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0 (일)

  • 구름많음동두천 5.6℃
  • 구름많음강릉 8.3℃
  • 서울 5.3℃
  • 흐림대전 7.2℃
  • 맑음대구 7.9℃
  • 구름많음울산 7.6℃
  • 구름조금광주 8.7℃
  • 구름많음부산 9.9℃
  • 구름조금고창 7.2℃
  • 구름많음제주 8.8℃
  • 구름조금강화 6.5℃
  • 구름많음보은 6.5℃
  • 구름많음금산 6.7℃
  • 구름많음강진군 8.1℃
  • 구름조금경주시 8.7℃
  • 구름많음거제 8.0℃
기상청 제공

정치일반

100만명 촛불집회 참석… '분노의 함성' 포효

폭력투쟁 No…평화로운 방식의 시위 정착

(서울-미래일보) 정정환 기자 = 12일 성난 민심은 “이것이 국민이다”는 분노의 함성으로 100만개 평화 촛불 아래 전국으로 메아리가 쳤다. 서울 도심을 밝힌 100만개의 촛불과 전국적으로 빛난 수만 개의 촛불은 남녀노소 온 국민의 목소리는 하나가 돼 민심을 보여줬다.

대부분 외신들까지도 이날 서울시청광장, 광화문 등지에서 열린 촛불 집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

구한 집회를 보도하면서 “시위대의 목소리는 어느 때보다 컸지만 매우 평화로운 방식으로 시위가 질서정연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비선 실세 책임을 물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3차 주말 촛불집회는 2000년대 들어 가장 많은 인원이 모인 집회였다. 주최 측이 추산한 참가자는 100만명 이상(경찰은 26만 명)이다. 촛불집회로는 건국 이래 최대 규모로 꼽히고 있다.

 

2008년 6월10일 광우병 촛불집회(주최 측 추산 70만명(경찰 추산 8만명)이다. 아울러 2004년 3월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규탄 촛불시위 주최 측 추산 20만명(경찰 추산 13만명)으로 나타난 참가 인원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이 규모와 비슷한 역대 집회로는 100만명이 모인 것으로 알려진 1987년 6·10항쟁이 있다. 촛불집회가 2002년 미군 장갑차 사고로 숨진 효순·미선양 추모집회에서 시작한 점을 고려하면 촛불집회로는 사상 최대이다.

 

규모 뿐 아니라 평화 집회로도 역사에 남을 날이었다. 성숙한 시민의식은 집회가 열린 서울시청광장, 광화문광장, 율곡로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시민들은 ‘박근혜는 퇴진하라’고 외치며 청와대를 향해 분노어린 큰 목소리를 냈지만 질서정연하고 평화롭게 움직였다.

 

1년 전 민중총궐기에서 참가자와 경찰 사이에 격렬한 충돌이 이어지면서 백남기 농민이 물대포에 맞아 끝내 숨졌던 것과 비교하면 괄목상대할 변화이다. 가족이나 연인, 중고생 등 집회 주축 층의 스펙트럼이 넓어졌다는 점도 시사점이 있었다.

 

집회 후 풍경도 과거와 크게 달랐다. 시위에 참여한 시민들은 바닥에 떨어져 있는 쓰레기를 줍는 것은 물론 바닥에 떨어진 촛농까지도 휴대전화 손전등으로 비추며 긁어냈다. 외신은 “학생, 가족, 젊은 연인, 휠체어를 탄 장애인 등이 참가한 평화 시위가 열렸다면서 과거 노동조합과 시민 단체가 이끈 일부 폭력 시위와는 매우 대조적이었다”고 평가했다.

100만개의 촛불과 100만 민심의 평화로운 외침이 대한민국 집회역사에 의미 있는 한 페이지를 만들어 낸 샘이 아닌가 생각한다. 특히 집회를 마치고 가면서 볼 때 지하철의 안내 방송 내용이나 역무원들의 친절한 안내모습도 예전과 달리 고객감동을 주었다는 칭찬의 글들이 SNS 등을 통해 알려지고 있다,


jhj0077@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 "윤석열 파면은 보편적 가치 지키는 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지난해 12월 3일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 윤 대통령의 탄핵 선고가 늦어지면서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 등 국내 문학인 414명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을 촉구하는 성명을 25일 발표했다. '피소추인 윤석열의 파면을 촉구하는 작가 한 줄 성명' 제목으로 밝힌 성명에서 문학인들은 "피소추인 윤석열의 대통령직 파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가 이유 없이 지연되고 있다"라며 "2024년 12월 3일 불법 비상계엄 이후 100일이 넘는 동안 시민의 일상은 무너지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위기를 맞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문학인들은 이어 "저희는 당일 자행된 반헌법이고 불법인 행위들을 똑똑히 보았다"라며 "피소추인 윤석열의 대통령직 파면은 당연한 일이다"라고 강조했다. 문학인들은 그러면서 "이에 우리는 헌법재판소에 요구한다. 지금 당장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하라"며 "414명의 작가는 각자의 목소리로 성명을 발표하고. 우리의 목소리가 헌법재판소에 닿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이날 성명에는 은희경·김연수·김애란·정보라·김초엽·김호연·박상영 소설가와 김혜순·김사인·오은·황인찬 시인 등 국내 대표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