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현장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는 경제강국을 위한 국가전략 과제이며, 한일관계 차원을 뛰어넘어 한국 경제 100년의 기틀을 세우는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특히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근본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핵심기술의 자립화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소재·부품·장비 생산 기업은 전체 제조업 생산과 고용의 절반을 차지하며 대부분 중소·중견기업"이라며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키우는 것은 곧 중소·중견기업을 키우는 것이고, 대·중소기업이 협력하는 산업생태계를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장기간 누적돼온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만드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는 또한 세계경제와 교역 환경의 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 전략"이라며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불확실성 확대, 나아가 국제 분업 구조의 변화까지도 대비하며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모든 가용자원을 동원해 기술 국산화와 공급 안정성 확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면서 "국산품 대체를 목표로 특정국가 의존도가 높은 25개 핵심 품목의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반도체 분야에서 소재의 국산화가 가시화되고 있고, 대기업과 국산 부품 양산에 성공한 중소기업이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에 힘을 모았다"며 "국민적 공감대, 정부 정책, 산업 현장의 변화가 선순환을 시작했다고 봐도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은 "특단의 대책으로 긍정적인 변화에 속도를 더해 나가겠다"며 정부투자 과감하게 확대, 기업 간 협력 관계를 구축, 연구 개발 생산과 연계, 강력한 추진 체계로 현장 변화 촉진 및 지원을 강조했다.
redkims64@daum.net