유학 정신을 계승하고 시대적 가치를 되새기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황정하 성균관 청년유도회 중앙회 회장, 이철우 경상북도 도지사, 김석기 국회의원 등 각계 인사가 축사를 통해 경연대회의 의미를 높이 평가했다.
신라 국학은 682년(신문왕 2년)에 설립된 국가 최고 교육기관으로, '논어', '효경', '주역', '상서' 등 유교 경전을 비롯해 수학·천문·의학 등 실용학문까지 교육했다. 국학은 고려 국자감과 조선 성균관으로 이어지는 한국 전통 교육제도의 뿌리로, 인재 양성과 국가 운영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번 대회가 경주향교에서 열린 것은 국학의 뿌리를 현대적으로 되살리고, 신라 천년고도 경주가 지닌 정신적 유산을 재조명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번 경연대회는 전국 유림이 한자리에 모여 학문과 예술을 겨루며 화합하는 장이 되었을 뿐 아니라, 후학들에게 올바른 정신적 뿌리를 심어주는 교육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손에 활을 당기고 붓을 잡으며, 입으로 경을 외우는 순간, 천년 전 국학의 숨결이 되살아났다"는 한 참가자의 소감처럼, 이번 대회는 전통이 단순히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살아 숨 쉬는 문화적 자산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대전, 상주, 남원, 진주 등 전국 각지에서 모인 유림들이 함께 어우러진 이 무대는, 국학의 시원인 경주향교가 앞으로도 유교문화 계승 발전의 중심지로 자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한편, 이날 경연은 참가자가 많은 관계로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실시했다. 심사는 행사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각 참가 향교의 전교들을 심사위원으로 위촉해 특정 향교에 지원하는 일이 없도록 했다. 경연대회 결과는 5개 종목 경연에 참여한 단체와 개인전에서 72개 팀이 입상했다.
▲ 국학부 단체 장원<상주향교>, 방안<남원향교>, 탐화<진주향교, 경주향교>, 장려<사천향교, (사)성균관유도회 대구광역시본부, 울산향교, 산청향교, 회덕향교>가 수상했고, 개인 장원<권경웅(안동),. 방안<유종표(곡성)>, 탐화<김홍기(삼가), 강병하(진주)>, 장려<강대오(진주), 신장환(안동), 홍두표(진주), 이오영(영주), 손교익(언양)>가 각 수상했다.
▲ 의례부 장원<김진서(회덕)>, 방안<조재석(상주)>, 탐화<강성철(남원), 고명환(상주)>. 장려<강병화(진주), 하율태(사천), 조성동(상주), 조기완(유대본), 공재권(남원)> 수상.
▲ 서예부 단체 장원<동래향교>, 방안<밀양향교>, 탐화<영천향교, 경주향교>, 장려<남원향교, 단성향교, 안동향교, 언양향교, 진잠향교> 수상했고, 개인 장원<금동윤(상주)>, 방안<임기문(경주)>, 탐화<김운기(남원), 박용균(언양)>. 장려<조현철(곡성), 김명순(유대본), 안병숙(상주), 장우덕(청주), 손동희(경주)> 수상.
▲ 예악부 단체 장원<안동향교>, 방안<곡성향교>, 탐화<밀양향교, 사천향교>, 장려<남원향교, 진주향교, 경주향교, 상주향교, 단성향교> 수상.외 8명 수상. 개인 장원<권희자(경주)>, 방안<오길원(안동)>, 탐화<조기정(안동), 하수임(진주)>, 장려<노선규(진주), 최학식(진주), 김충곤(진주), 백옥선(경주), 박경원(밀양)> 각 수상.
▲ 국궁 단체 장원<상주향교>, 방안<사천향교>, 탐화<남원향교, 단성향교>, 장려<경주향교, 진잠향교, 밀양향교, 언양향교, 청주향교> 각 수상.
수상자의 점수를 합한 종합 장원은 상주향교가 선정되었다.
특히, 본 행사의 의례부 경연에서의 창홀은 제향, 향례, 관혼의 홀기를 겨루는 경연이었다. 홀기 경연은 전국에서 유일한 대회이다.
u4only@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